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 (시경) 풍(風,國風) 162

國風. 豳風(빈풍) 7편 낭발2장(狼跋二章)

國風. 豳風(빈풍) 7편 낭발2장(狼跋二章) 狼跋其胡 載疐其尾. 公孫碩膚 赤舃几几. 狼疐其尾 載跋其胡. 公孫碩膚 德音不瑕. 1장. 狼跋其胡오 載疐其尾로다. 公孫碩膚하시니 赤舃几几샷다. 낭발기호오 재치기미로다. 공손석부하시니 적석궤궤샷다. 興也라 늙은 이리가 앞으로 가면 아래턱을 밟고, 뒤로 물러나면 또 긴 꼬리에 걸려 넘어지네. 공은 자만심이 강하시니, 발에 붉은 신을 신고 의젓하게 걸어 가시네. 興也라. 跋은 躐也라. 胡는 頷下懸肉也라. 載는 則이오 疐는 跲也라. 老狼有胡에 進而躐其胡면 則退而跲其尾라. 公은 周公也라. 孫은 讓이오 碩은 大요 膚는 美也라. 赤舃은 冕服之舃也라. 几几는 安重貌라. 周公이 雖遭疑謗이나 然이나 所以處之에 不失其常이라. 故로 詩人이 美之라. 言狼跋其胡則疐其尾矣어늘 公遭流言之變하..

國風. 豳風(빈풍) 6편 구역4장(九罭二章)

國風. 豳風(빈풍) 6편 구역4장(九罭二章) 九罭之魚, 鱒魴. 我覯之子, 袞衣繡裳. 鴻飛遵渚, 公歸無所, 於女信處. 鴻飛遵陸, 公歸不復, 於女信宿. 是以有袞衣兮, 無以我公歸兮, 無使我心悲兮. 1장. 九罭之魚여 鱒魴이로다. 我覯之子하니 袞衣繡裳이로다. 구역지어여 준방이로다. 아구지자하니 곤의수상이로다. 興也라 작은 물고기를 잡는 작은 어망속에 송어와 방어가 걸려들었도다. 우리가 만난 이 사람은 곤룡포의 저고리에 수놓은 바지를 입었도다. 興也라. 九罭은 九囊之網也라. 鱒은 似鯶而鱗細眼赤이오, 魴은 已見上하니 皆魚之美者也라. 我은 東人自我也라. 之子는 指周公也라. 袞衣裳은 九章이니 一曰龍이오, 二曰山이오, 三曰華蟲이니 雉也오, 四曰火요, 五曰宗彛이니 虎蜼也니 皆繢於衣요, 六曰藻요, 七曰粉米요, 八曰黼요, 九曰..

國風. 豳風(빈풍) 5편 벌가2장(伐柯二章)

國風. 豳風(빈풍) 5편 벌가2장(伐柯二章) 伐柯如何, 匪斧不克. 取妻如何, 匪媒不得. 伐柯伐柯, 其則不遠. 我覯之子, 籩豆有踐. 1장. 伐柯如何오 匪斧不克이니라. 取妻如何오 匪媒不得이니라. 벌가여하오 비부불극이니라. 취처여하오 비매부득이니라. 比也라 어떻게 하면 도끼자루를 베는가? 도끼가 없으면 도끼자루를 베지 못함이로다. 어떻게 하면 아내를 맞이할 수 있으리오? 중매쟁이가 없으면 얻지 못하느니라. 比也라. 柯는 斧柄也라. 克은 能也라. 媒는 通二姓之言者也라. 周公이 居東之時에 東人이 言此하야 以比平日欲見周公之難이라. 비교함이라. 가는 도끼자루다. 극은 능함이다. 매는 두 성을 통하여 말해주는 자이다. 주공이 동쪽에 있을 때에 동쪽 사람들이 이 말을 하여서 평일에 주공의 만나기가 어려움(정벌을 간 주공..

