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논어) /券 十一. 先進篇

券 十一. 先 進 篇 (선진편)

덕치/이두진 2021. 6. 25. 18:31

 

                  券 十一.   先 進 篇 (선진편)

 

1.  子曰:「先進於禮樂, 野人也;後進於禮樂, 君子也.  如用之, 則吾從先進.」 

     (자왈 : 「선진어례악, 야인야 ; 후진어례악, 군자야.  여용지, 즉오종선진.」)
     

      ['공자'가 말하기를 : “ 세상 사람들은 평민들이 예악에 남긴 업적을 야만인답다 라고 하고,  

      귀족들이 예악에 남긴 업적을 군자라고 하지만, 만일 내가 예악을 쓰게 된다면,

      ​나는 야만인을 따를 것이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平民因學習優秀而獲得官職.  貴族因世襲了官職而去學習.  如果我用人, 就用平民.」
      Kǒngzǐ shuō : 「pingmin yīn xuexi yōuxiu er huode guānzhi. 
      guizu yīn shixi le guānzhi er qu xuexi.  ruguǒ wǒ yongren,  jiu yong pingmin.」】
           

2.  子曰:「從我於陳, 蔡者, 皆不及門也.」
     (자왈 : 「종아어진,채자, 개불급문야.」)
      

      ['공자'가 말하기를 : “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나를 따르며 고통받던 사람들이,

      지금은 모두 내 문하에 있지 않구나. "라고 하였다.] 

 

    【孔子說:「跟我在陳,蔡受苦的人, 都不在身邊了.」 
      Kǒngzǐ shuō : 「gēn wǒ zai Chen, Cai shoukǔ de ren,  dōu bu zai shēnbiān le.」】

 

3.  德行:顏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宰我, 子貢. 政事:冉有, 季路. 文學 : 子游, 子夏.
    (덕행 :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  언어 : 재아, 자공. 정사 : 염유, 계로.  문학 : 자유, 자하.)


     [덕행에는 :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었고,  언어에는  '재아', '자공'이었고, 

     정사에는 '염유', '계로(자로')였고, 문학에는 '자유', '자하'였다.]

 

    【孔子的學生中, 品德高尚的有:顏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善於言談的有:宰我, 子貢;  

      Kǒngzǐ de xuesheng zhōng, pǐndegāoshang de yǒu :  

      Yanyuān, Mǐnzǐqiān, Rǎnboniu, Zhonggōng. shan yū yantan de yǒu : Zǎiwǒ, Zǐgong ; 

       善於言談的有:宰我, 子貢; 善於政事的有:冉有, 季路; 精通文學的有:子游, 子夏.
      
shan yū yantan de yǒu : Zǎiwǒ,  Zǐgong ;  shan yū zhengshi de yǒu : Rǎnyǒu,  Jilu ;
      jīngtōng wenxue de yǒu : Zǐyǒu, Zǐxia.】

 

4.  子曰:「回也非助我者也, 於吾言無所不說.」
     (자왈 : 「회야비조아자야, 어오언무소불열.」)


      ['공자'가 말하기를 : “ '안회'는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 아닌가 보다. 
      내가 말할 때에는 귀 기울여 듣고 기뻐하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라고 하였다.] 

 

     【孔子說:「顏回對我沒幫助, 我所說的一切他都洗耳恭聽.」
       Kǒngzǐ shuō : 「Yanhui dui wǒ mei bāngzhu, wǒ suǒ shuō de yiqie tā dōu xǐ'ěrgōngtīng.」】

 

5.  子曰:「孝哉閔子騫!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
     (자왈 : 「효재민자건 ! 인불간어기부모곤제지언.」


      ['공자'가 말하기를 :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 

      다른 사람들도 '민자건'의 부모와 형제가 그를 칭찬하는 말에 이의가 없구나.”라고 하였다.]

 

    【孔子說:「閔子騫真孝順!外人都贊同他父母兄弟對他的稱贊.」 
      Kǒngzǐ shuō : 「Mǐnzǐqiān zhēn xiaoshun ! wairen dōu zantong tā fumǔxiōngdi dui tā de chēngzan.」】 

 

6.  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妻之.
     (남용삼복백규, 공자이기형지자처지.)


