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國策(전국책) 17

戰國策 西周策

戰國策 西周策 西周策 薛公以齊為韓、魏攻楚, 又與韓、魏攻秦, 而藉兵乞食於西周. ​(설공이제위한、위공초, 우여한、위공진, 이차병걸식어서주. ) [제나라 '설공'(맹상군)이 한․ 위 두 나라와 합세해 초나라를 공격한 후 다시 한․ 위 두 나라와 함께 진나라를 공격하면서 서주에게 병사와 식량 지원을 요청하였다. ] 韓慶為西周謂薛公曰:「 君以齊為韓、魏攻楚, 九年而取宛、葉以北以強韓、魏, 今又攻秦以益之. 韓、魏南無楚憂, 西無秦患, 則地廣而益重, 齊必輕矣. 夫本末更盛, 虛實有時, 竊為君危之. 君不如令弊邑陰合於秦而君無攻, 又無藉兵乞食. 君臨函谷而無攻, 令弊邑以君之情謂秦王曰:『 薛公必破秦以張韓、魏, 所以進兵者, 欲王令楚割東國以與齊也. 』 秦王出楚王以為和. 君令弊邑以此忠秦, 秦得無破, 而以楚之東國自免也, 必欲之. 楚王出, ..

戰國策 中山策

戰國策 中山策 ​ ​ 中山策 魏文侯欲殘中山. 唱莊談謂趙襄子曰:「 魏并中山, 必無趙矣. 公何不請公子傾以為正妻,因封之中山,是中山復立也.」 犀首立五王,而中山後持. (위문후욕잔중산. 창장담위조양자왈 : 「 위병중산, 필무조의. 공하불청공자경이위정처, 인봉지중산, 시중산부입지. 」 서수립오왕, 이중산후지.) [위나라 문후가 중산을 멸망시키려고 하였다. '창장담'이 '조양자'에게 말하기를 : " 위나라가 중산국을 병합하게 되면, 틀림없이 조나라는 무사하지 못할 것입니다. 공께서는 어찌하여 공자경(위문후의 딸)을 정부인으로 삼겠다고 요청하지 않으십니까. 만약 그를 "중산"에 봉한다면 중산국은 다시 일어설 수 있습니다. "라고 하였다. '서수'(공손연)가 초, 한, 위, 연, 중산의 군주를 왕으로 세울 때 중산을 마지..

戰 國 策

戰 國 策 【 序文 】 《전국책(戰國策)》은 주(周) 정정왕(貞定王) 57년(기원전 454)으로부터 진시황 37년(기원전 210)에 이르기까지 약 240년 동안의 정치, 사회와 책사언행(策士言行)을 기록한 역사책이다. 그 작자는 알 수 없으나, 서주(西周), 동주(東周)를 비롯하여 진(秦), 초(楚), 제(齊), 위(魏), 연(燕), 한(韓), 송(宋), 위(衛), 중산(中山)등의 12국책(十二國策)으로 나누어 모두 33권이다. 책명을 『국책(國策)』, 『국사(國事)』, 『단장(短長)』, 『사어(事語)』, 『장서(長書)』라고 하기도 한다. 중국 전한 시대의 유향(劉向)이 전국시대(기원전 475 ~ 222)의 수많은 제후국 전략가들의 정치, 군사, 외교 등 책략을 모아 집록한 자료를 《전국책》이라 한다. ..

戰國策 魏策

魏 策 ​ ​ 【 序文 】 ​위나라는 원래 희성(姬姓)으로 주문왕의 아들 필공(畢公) 고(高)의 후예가 세운 나라이다. 진헌공 16년(기원전 661)에 필만(畢萬)을 위(魏) 땅에 봉하자 이후 줄곧 진(晉)나라의 경대부가 되었다. 위환자(魏桓子)의 손자 위사(魏斯)가 재위한지 44년이 되던 주위열왕 23년(기원전 403)에 주위열왕이 그를 위문후(魏文侯)로 봉후(封侯)했다. 위나라는 위문후와 그의 뒤를 이은 위무후(魏武侯) 때 뛰어난 통치술을 발휘해 그 위세를 떨쳤으나 이후 줄곧 약소국을 면치 못했다. 위나라의 영토는 지금의 섬서성 일부 지역과 하남성 북부, 하북성 일부, 산동성 관현 일대 등 여러 곳으로 넓게 흩어져 있었다. 주요한 지역으로는 산서성 서남부의 하동(河東)과 하남성 북부의 하내(河內), ..

戰國策 韓策

韓 策 ​ ​ 【 序文 】 ​한나라는 원래 희성으로 진(晉)나라를 섬기다가 한원(韓原)에 봉해지면서 성씨를 한성(韓姓)으로 바꾸게 되었다. 진경공(晉景公) 때 한궐(韓厥)이 한헌자(韓獻子)가 되어 육경(六卿)의 일원이 되었다. 이후 그의 후예들이 줄곧 진나라의 경대부로 세습케 되었다. 주위열왕 23년(기원전 403), 한건(韓虔)이 공식으로 한경후(韓景侯)에 봉해졌다. 한나라의 강역은 지금의 산서성 동남부와 하남성 중부에 걸쳐 있었다. 서쪽으로는 진, 위 두 나라와 접경하고 남쪽으로는 초나라와 접경해 늘 강대국의 위협에 시달렸다. 도읍은 원래 평양(平陽: 산서성 임분현 서북쪽)이었다. 그러나 주위열왕 10년(기원전 416)에 한무자(韓武子)가 의양(宜陽: 하남성 의양현 서쪽)으로 천도했다가 다시 한경후(..