國風. 豳風(빈풍) 4편 파부3장(破斧三章)

國風. 豳風(빈풍) 4편 파부3장(破斧三章) 既破我斧, 又缺我斨. 周公東征, 四國是皇. 哀我人斯, 亦孔之將. 既破我斧, 又缺我錡. 周公東征, 四國是吪. 哀我人斯, 亦孔之嘉. 既破我斧, 又缺我銶. 周公東征, 四國是遒. 哀我人斯, 亦孔之休. 1장. 旣破我斧오 又缺我斨이나. 周公東征은 四國是皇이로다. 哀我人斯가 亦孔之將이샷다. 기파아부요 우결아장이나. 주공동정은 사국시황이로다. 애아인사가 역공지장이샷다. 賦也라 정벌에서 이미 내 도끼 깨져버리고 또한 우리들의 도끼도 모두 망가졌으나. 용맹스러운 주공께서 동쪽을 정벌하시어 네 나라의 반란을 바로 잡으셨도다. 우리 백성들을 가엽게 여기는 마음이 또한 심히 크시도다. 賦也라. 隋銎曰斧요 方銎曰斨이니 征伐之用也라. 四國은 四方之國也라. 皇은 匡也라. 將은 大也라. 從..

國風. 豳風(빈풍) 3편 동산4장(東山四章)

國風. 豳風(빈풍) 3편 동산4장(東山四章) 我徂東山, 慆慆不歸. 我來自東, 零雨其濛. 我東曰歸, 我心西悲. 制彼裳衣, 勿士行枚. 蜎蜎者蠋, 烝在桑野. 敦彼獨宿, 亦在車下. 我徂東山, 慆慆不歸. 我來自東, 零雨其濛. 果臝之實, 亦施于宇. 伊威在室, 蠨蛸在戶. 町畽鹿場, 熠燿宵行. 不可畏也, 伊可懷也. 我徂東山, 慆慆不歸. 我來自東, 零雨其濛. 鸛鳴于垤, 婦歎于室. 洒掃穹窒, 我征聿至. 有敦瓜苦, 烝在栗薪. 自我不見, 于今三年. 我徂東山, 慆慆不歸. 我來自東, 零雨其濛. 倉庚于飛, 熠燿其羽. 之子于歸, 皇駁其馬. 親結其縭, 九十其儀. 其新孔嘉, 其舊如之何. 1장. 我徂東山하여 慆慆不歸호라. 我來自東일새 零雨其濛이러니. 我東曰歸에 我心西悲호라. 制彼裳衣하여 勿士行枚로다. 蜎蜎者蠋이여 烝在桑野로다. 敦彼獨宿이..

國風. 豳風(빈풍) 2편 치효4장(鴟鴞四章)

國風. 豳風(빈풍) 2편 치효4장(鴟鴞四章) 鴟鴞鴟鴞, 既取我子, 無毀我室. 恩斯勤斯, 鬻子之閔斯. 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女下民, 或敢侮予. 予手拮据, 予所捋荼, 予所蓄租, 予口卒瘏, 曰予未有室家. 予羽譙譙, 予尾翛翛, 予室翹翹, 風雨所漂搖, 予維音嘵嘵. 1장. 鴟鴞鴟鴞아 旣取我子어니 無毁我室이어다. 恩斯勤斯하야 鬻子之閔斯라니라. 치효치효아 기취아자어니 무훼아실이어다. 은사근사하야 죽자지민사라니라. 比也라 부엉아 부엉아, 이미 나의 새끼(병아리)를 잡아 갔으니 내 보금자리만은 훼손하지 말지어다. 나는 고통과 어려움울 참고 견디며, 이미 새끼를 기르느라 근심도 많이 하였느니라. 比也라. 爲鳥言하야 以自比也라. 鴟鴞는 鵂鶹니 惡鳥니 攫鳥子而食者也라. 室은 鳥自名其巢也라. 恩은 情愛也오 勤은 ..

國風. 豳風(빈풍) 1편 칠월8장(七月八章)

豳風 序文 豳은 國名이니 在禹貢雍州岐山之北이오 原隰之野라. 虞夏之際에 棄爲后稷而封於邰러니 及夏之衰하야 棄稷이 不務어늘 棄子不窋이 失其官守하고 而自竄於戎狄之間하니라. 不窋이 生鞠陶하고 鞠陶生公劉하니 能復修后稷之業하야 民以富實이라. 乃相土地之宜하야 而立國於豳之谷焉이러니 十世而大王이 徙居岐山之陽하고 十二世而文王이 始受天命하고 十三世而武王이 遂爲天子하시니라. 武王이 崩하고 成王이 立에 年幼하야 不能涖阼어늘 周公旦이 以冢宰로 攝政하야 乃述后稷公劉之化하고 作詩一篇하야 以戒成王하니 謂之豳風이오 而後人이 又取周公所作과 及凡爲周公而作之詩하야 以附焉하니라 豳은 在今邠州三水縣이오 邰는 在今京兆府武功縣이라. 빈은 나라 이름이니 (『서경』) 우공편에 옹주 기산 북쪽이오 원습의 들판에 있느니라. 우나라(순임금) 하나라(우임금) ..