      ['남용'이《詩經》의 백규(白圭)장을 평소에 세 번씩 되풀이하여 외우니,

      ​'공자'는 자기 형님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

 

    【南容經常朗誦有關言談謹慎的詩篇, 孔子就把侄女嫁給了他.
      Nanrong jīngchang lǎngsong yǒuguān yantan jǐnshen de shī piān, Kǒngzǐ jiu bǎ zhinǚ jia gěi le tā.】 

 

7.  季康子問:「弟子孰為好學?」 孔子對曰:「有顏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今也則亡.」
    (계강자문 ; 「제자숙위호학 ?」 공자대왈 : 「유안회자호학, 불행단명사의 ! 금지즉망.」


     ['계강자'가 묻기를 : “ 당신의 제자 중에서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안회'라는 제자가 있어 학문을 좋아하더니 불행히 명이 짧아 죽었습니다! 

     현재는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라고 하였다.] 

 

   【季康子問:「您的學生中誰好學?」  孔子答:「有個叫顏回的好學, 不幸短命死了, 現在沒有.」
     
Jikāngzǐ wen :「nin de xuesheng zhōng shui haoxue ?」 
     Kǒngzǐ da : 「yǒu ge jiao Yanhui de haoxue,  buxing duǎnming sǐ le, xianzai meiyǒu.」】

 

 

8.  顏淵死, 顏路請子之車以為之椁.  子曰:「才不才, 亦各言其子也.  鯉也死, 有棺而無椁.

    吾不徒行以為之椁.  以吾從大夫之後, 不可徒行也.」  

     (안연사, 안로청자지거이위지곽. 자왈 :「재불재, 역각언기자야.  이야사, 유관이무곽.  

     ​오불도행이위지곽.  이오종대부지후, 불가도행야.」)


     ['안연'이 죽자, '안로'(안연의 父)가 스승의 수레를 팔아 덧널을 만들 비용을 마련하기를 청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 “재주가 있든 재주가 없든 모두 각기 자기 자식에 대해 말하는 것인데, 

     '이'(공자의 子)가 죽었을 때는 관만 있고 덧널은 없었다.  내가 걸어 다니며 덧널을 마련해 주지 못하는 것은 

     ​내가 대부의 신분이라 걸어 다니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顏淵死, 顏淵的父親顏路請孔子賣車給顏淵做槪孔子說:「有才無才, 都是兒子.   

      我的兒子孔鯉死時, 有棺而無槪我不賣車步行為他做槨, 因為我做過大夫, 不可以步.

      Yanyuān sǐ, Yanyuān de fuqīn Yanlu qǐng Kǒngzǐ mai chē gěi Yanyuān zuo gai Kǒngzǐ shuō :
      yǒucai wucai, dōushi erzi.  wǒ de erzi kǒnglǐ sǐ shi, yǒu guān er wu gai wǒ bu maichē buxing 

      wei tā zuo guǒ, yīnwei wǒ zuo guo dafū,  bukěyǐ buxing.」】 

 

9.  顏淵死. 子曰:「噫!天喪予!天喪予!」 
    (안연사.  자왈 ; 「억 ! 천상여 ! 천상여 ! 」)


     ['안연'이 죽자. '공자'가 말하기를 : “아!슬프구나. 하늘이 나를 망쳤도다!

     ​하늘이 나를 망쳤도다!”라고 하였다.]

 

    【顏淵死, 孔子說:「哎!老天要我的命啊!老天要我的命啊」
      Yanyuān sǐ,  Kǒngzǐ shuō : 「āi ! lǎotiān yao wǒ de ming a ! lǎotiān yao wǒ de ming a !」】

  

10.  顏淵死, 子哭之慟.  從者曰:「子慟矣.」  曰:「有慟乎? 非夫人之為慟而誰為!」
      (안연사, 자곡지통. 종자왈 : 「자통의.」  왈 :  「유통호 ? 비부인지위통이수위!」)

       ​['안연'이 죽자, '공자'는 통곡하며 너무 슬퍼하였다.   

       곁에 있던 사람이 말하기를 : “선생님께서 너무 슬퍼하십니다.”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나의 애통함에 지나침이 있는가 ? 
       이 사람을 위해 애통해 하지 아니하면 누구를 위해 애통해 하겠는가 ? ”라고 하였다.] 

