論語(논어) /券 九. 子罕篇

券 九 . 子 罕 篇 (자한편)

덕치/이두진 2021. 6. 22. 21:23

 

 券 九 .  子 罕 篇 (자한편)  

 

 

1. 子罕言利, 與命, 與仁.
    (자한언리, 여명, 여인.)


     ['공자'는 이익과 운명과 어짐(仁)에 대해서는 드물게 말하였다.] 

 

    【孔子極少談論:私利、命運、仁道.
      Kǒngzǐ jishǎo tanlun : sīli,  mingyun,  ren dao.】

  

2.  達巷黨人曰:「大哉孔子!博學而無所成名.」  

     子聞之, 謂門弟子曰:「吾何執?執御乎?執射乎? 吾執御矣.」 
     (달항당인왈 : 「대재공자 ! 박학이무소성명.」 

      자문지, 위문제자왈 : 「오하집 ? 집어호 ? 집사호 ? 오집어의.」)
      

      ["달항" 마을의 사람이 말하기를 : “공자는 정말 위대하구나 ! 두루 배웠는데도 이름을 이룬 것이 없구나"하자,

      ​공자'가 이 말을 듣고 문하의 제자들에게 말하기를 : “내가 무엇을 잡아야 하는가 ? 말몰이를 잡을까 ? 

      활쏘기를 잡을까 ?  나는 말몰이를 잡아야겠다 ”라고 하였다.] 

 

      【貴族區的人說:「孔子真偉大!博學多才, 樣樣都是專家.」
       guizu qū de ren shuō : 「Kǒngzǐ zhēn wěida !  boxueduōcai, yangyang  dōushi zhuānjiā.」
       孔子聽說後, 對學生說:「我的專長是什麽?是駕駛?是射擊?大概是駕駛吧.」 
       Kǒngzǐ tīngshuō hou, dui xuesheng shuō : 「wǒ de zhuānchang shi shenmo ?

       shi jiashǐ ? shi shejī ? dagai shi jiashǐ bā.」】

 

3.  子曰:「麻冕, 禮也;今也純, 儉.  吾從眾.  拜下, 禮也;今拜乎上, 泰也.  雖違眾, 吾從下.」
     (자왈 : 「마면, 예야 ; 금야순, 검. 오종중.  배하, 예야 ; 금배호상, 태야.  수위종, 오종하.」)
      

      ['공자'가 말하기를 : “삼베로 짠 면류관을 쓰는 것이 예법이지만 ; 지금은 명주실로 짠 관을 쓰니 검소한 것이다. 

      나는 여러 사람들을 따르겠다.  신하가 단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예법이지만 지금은 단 위에서 절을 하니

      ​교만한 것이다. 비록 여러 사람들에 어긋나더라도  나는 단 아래에서 절하는 것을 따르겠다.”라고 하였다.]   

 

     【孔子說:「用麻布做禮帽, 是以前的規定;現在都用絲綢, 比較節約, 我隨大衆。
       Kǒngzǐ shuō : 「yong mabu zuo lǐmao,  shi yǐqian de guīding ;

       xianzai dōu yong sīchou,  bǐjiao jieyuē,  wǒ sui dazhong. 
       在堂下拜見君主, 是以前的規定;現在都堂上拜, 沒有禮貌.  雖然違反大衆, 我還是贊同在堂下拜.」
       
zai tang xia baijian jūnzhǔ,  shi yǐqian de guīding ; xianzai dōu tangshang bai,  

       meiyǒu lǐmao.  suīran weifǎn dazhong,  wǒ haishi zantong zai tang xia bai.」】 

 

4.  子絕四:毋意, 毋必, 毋固, 毋我.
      (자절사 : 무의, 무필, 무고, 무아.)
      

      ['공자'는 네 가지 문제점을 없애버렸다 : 주관적인 추측을 없애고, 절대적인 긍정을 없애고, 
      고집스런 마음을 없애고, 자기만 잘 났다고 자부하는 독선적인 마음을 없애버렸다.]

 

     【孔子杜絕四種弊病:「不主觀臆斷, 不絕對肯定, 不固執己見, 不唯我獨尊.」  

       Kǒngzǐ dujue si zhǒng bibing : 「bu zhǔguānyiduan,  bu juedui kěnding, bu guzhijǐjian,  bu weiwǒduzūn.」】

 

5.  子畏於匡.  曰:「文王既沒, 文不在茲乎? 天之將喪斯文也, 後死者不得與於斯文也;

     天之未喪斯文也, 匡人其如予何?」 
     (자외어광. 왈 : 「문왕기몰, 문불재자호 ? 천지장상사문야, 후사자불득여어사문야 ;  

      천지미상사문야, 광인기여여하 ? 」)
       

      ['공자'가 "광"에서 조심스럽게 말하기를 : “ 문왕이 이미 돌아가셨으니 예악문화를 이 몸이 계승하지 않겠는가 ?