戰國策 宋衛策

宋 衛 策 ​ ​ 【 序文 】 ​송나라는 미자계(微子: ‘미’는 국호, ‘자’는 작위였으나 성씨가 됨, 계는 이름)로부터 시작한다. 그는 은왕조 제을(帝乙)의 장자로 주왕(紂王)의 서형(庶兄)이었다. 주공이 주성왕의 명을 받아 무경(武庚)과 관숙(管叔)을 죽이고 채숙(蔡叔)을 추방하면서 미자계로 하여금 은왕조의 후사를 잇게 하면서 송(宋) 땅에 봉했다. 영역은 지금의 하남성 동남부와 산동성 일부, 강소성 일부, 안휘성 일부에 걸쳐 있었다. 도읍은 수양( 睢陽: 하남성 상구시 서남쪽)이었다. 양관(楊寬)은 「전국사」에서 전국시대 초기인 송소공(宋昭公)이나 송도공(宋悼公) 때 팽성(彭城: 강소성 서주시)으로 천도했을 공산이 크다는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주난왕 29년(기원전 286), 송왕 언(偃)이 제민..

戰國策 燕策

燕 策 【 序文 】 연나라는 원래 희성으로 소공(召公) 석(奭)이 주무왕을 도와 은주(殷紂)를 멸하면서 북연(北燕)에 봉해진 것이 건국의 계기가 되었다. 도읍은 계(蓟: 북경시)로 후대 왕조가 북경에 건도(建都)하는 남상이 되었다. 주현왕 46년(기원전 323), 연역왕(燕易王)이 처음으로 칭왕했다. 진시황 25년(기원전 222), 연왕 희(喜)가 진시황에게 항복함으로써 멸망하고 말았다. 영토는 지금의 하북성 북부와 요녕성 서남부, 산서성 동북쪽 일부 등에 걸쳐 있었다. 燕策 一 蘇秦將為從,北說燕文侯曰:「燕東有朝鮮、遼東,北有林胡、樓煩,西有云中、九原, 南有呼沱、易水. 地方二千餘里,帶甲數十萬,車七百乘,騎六千匹,粟支十年. 南有碣石、雁門之饒,北有棗粟之利,民雖不由田作,棗栗之實,足食與民矣. 此所謂天府也. ​夫安樂無..

戰國策 趙策 2

趙策 2 趙策 三 . 《趙惠文王三十年》 趙惠文王三十年,相都平君田單問趙奢曰:「吾非不說將軍之兵法也,所以不服者,獨將軍之用眾. 用眾者, 使民不得耕作, 糧食輓賃不可給也. 此坐而自破之道也, 非單之所為也. 單聞之, 帝王之兵, 所用者不過三萬,而天下服矣. 今將軍必負十萬、二十萬之眾乃用之,此單之所不服也.」 [주난왕 46년(기원전 269), 조혜문왕은 재위 30년이 되자, 도평군(都平君) 전단(田單)을 재상으로 삼았다. 그러자 전단이 조나라 장수 조사(趙奢)에게 말하기를 : “나는 장군의 병법을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장군이 많은 병력을 사용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소. 많은 병력을 사용하면 경작 할 수 없고, 군량을 운송해 공급할 수도 없게 되오. 이는 앉아서 스스로 패망하는 길이오.나는 결코 이같이 하지는 않을..

戰國策 趙策 1

趙 策 【 序文 】 * 조나라는 원래 영성(嬴姓)의 나라이다. 선조 조보(造父)는 주목왕(周穆王) 때 말을 기르는 일을 담당해 공을 세우고 조성(趙城: 산서성 조성현)에 봉해졌다. 이후 성이 조성(趙姓)이 되었다. 조보의 6세손인 엄보(奄父)에 이르러 숙대(叔代)를 낳자 숙대의 5세손인 조숙(趙夙) 때에 그의 손자인 조최(趙衰)가 진헌공(晉獻公)의 공자 중이(重耳)를 좇아 망명길에 올랐다. 중이가 19년 간의 망명을 끝내고 보위에 올라 진문공(晉文公: 기원전 636 ~ 620)이 되자 조최가 국정을 맡게 되었다. 조최가 죽은 후 그의 아들 조돈(趙盾)이 뒤를 이어 국정을 담당했고, 그가 죽자 아들 조삭(趙朔)이 진나라의 국정을 좌우했다. 조삭의 아들 조무(趙武)는 진평공(晉平公) 12년(기원전 546)에..

戰國策 秦策 3

秦策 3 秦策 四 . ​秦取楚漢中,再戰於藍田,大敗楚軍. 韓、魏聞楚之困,乃南襲至鄧,楚王引歸. [진나라가 초나라의 한중 땅을 탈취하고, 다시 남전(藍田)에서 초나라 군사를 대파했다. 그러자 한, 위 두 나라는 초나라가 곤경에 처해 있다는 얘기를 듣고 남으로 등읍(鄧邑: 하남성 등현)까지 쳐들어 갔다. 이에 초회왕은 남전에서 철수하고 말았다. 주난왕 3년(기원전 312) 後三國謀攻楚,恐秦之救也,或說薛公:「可發使告楚曰:『今三國之兵且去楚, 楚能應而公攻秦, 雖藍田豈難得哉! 況於楚之故地?』 楚疑於秦之未必救己也,而今三國之辭去, 則楚之應之也必勸,是楚與三國謀出秦兵矣. 秦為知之,必不救也. 三國疾攻楚,楚必走秦以急;秦愈不敢出,則是我離秦而攻楚也,兵必有功.」 薛公曰:「善.」 遂發重使之楚,楚之應之果勸. 於是三國並力攻楚,楚果告急於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