 

     【顏淵死, 孔子痛哭.  身邊的人說:「您不要過於悲痛了!」孔子說:「過於悲痛了嗎? 不為他悲痛為誰悲痛?」 
       Yanyuān sǐ,  Kǒngzǐ tongkū.  shēnbiān de ren shuō : 「nin buyao guo yū bēitong le !」

       ​Kǒngzǐ shuō : 「guo yū bēitong le ma ?  bu wei tā bēitong wei shui bēitong ? 」】

  

11.  顏淵死, 門人欲厚葬之, 子曰:「不可.」  門人厚葬之.  

      子曰:「回也視予猶父也, 予不得視猶子也.  非我也, 夫二三子也.」  

      (안연사, 문인욕후장지, 자왈 : 「불가.」  문인후장지.  
      자왈 ; 「회야시여유부야, 여불득시유자야.  비아야, 부이삼자야.」)


      ['안연'이 죽자, 문인들이 장례를 성대하게 치르려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 “옳지 않다.”라고 하였다. 

      그래도 문인들이 성대하게 장례를 치렀다 

      '공자'가 말하기를 : “'안회'는 나를 아버지와 같이 여겼는데 나는 그를 자식같이 대우하지 못했으니,

      ​이것은 나의 잘못이 아니라 너희들의 잘못이니라. ”라고 하였다.] 

 
     【顏淵死, 學生們要厚葬他. 孔子說:「不可.」 學生們還是厚葬了他.

       Yanyuān sǐ, xueshengmen yao houzang tā.
       Kǒngzǐ shuō : 「bukě.」 xueshengmen haishi houzang le tā.
       孔子說:「顏回把我當作父親, 我卻沒把他當作兒子.  不是我要這樣, 是學生們背著我乾的.」
  
     Kǒngzǐ shuō : 「Yanyuān bǎ wǒ dangzuo fuqīn,  wǒ que mei bǎ tā dangzuo erzi.  
       bushi wǒ yao zheyang,  shi xueshengmen bēi zhu wǒ qian de.」】

 

12.  季路問事鬼神.  子曰:「未能事人, 焉能事鬼?」  敢問死.  曰:「未知生, 焉知死?」
      (계로문사귀신. 자왈 ; 「미능사인, 언능사귀 ? 」  감문사.  왈 ; 「미지생, 언지사 ? 」)


       ['계로'(자로)가 귀신을 섬기는 일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기를 : “능히 사람을 잘 섬기지 못하면서 어찌 귀신을 잘 섬기겠는가 ? ”라고 하였다.

       '자로'가 묻하기를 : “ 감히 죽음에 대해 묻겠습니다.”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삶에 대해 아직 알지 못하면서 어찌 죽음에 대해 알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季路問怎樣侍奉鬼神, 孔子說:「人都不能侍奉好, 還談什麽侍奉鬼神?」

      Jilu wen zěnyang shifeng guǐshen,

      ​Kǒngzǐ shuō : 「ren dōu buneng shifeng hǎo,  hai tan shenmo shifeng guǐshen ?」
     「請問死是怎麽回事?」 「生都不瞭解, 還談什麽瞭解死?」
     「qǐngwen sǐ shi zěnmo hui shi ? 」 「shēng dōu bu liǎojiě,  hai tan shenmo liǎojiě sǐ ?」】

 

13.  閔子侍側, 誾誾如也;子路, 行行如也;冉有, 子貢, 侃侃如也. 子樂.「若由也, 不得其死然.」
      (민자시측, 은은여야 ; 자로, 행행여야 ; 염유, 자공, 간간여야.  자락. 「약유야, 불득기사연.」)


       ['민자건'은 '공자'를 곁에서 모실 적에 공손하며 훌륭한 모습이었고, '자로'는 꿋꿋한 모습이었으며, 
       '염유'와 '자공'은 당당하면서도 쾌활한 모습이었으니 '공자'는 즐거워하였다.
       “중유(자로) 같은 사람은 자기의 수명대로 죽지 못할 듯하다.”라고 하였다.] 

 

     【閔子騫在旁侍奉時, 一副正直而恭敬的樣子;子路侍奉時, 一副剛強的樣子;
       Mǐnzǐqiān zai pang shifeng shi,  yifu zhengzhi er gōngjing de yangzi ; 

       Jǐlu shifeng shi,  yifu gāngqiang de yangzi ;
       冉有, 子貢侍奉時, 一副溫和快樂的樣子.  孔子樂了, 說:「象子路這樣, 恐怕不得好死.」
       Rǎnyǒu, Jǐgong shifeng shi, yifu wēnhuo kuaile de yangzi. 