      ​하늘이 장차 이 문화를 없애려 한다면,  뒤에 죽을 내가 이 문화에 참여하지 못하겠지만 ;

      하늘이 이 문화를 없애버리지 않으셨으니 "광" 땅의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 ?라고 하였다.]

 

    【孔子在匡地被困, 他說:「文王死了後, 文化遺產不都由我繼承嗎? 

      老天若要滅絕文化, 我就不會掌握這些文化了;老天若不滅絕文化, 匡人能把我怎樣?」 
      Kǒngzǐ zai kuāngde bei kun, tā shuō : 「Wenwang sǐle hou, wenhuayichǎn bu dōu you wǒ jicheng ma ? 
      
lǎotiān ruoyao miejue wenhua,  wǒ jiu buhui zhǎngwo zhexiē wenhua le ; 
      lǎotiān ruobu miejue wenhua,  kuāngren ren bǎ wǒ zěnyang ? 」】 

 

6.  太宰問於子貢曰:「夫子聖者與? 何其多能也?」 子貢曰:「固天縱之將聖, 又多能也.」

    子聞之, 曰:「太宰知我乎!吾少也賤, 故多能鄙事.  君子多乎哉?不多也.」  
     (태재문어자공왈 : 「부자성자여 ? 하기다능야 ?」 자공왈 : 「고천종지장성, 우다능야.」

      자문지, 왈 : 「태재지아호 ! 오소야천, 고다능비사. 군자다호재 ? 불다야.」)
      

      [태재(관리)가 '자공'에게 묻기를 : “선생님께서는 성인이신가 ? 어찌 그리 재능이 많으신가 ? ” 라고 하자.

      '자공'이 대답하기를 : “선생님께서는 진실로 하늘이 내리신 수많은 인물 중 성인이시고 또 재능도 많으십니다.” 

      '공자'가 이 말을 듣고 말하기를 : “태재가 나를 알겠는가 ? 나는 젊었을 때 생활이 어려웠으므로 

      ​비천한 일을 많이 하여 재능이 많지만 군자는 재능이 많아야 하는가 ? 많지 않아도 되느니라 ”라고 하였다.]   

 

     【太宰問子貢:「老師是聖人嗎? 為什麽如此多才多藝?」
       taizǎi wen Zǐgong : 「lǎoshī shi shengren ma ?  wei shenmo rucǐ duōcaiduōyi ? 」

      ​子貢說:「老天本來就要他成為聖人, 又要他多才多藝.」 孔子聽說後,
      Zǐgong shuō : 「lǎotiān běnlai jiuyao tā chengwei shengren,  you yao tā duōcaiduōyi.」

      ​Kǒngzǐ tīngshuō hou,
      說:「太宰瞭解我嗎? 我小時候生活艱難, 所以會乾一些粗活。 貴族會有這麽多技藝嗎? 不會有的.」 
    
  shuō : 「Taizǎi liǎojiě wǒ ma ?  wǒ xiǎoshihou shēnghuo jiānnan,  

      suǒyǐ hui qian yixiē cūhuo.guizu hui yǒu zhemo duō jiyi ma ?  buhui yǒude.」】 

 

7.  牢曰:「子云, 『吾不試, 故藝』.」 
     (뇌왈 : 「자운, 『오불시, 고예』.」)
     

      [뇌(공자의 제자 子開)가 말하기를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관직에 쓰이지 못했기 때문에, 
      그래서 여러 가지 기예를 익혔다.』라고 하셨습니다.”라고 하였다.]   

 

     【牢說:「孔子說過:『我沒有被重用, 所以學會了許多技藝.』」
       Lao shuō : 「Kǒngzǐ shuōguo : 『wǒ meiyǒu bei zhongyong, suǒyǐ xuehui le xǔduō jiyi.』」】 

 

8.  子曰:「吾有知乎哉?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자왈 : 「오유지호재 ? 무지야. 유비부문어아, 공공여야, 아고기양단이갈언.」)
      

      ['공자'가 말하기를 : “ 내가 아는 것이 많은가 ?  나는 아는 것이 없다.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나에게 물어본다면, 그말이 아무것도 아닌 것이라 할지라도, 

     나는 묻는 내용의 양끝을 잡아다가 아는 대로 다 설명해 주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我知識豐富嗎? 我無知埃有個農民問我, 他提出的問題,

      我一無所知, 我問了事情的來龍去脈後, 才徹底清楚了.」 

      Kǒngzǐ shuō : 「wǒ zhīshi fēngfu ma ?  wǒ wuzhī āi yǒu ge nongmin wen wǒ, tā tic, de wenti,

      ​wǒ yiwusuǒzhī,  wǒ wen le shiqing de lailongqumai hou, cai chedǐ qīngchu le.」】 

 

9.  子曰:「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자왈 : 「봉조불지, 하불출도, 오이의부 ! 」)
      

      ['공자'가 말하기를 : “ 봉황새가 날아오지 않고 황하에서도 그림이 나오지도 않으니, 
      내 모든 일은 진정 그만이란 말인가 ! ”라고 하였다.]   