國風. 曹風(조풍) 4편 하천4장(下泉四章)

國風. 曹風(조풍) 4편 하천4장(下泉四章) 冽彼下泉, 浸彼苞稂. 愾我寤嘆, 念彼周京. 冽彼下泉, 浸彼苞蕭. 愾我寤嘆, 念彼京周. 冽彼下泉, 浸彼苞蓍. 愾無寤歎, 念彼京師. 芃芃黍苗, 陰雨膏之. 四國有王, 郇伯勞之. 1장. 冽彼下泉이여 浸彼苞稂이로다. 愾我寤嘆하여 念彼周京호라. 열피하천이여 침피포랑이로다. 개아오탄하여 념피주경호라. 比而興也라 저 차가운 샘물 흘러내려 저 우거진 가라지 포기를 적셔 주네. 아 나는 잠에서 깨어나 탄식하며 저 주나라 도읍지를 생각하노라. 比而興也라. 冽은 寒也라. 下泉은 泉下流者也라. 苞는 草叢生也라. 稂은 童粱니 莠屬也라. 愾는 歎息之聲也라. 周京은 天子所居也라. 王室이 陵夷하야 而小國이 困弊라. 故로 以寒泉下流而苞稂見傷으로 爲比하고 遂興其愾然以念周京也라. 비교하고 흥기한..

國風. 曹風(조풍) 3편 시구4장(鳲鳩四章)

國風. 曹風(조풍) 3편 시구4장(鳲鳩四章) 鳲鳩在桑, 其子七兮. 淑人君子, 其儀一兮. 其儀一兮, 心如結兮. 鳲鳩在桑, 其子在梅. 淑人君子, 其帶伊絲. 其帶伊絲, 其弁伊騏. 鳲鳩在桑, 其子在棘. 淑人君子, 其儀不忒. 其儀不忒, 正是四國. 鳲鳩在桑, 其子在榛. 淑人君子, 正是國人. 正是國人, 胡不萬年. 1장. 鳲鳩在桑하니 其子七兮로다. 淑人君子여 其儀一兮로다. 其儀一兮하니 心如結兮로다. 시구재상하니 기자칠혜로다. 숙인군자여 기의일혜로다. 기의일혜하니 심여결혜로다. 興也라 뻐꾸기가 뽕나무에 둥지를 트니, 그 새끼가 일곱이로다. 품성이 아름답고 훌륭한 군자여, 그 몸가짐이 단정하고 한결같도다. 그 몸가짐이 단정하고 한결같으니, 마음으로 지조를 지킴이 굳세도다. 興也라. 鳲鳩는 秸鞠也니 亦名戴勝이니 今之布穀也라..

國風. 曹風(조풍) 2편 후인4장(候人四章)

國風. 曹風(조풍) 2편 후인4장(候人四章) 彼候人兮, 何戈與祋. 彼其之子, 三百赤芾. 維鵜在梁, 不濡其翼. 彼其之子, 不稱其服. 維鵜在梁, 不濡其咮. 彼其之子, 不遂其媾. 薈兮蔚兮, 南山朝隮. 婉兮孌兮, 季女斯飢. 1장. 彼候人兮는 何戈與祋이어니와. 彼其之子는 三百赤芾이로다. 피후인혜는 하과여돌이어니와. 피기지자는 삼백적불이로다. 興也라 저 말단의 빈객을 맞이하는 무사들은, 짧은 창(6척 6촌)과 창대(1장 2척)를 메고 있는데 저기 하찮은 소인배들이여, 대부라고 으스대는 자가 삼백 명이나 되도다. 興也라. 候人은 道路迎送賓客之官이라. 何는 揭라. 祋은 殳也라. 之子는 指小人이라. 芾은 冕服之鞸也라. 一命은 縕芾黝珩이고, 再命은 赤芾黝珩이오, 三命은 赤芾葱珩이오, 大夫以上은 赤芾乘軒이라. 此는 刺其君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