 

    【孔子說:「鳳凰不飛來, 黃河不出圖, 這些象徵出聖人的現象都沒出現, 看來我完了.」
      
Kǒngzǐ shuō : 「fenghuang bu fēi lai, Huanghe bu chū tu,  

      zhexiē xiangzhēng chū shengren de xianxiang dōu mei chūxian,  kanlai wǒ wanliǎo」】 

 

10.  子見齊衰者、冕衣裳者與瞽者, 見之, 雖少必作;過之, 必趨.      
      (자견재최자, 면의상자여고자, 견지, 수소필작 ; 과지, 필추.)
      

       ['공자'는 재최(五服중 하나)의 상복을 입은 사람과, 면류관의 옷차림을 한 사람과 눈먼 사람을 만날 때에는

       ​비록 잠깐이라도 반드시 일어나셨고, 그들을 지나갈 때는 반드시 빨리 지나갔다.]

 

     【孔子見戴孝的人、穿官服的人、以及盲人, 即使是年輕人, 也必定站起來;從他們身邊過, 必定快走.
 
      Kǒngzǐ jian dai xiao de ren,  chuān guān fu de ren,  yǐji mangren,  jishǐshi nianqīngren,

       yě biding zhanqǐlai ; cong tāmen shēnbiān guo,  biding kuai zǒu.」】

  

 

11.  顏淵喟然歎曰:「仰之彌高, 鑽之彌堅;瞻之在前, 忽焉在後. 夫子循循然善誘人, 博我以文,

      約我以禮.  欲罷不能, 既竭吾才, 如有所立卓爾. 雖欲從之, 末由也已.」

      (안연위연탄왈 : 「앙지미고, 찬지미견 ; 첨지재전, 홀언재후. 부자순순연선유인, 박아이문,

       약아이례. 욕파불능, 기갈오재, 여유소립탁이. 수욕종지, 말유야이.」) 
      

       ​['안연'이 길게 탄식하며 말하기를 : “선생님의 도는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아지고,

       깊이 연구 할수록 더욱 견실해지며, 바라볼 때 앞에 계시더니, 홀연히 뒤에 계시는구나.
       선생님께서는 한걸음 한걸음 사람들을 잘 이끌어 주시는데, 학문으로써 나를 넓혀 주시고

       예절로써 나를 규제 하셨다. 그만두고자 해도 그리 할 수가 없어서 나의 재주를 다 써보게 하시니, 

       선생님의 숭고한 덕행이 내 눈앞에 우뚝 서 있는 듯하구나.

       내가 비록 좇고자 하였지만 끝내 말미암지 못하였다.”라고 하였다.]   

 

     【顏淵感嘆地說:「老師的學問越仰望越覺得高聳, 越鑽研越覺得深厚;看著就在前面, 忽然卻在後面. 

      老師步步引導, 用知識豐富我, 用禮法約束我, 想不學都不成.  我竭盡全力, 仍然象有座高山矗立眼前.   

       我想攀上去, 但覺得無路可走.」                         

       Yanyuān gǎntan de shuō : 「lǎoshī de xuewen yue yǎngwang yue juede gāosǒng, 

       yue zuānyan yue juede shēnhou ; kan zhu jiu zai qianmian,  hūran que zai Houmian.
       
lǎoshī bubu yǐndǎo,  yong zhīshi zhīshi wǒ,  yong lǐfǎ yuēshu wǒ, xiǎng bu xue dōu bucheng. 

       ​wǒ jiejinquanli, rengran xiang yǒu zuo gāoshān chuli yǎnqian. 

       wǒ xiǎng pān shang qu, dan juede wulukězǒu.」】 

  

12.  子疾病, 子路使門人為臣. 病閒, 曰「久矣哉!由之行詐也, 無臣而為有臣. 吾誰欺? 欺天乎?

    ​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 且予縱不得大葬, 予死於道路乎?」
      (자질병, 자로사문인위신. 병간, 왈 : 「구의재 ! 유지행사야, 무신이위유신.  오수기 ?  기천호 ?

       ​차유여기사어신지수야, 무년사어이삼자지수호 ? 차여종불득대장, 여사어도로호 ?」
      

       ['공자'의 병환이 위중할 때, '자로'가 자신의 제자들을 '공자'의 가신으로 삼아 병시중을 들게  

       하였는데,  병환이 조금 차도가 있자, 말하시를 : “오래 되었구나, '자로'가 속임을 행한 것이. 

       나는 가신이 없어야 하는데도 가신이 있게 했으니. 내가 누구를 속인 것인가 ?  하늘을 속인 것인가 ?
       [또한 내가 가신들의 손에서 죽기 보다는 차라리 제자들 손에서 죽는 것이 낫지 않겠는가 ? 
       또한 내가 비록 성대한 장례를 치르지는 못할지라도 내가 길거리에서 죽기야 하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孔子得了重病, 子路讓同學當傭人.  病情好轉後, 
       Kǒngzǐ delezhongbing,  Zǐlu rang tongxue dāng yōngren.  bingqing hǎozhuǎn hou,
       孔子說:「子路騙我很久了!我沒有傭人卻冒出來了傭人.  我欺騙誰? 欺天嗎? 

       與其讓傭人給我送終, 不如讓學生給我送終! 即使我的喪事辦得不隆重, 我的屍體還會丟在路上嗎?」 

       ​shuō shuō : 「Zǐlu pian wǒ hěnjiǔ le !  wǒ meiyǒu yōngren que mao chūlai le yōngren.  wǒ qīpian shui ?

       qī tiān ma ? yǔ qi rang yōngren gěi wǒ song zhōng, buru rang xuesheng gěi wǒ song zhōng !
       jishǐ wǒ de sāng shi ban de bu longzhong, wǒ de shītǐ hai hui diū zai lushang ma ?」】  

          

13.  子貢曰:「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求善賈而沽諸 ?」 

      子曰:「沽之哉!沽之哉!我待賈者也.」

      (자공왈 : 「유미옥어사, 온독이장제 ? 구선가이고제 ?」 

       자왈 : 「고지재 ! 고지재 ! 아대거자야.」)                  
      

       ['자공'이 말하기를 : “만약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다면, 이것을 상자 속에 감추어 두겠습니까 ? 
       좋은 값으로 살 사람을 찾아서 팔겠습니까 ?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 팔아야지 !  팔아야지 !  나는 살 사람을 기다리겠다.”라고 하였다.]

 

     【子貢說:「假如這有塊美玉, 是用櫃子藏起來呢? 還是賣給識貨的人呢?」

       Zǐgong shuō : 「jiǎru zhe yǒu kuai měiyu,  shi yong guizi cang qǐlai ne ? 

       ​haishi mai gěi shihuo de ren ne ? 」
       孔子說:「賣出去!賣出去!我等著識貨的人.」
       shuō shuō ; 「mai chūqu !  mai chūqu !  wǒ děng zhu shihuo de ren.」】
 

14.  子欲居九夷.  或曰:「陋, 如之何!」 子曰:「君子居之, 何陋之有?」
      (자욕거구이. 혹왈 : 「루, 여지하 ! 」  자왈 : 「군자거지, 하루지유 ? 」)
      

       ['공자'는 "구이" 땅에 가서 살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 “ 그 지방은 매우 낙후한데 어찌 가서 살겠습니까 ?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군자가 거기에 살 것인데 무슨 낙후함이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孔子想到一個邊遠地區去住.  有人說:「這地方很落後, 怎麽辦?」
       Kǒngzǐ xiǎngdao yige biānyuǎn diqū qu zhu.  

       yǒu ren shuō : 「zhe difāng hěn luohou,  zěnmo ban ?」
       孔子說:「君子住在那, 還有什麽落後?」
       Kǒngzǐ shuō : 「jūnzǐ zhuzai na,  haiyǒu shenmo luohou ? 」】 

 

15.  子曰:「吾自衛反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
      (자왈 : 「오자위반로, 연후락정, 아송각득기소.」)
       

       ['공자'가 말하기를 : “ 내가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온 후에야 음악이 바로잡혀서 
       아악(雅)과 송악(頌)이 각각 그 일정한 자리를 잡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我從衛國返回魯國, 才把音樂整理好, 《雅》、《頌》都安排妥當.」
        Kǒngzǐ shuō : 「wǒ cong Weiguo fǎnhui Lǔguo,  cai bǎ yīnyue zhěnglǐ hǎo,

       《yǎ》, 《song》dōu ānpai tuǒdang.」】

 

16.  子曰:「出則事公卿入, 則事父兄, 喪事不敢不勉不, 為酒困, 何有於我哉?」
      (자왈 : 「출즉사공경입, 즉사부형, 상사불감불면불, 위주곤, 하유어아재 ?」)
       

       ['공자'가 말하기를 : “ 밖에 나가서는 나라에 몸을 바치고, 집에서는 부모님께 효도하며,

       상사를 당해서는 일 처리에 힘쓰지 않을 수가 없으며, 술에 취해서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 것,

       가운데 무엇이 나에게 문제가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孔子說:「在外獻身祖國, 在家孝順父母, 盡力辦好喪事, 不酗酒, 對我有什麽問題?」
   
     Kǒngzǐ shuō : 「zaiwai xianshēn zǔguo, zaijiā xiaoshun fumǔ, jinli banhǎo sāngshi, 
        bu xujiǔ, dui wǒ yǒu shenmo wenti ?」】

 

17.  子在川上, 曰:「逝者如斯夫!不舍晝夜.」  

      (자재천상, 왈 : 「서자여사부 ! 불사주야.」)
      

       ['공자'가 강변에서 말하기를 : “세월이 가는 것은 이 냇물과 같구나. 밤낮을 멈추지 않고 가는구나.”하였다.]

 

      【孔子在河邊說:「時光如流水!日夜不停留.」 
       Kǒngzǐ zai hebiān shuō : 「shiguāng ru liushuǐ !  riye bu tingliu.」】

 

18.  子曰:「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자왈 : 「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공자'가 말하기를 : “ 나는 덕을 좋아하기를 미색을 좋아하는 것만큼,

       ​좋아하는 사람을 아직 보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我沒見過喜歡美德如同喜歡美色的人.」
       Kǒngzǐ shuō : 「wǒ mei jianguo xǐhuan měide rutong xǐhuan měise de ren.」】

 

19.  子曰:「譬如為山, 未成一簣, 止, 吾止也;譬如平地, 雖覆一簣, 進, 吾往也.」  
      (자왈 : 「비여위산, 미성일궤, 지, 오지야 ; 비여평지, 수복일궤, 진, 오왕야.」)


       ['공자'가 말하기를 : “비유하자면 산을 쌓을 때 한 삼태기가 모자라서 중지하는 것도 자기가 중지하는 것이며,

       땅을 평탄하게 할 때 비록 한 삼태기를 덮더라도, 바로잡혀서 끈질기게 나아가는 것

       역시 자기가 나아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孔子說:「譬如堆山, 還差一筐, 沒堆成就停了, 功虧一簣是自己造成的;  

       譬如填坑, 衹倒一筐, 繼續填下去, 堅持不懈是自己決定的.」 

       Kǒngzǐ shuō : 「piru duī shān,  hai cha yikuāng,  mei duī chengjiu tingle, gōngkuīyikui shi zijǐ

       zao sheng de ; piru tian kēng,  zhǐdao yikuāng,  jixu tian xiaqu,  jiānchibuxie shi zijǐ jueding de.」】

 

20.  子曰:「語之而不惰者, 其回也與!」
      (자왈 : 「어지이불타자, 기회야여 !」

       ​['공자'가 말하기를 : “도리를 말해 주면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는 사람은, 오직 '안회'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孔子說:「聽我說話毫不懈怠的人, 衹有顏回吧!」
        Kǒngzǐ shuō : 「tīng wǒ shuōhua haobu xiedai de ren,  zhǐyǒu Yan hui bā ! 」】

 

21.  子謂顏淵, 曰:「惜乎!吾見其進也, 未見其止也.」
      (자위안연, 왈 : 「석호 ! 오견기진야, 미견기지야.」)
       

       ['공자'가 '안연'에 대해 말하기를 : “ 애석하구나  '안회'의 죽음이 ! 나는 그 학문이 나아가는 것은 보았으나, 

       ​그가 중도에 그치는 것은 보지 못하였다.”라고 하였다.]

 

      【孔子評論顏回:「可惜啊!我衹見他前進, 沒見他停止.」
        Kǒngzǐ pinglun Yanhui : 「kěxī a !  wǒ zhǐjian tā qianjin,  mei jian tā tingzhǐ.」】

 

22.  子曰 : 「苗而不秀者有矣夫!秀而不實者有矣夫!」
      (자왈 : 「묘이불수자유의부 ! 수이불실자유의부 ! 」)
      

       ['공자'가 말하기를 : “ 싹은 났으나 꽃이 피지 못하는 것이 있고, 

       ​꽃은 피었으나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도 있다 .”라고 하였다.]

 

      【孔子說:「出了苗而不開花的情況是有的!開了花而不結果的情況也是有的!」
        Kǒngzǐ shuō : 「chūle miao er bu kāihuā de qingkuang shi yǒude !

        kāile huā er bu jieguǒ de qingkuang yě shi yǒude !」】

 

23.  子曰:「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 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자왈 : 「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 사십, 오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공자'가 말하기를 : “ 젊은 사람이 두려워할 만하니, 어찌 장래가 지금과 같지 않을 것임을 알겠는가?

       ​그러나 마흔 살 쉰 살이 되어도 아직 이름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면, 

       ​이 또한 두려워할 것이 없느니라.”라고 하였다.]

 

     【孔子說:「年輕人值得敬佩, 怎知後代不如今人? 四,五十歲還默默無聞的人, 就沒什麽前程了.」
   
    Kǒngzǐ shuō : 「nianqīngren zhide jingpei,  zěn zhī houdai buru jīnren ? 
       si,wǔshisui hai momowuwen de ren,  jiu mei shenmo qiancheng le.」】

 

 

24.  子曰:「法語之言, 能無從乎 ?  改之為貴.  巽與之言, 能無說乎?

      繹之為貴.  說而不繹, 從而不改, 吾末如之何也已矣.」
      (자왈 : 「법어지언, 능무종호 ? 개지위귀.  손여지언, 능무열호 ?  
       역지위귀.  열이불역, 종이불개, 오말여지하야이의.」)
      

       ['공자'가 말하기를 : “ 바르게 충고하는 말을 듣고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 고치는 것이 중요하니라. 

       유순하게 이르는 말이 능히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분석하여 원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니라.

       ​기뻐하면서 분석하지 않고, 따르기만 하고 고치지 않는다면, 나도 어찌하지 못할 것이다 ”라고 하였다.]

 

     【孔子說:「合情合理的規勸, 能不聽從嗎? 改正了錯誤才是可貴;恭維贊揚的話語, 能不令人高興嗎?

       分析了原因才是可貴。 衹高興而不分析, 衹聽從而不改正的人, 我是一點辦法也沒有.」​
       Kǒngzǐ shuō : 「heqinghelǐ de guīquan,  neng bu tīngcong ma ?  gǎizheng le cuowu cai shi kěgui ;

       gōngwei zanyang de huayǔ, neng bu lingrengāoxing ma ? fēnxī le yuanyīn cai shi kěgui.

       zhǐ gāoxing er bu fēnxī, zhǐ tīng cong'er bu gǎizhèng de rén wǒ shi yidiǎn banfǎ yě meiyǒu.」】 

  

25.  子曰:「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자왈 :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공자'가 말하기를 : “충성과 신의를 행실의 기본으로 삼고, 자기보다 못한 사람은 친구로 사귀지 말아야

       하며,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라고 하였다.]

 

     【孔子說:「一切要以忠信為本, 不要結交不如自己的朋友, 有錯誤不要怕改正.」
       Kǒngzǐ shuō : 「yiqie yao yǐ zhōng xin wei běn, buyao jiejiāo buru zijǐ de pengyou, 

       yǒu cuowu buyao pa gǎizheng.」】

 

26.  子曰:「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
      (자왈 : 「삼군가탈수야, 필부불가탈지야.」)


       ['공자'가 말하기를 : “ 삼군의 군대에서 장수의 지위는 박탈할 수는 있으나, 
       필부의 포부만은 박탈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

 

     【孔子說:「三軍可以剝奪主帥, 匹夫不可剝奪志向.」     
       Kǒngzǐ shuō : 「sānjūn kěyǐ bōduo zhǔshuai,  pǐfū bukě bōduo zhixiang」】

 

 

27.  子曰:「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與?『不忮不求, 何用不臧?』」

      子路終身誦之.  子曰:「是道也, 何足以臧?」

      (자왈 : 「의폐온포, 여의호학자립, 이불치자, 기유야여 ? 『불기불구, 하용불장 ?』」

       자로종신송지.  자왈 : 「시도야, 하족이장 ?」)
       

       ['공자'가 말하기를 : “ 해지고 헌 솜옷을 입고, 여우나 담비 털로 만든 갖옷을 입은 사람과 나란히 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사람은 '중유(子路)'일 것이다.

       남의 것을 질투하지 않고 탐내지도 않는다면 무엇을 해도 착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자로'가 이 말씀을 평생 동안 외우려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그것이 도리이기는 하나 그것만으로 어찌 충분히 좋다고 할 수 있겠는가 ? ” 라고 하였다.]

 

     【孔子說:「穿著破舊衣服, 與穿著狐皮貉皮衣服的人站在一起, 而不感到慚愧的人, 大概衹有子路吧 ?
       Kǒngzǐ shuō : 「chuān zhu pojiu yīfu,  yǔ chuān zhu hupi hepi yīfu de ren zhanzai yiqǐ, 

       er bu gǎndao cankui de ren, dagai zhǐyǒu Zǐlu bā ?
      『不嫉妒不貪婪, 有何不好?』」 子路終身記著這話.  孔子知道後, 又說:「這是應該做到的, 怎值得滿足?」
      『 
bu jidu bu tānlan, yǒu he buhǎo ?』」 Zǐlu zhōngshēn ji zhu zhe hua.
       Kǒngzǐ zhīdao hou,  you shuō : 「zhe shi yīnggāi zuodao de,  zěn zhide mǎnzu ?」】

 

28.  子曰:「歲寒, 然後知松柏之後彫也.」 
      (자왈 : 「세한, 연후지송백지후조야.」)


       ['공자'가 말하기를 :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다른 나무보다 뒤에  

       시들게 되는 것을 알게 된다. ”라고 하였다.]  

 

      【 孔子說:「天冷時, 才知道鬆柏最後凋謝.」
        Kǒngzǐ shuō : 「tiān lěng shi,  cai zhīdao sōngbǎi zuihou diāoxie.」】

 

29.  子曰:「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자왈 :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구.」)


       ['공자'가 말하기를 : “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아니하고, 자애로운 사람은 근심하지 아니하며,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아니한다.”라고 하였다.]

 

      【 孔子說:「明智的人不會迷惑, 仁愛的人不會憂愁, 勇敢的人不會害怕.」
       Kǒngzǐ shuō : 「mingzhi de ren buhui mihuo,  ren'ai de ren buhui yōuchou,
       yǒnggǎn de ren buhui haipa.」】

 

30.  子曰:「可與共學, 未可與適道;可與適道, 未可與立;可與立, 未可與權.」
      (자왈 : 「가여공학, 미가여적도 ; 가여적도, 미가여립 ; 가여립, 미가여권.」)


       ['공자'가 말하기를 : “ 함께 배울 수는 있어도 함께 바른 도리에 나아갈 수는 없으며, 
       함께 바른 도리에 나아가더라도 함께 창업할 수는 없으며, 함께 창업하더라도 함께 개척할 수는 없다.”하였다.]

 

      【孔子說:「共同學習, 不一定能共同進步;共同進步, 不一定能共同創業;共同創業, 不一定能共同開拓.」   

        Kǒngzǐ shuō : 「gongtong xuexi,  buyiding neng gongtong jinbu ;   

        gongtong jinbu,  buyiding neng gongtong chuangye ;

        ​gongtong chuangye,  buyiding neng gongtong kāituo.」】

 

31. 「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子曰:「未之思也, 夫何遠之有?」  

       (「당체지화, 편기반이.  기불이사 ? 실시원이. 」 자왈 : 「미지사야, 실하원지유 ?」)


       ["당체 꽃이 피어서, 바람에 나부끼고 있구나. 어찌 그대를 생각하지 않겠는가 ? 집이 멀리 있기 때문이다." 
       '공자'가 말하기를 : “생각하지 않고 있을 뿐이지 생각하고 있다면, 

       ​어찌 집이 멀리 있다고 하겠는가 ? ”라고 하였다.]

 

      【有一首詩這樣說:「唐棣開花, 翩翩搖擺, 我能不思念嗎? 衹是離得太遠了.」
        yǒu yishǒu shī zheyang shuō : 「tangdi kāihuā,  piānpiān yaobǎi, 

       wǒ neng bu sīnian ma ?   zhǐshi li de tai yuǎn le.」
       孔子說:「不是真的思念, 如果真的思念, 再遠又有什麽關繫?」 
       Kǒngzǐ shuō : 「bushi zhēn de sīnian, ruguǒ zhēn de sīnian,  

       zai yuǎn you yǒu shenmo guānxi ?」】 

 

 

※  《 券 九.  子罕篇 (자한편) 》

 

 [hǎn] : 드물 ; 한.       1. 드물다 2. 희소하다 3. 그물 4. 기, 깃발(旗-) 5. 별 이름. 
 [shǐ] : 달릴 ; 사.       1. (말이)달리다 2. (말이)빠르다 3. 신속하다(迅速--) .
 [yi] : 가슴 ; 억. 마실 것 ; 의.    1. 가슴 2. 가슴뼈 3. 마음 4. 생각 5.막히다 6. 억제하다.
 [kuāng] : 바를 ; 광./ 앉은뱅이 ; 왕.   1. 편안하다 2. 바로잡다 3. 비뚤다 4. 겁내다. 
 [jiān] : 어려울 ; 간.     1. 어렵다 2. 괴롭다 3. 가난하다 4. 험악하다 5. 당고(當故) 6. 고생. 
 [kou] : 두드릴 ; 고.    1. 두드리다 2. 조아리다, 꾸벅거리다 3. 잡아 당기다  4. 묻다 .
 [āi] : 티끌 ; 애.         1. 티끌 2. 더러움 3. 먼지. 
 [gǔ] : 소경 ; 고.        1. 소경 2. 악인3. 시력을 잃다 4. (마음이)어둡다 5. 어리석다 .
 [cuī] : 상옷 ; 최./ 도롱이 ; 사.   1. 쇠하다 2. 약하다 a. 상옷 (최) b. 줄다, 도롱이 (사) .
 [zhān] : 볼 ; 첨.        1. 쳐다보다 2. 바라보다 3. 우러러보다 4. 비추어 보다 5. 살피다,
 [chu] : 우거질 ; 촉.    1. 우거지다 2. 우뚝솟다 3. 곧다 4. 같은 모양 .
 [pān] : 더위잡을 ; 반.    1. 매달리다 2. 당기다 3. 의지 4. 끌어쓰다, 인용하다 5. 꺾다.
 [diū] : 아주 갈 ; 주.       1. 아주 가다 2. 던지다 3. 잃어 버리다 .
 [yun] : 감출 ; 온, 운.   1. 감추다 2. 싸다 3.붉은빛 7. 적황색 a. 감추다 (운) b. 넣다 (운).
 [du] : 궤 ; 독.         1. 궤(櫃: 나무로 네모나게 만든 그릇) 2. 상자(箱子) 3. 작은 관 .
 [gui] : 궤 ; 궤./ 느티나무 ; 거.    1. 궤 2. 상자 a. 느티나무 (거) b. 고리버들 c. 기류 .
 [gū] : 팔 ; 고.      1. 팔다 2. 사다 3. 구하다, 탐내다 4. 등한)히 하다 5. 조악하다 6. 술장수 .
 [kuai] : 덩어리 ; 괴.   1. 드리다 2. 흙덩이 3. 흙 4. 뭉치 5. 고독한 모양 6. 편안한 모양 
 [kui] : 삼태기 ; 궤.        1. 삼태기(흙을 담아 나르는 그릇) .
 [duī] : 쌓을 ; 퇴.           1. 쌓다 2. 쌓이다 3. 놓다 4. 흙무더기 5. 언덕. 
 kuāng] : 광주리 ; 광.    1. 광주리 2. 평상(平床: 네모진 침상) 3. 작은 비녀. 
 [kuī] : 이지러질 ; 휴.   1. 유감스럽게도 2. 부족하다  3. 기울다 4. 탄식하다 5. 배신하다.
 [tian] : 메울 ; 전./ 진정할 ; 진.  1. 만족스런 모양   2. 박아넣다 3. 순종하다 4. 가득 채우다.
 [duo] : 게으를 ; 타.     1. 게으르다 2. 소홀하다, 업신여기다 3. 불경스럽다4. 사투리 .
 [xun] : 부드러울 ; 손.   1. 부드럽다 2. 유순하다 3. 공순하다 4. 사양하다 5. 동남쪽.
 [bāo] : 벗길 ; 박.    1. 벗기다 2. 깎다 4. 다치다 6. 두드리다 7. 떨어뜨리다 8. 찢다.
 ★ 生呑活剝[shēng  tūn huo bāo] (생탄활박) : 산 채로 삼키고 산 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  
                남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인용함. 
 [yun] : 헌솜 ; 온.    1. 감추다 2. 솜옷 3. 삼 4. 모시 5. 주홍빛 6. 혼란스럽다 7. 그윽하다.

 [hao, Mo] : 오랑캐 ; 맥./ 담비 ; 학.   1. 오랑캐 3. 튼튼하다 4. 고요하다  

 [zhi] : 해칠 ; 기.   1. 질투하다 2. 거스르다 3. 흉악하다, 4. 고집스럽다 5. 원망하다. 

 [can] : 부끄러워할 ; 참.     1. 부끄러워하다 2. 부끄럽다 3. 부끄러움 4. 수치. 
 [du] : 강샘할 ; 투.     1. 강샘하다(지나치게 시기하다) 2. 투기하다 3. 시새우다, 시기하다.
 [lan] : 탐할 ; 람, 남.    1. 욕심 부리다 2. 탐욕심하다 3. 삼가지 않다 4. (술 한 순배)돌다 .
 [diāo] : 시들 ; 조.     1. 시들다 2. 여위다 4. 슬퍼하다 5. 새기다. 
 [tuo] : 넓힐 ; 척./ 주울 ; 척./ 박을 ; 탁.  1. 확장하다 2. 개척하다 4. 크다 5. 들어 올리다.
 [di] : 산앵두나무 ; 체/. 익숙할 ; 태.  1 산앵두나무 2. 통하다(通--) a. 익숙하다 (태). 

 [piān] : 나부낄 ; 편.       1. 나부끼다 2. 훌쩍 날다 3. 오락가락하다. 
 [xi] : 맬 ; 계.    1.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9. 혈통. 

     

 

 

※  原 文 .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