       Kǒngzǐ le le, shuō ; 「xiang Jǐlu zheyang,  kǒngpa bude hǎo sǐ.」】

 

14.  魯人為長府.  閔子騫曰:「仍舊貫, 如之何?何必改作?」 子曰:「夫人不言, 言必有中.」
      (노인위장부. 민자건왈 :  「잉구관, 여지하 ? 하필개작 ?」 자왈 : 「부인불신, 언필유중.」)


       [노나라 사람이 창고를 고쳐 짓게 되었다.

       '민자건'이 이것을 보고 말하기를 : “예전 구조를 그대로 따르는 것이 어떻겠는가 ? 
       어찌 반드시 고쳐 지을 필요가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공자'가 듣고 말하기를 : “ '자건'은 함부로 말을 하지 않지만, 말을 하면 반드시 도리에 맞구나.”라고 하였다.] 

 

      【魯國重建國庫.  閔子騫說:「仍用舊庫, 不行嗎? 何必改建?」
       Lǔguo chongjian guoku.  Mǐnzǐqiān shuō : 「reng yong jiu ku,  buxing ma ?  hebi gǎijian ? 」
       孔子說:「此人很少說話, 但一開口就說到點子上.」

       ​Kǒngzǐ shuō : 「cǐren hěnshǎo shuōhua,  dan yī kāikǒu jiu shuō dao diǎnzi shang.」】 

 

15.  子曰:「由之瑟奚為於丘之門?」 門人不敬子路.  子曰:「由也升堂矣, 未入於室也.」
      (자왈 : 「유지슬해위어구지문 ?」 문인불경자로.  자왈 : 「유야승당의, 미입어실야.」) 

  
       ['공자'가 말하기를 : “'중유(자로)'가 거문고를 어찌 내 집 문 안에서 연주하는가 ? ”라고 하자.

       문인들이 이 말을 듣고 '자로'를 존경하지 않았다.

       '공자'가 말하기를 : “중유의 학문이 마루에는 올랐지만 아직 방에는 들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子路彈琴, 乾嘛要在我這裏彈?」 學生因此不尊敬子路.
       Kǒngzǐ shuō : 「Zǐlu tan qin, qian ma yao zai wǒ zhelǐ tan ?」xuesheng yīncǐ bu zūnjing Zǐlu.
       孔子知道後, 說:「子路的彈得很不錯了, 衹是還不精通而已.」
       Kǒngzǐ zhīdao hou, shuō : 「Zǐlu de tan de hěn bucuo le, zhǐshi hai bu jīngtōng eryǐ.」】

  

16.  子貢問:「師與商也孰賢?」 子曰:「師也過, 商也不及.」  

      曰:「然則師愈與?」 子曰:「過猶不及.」
      (자공문 : 「사여상야숙현 ?」 자왈 : 「사야과, 상야불급.」 
       왈 : 「연즉사유여 ?」  자왈 : 「과유불급.」)


       ['자공'이 묻기를 : “'사(자장)'와 '상(자하)'은 누가 더 낫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사'는 지나친 편이고, '상'은 미치지 못하는 편이다.”라고 하였다.
       '자공'이 다시 묻기를 : “그렇다면 사가 상보다 낫다는 말씀입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子貢問:「子張與子夏誰能幹些?」 孔子說:「子張做事總是過頭, 子夏總是差點火候.」
       
Zǐgong wen : 「Zǐzhāng yǔ zǐxia shui neng ganxiē ?」 
       Kǒngzǐ shuō : 「Zǐzhāng zuoshi zǒngshi guotou,  Zǐxia zǒngshi chadiǎn huǒhou.」
       說:「那麽是子張強些嘍?」 孔子說:「過頭和差點一樣.」
       shuō :「na mo shi Zǐzhāng qiang xiē lou ?」 Kǒngzǐ shuō : 「guotou hu chadiǎn yiyang.」】

 

17.  季氏富於周公, 而求也為之聚斂而附益之.  子曰:「非吾徒也.  小子鳴鼓而攻之, 可也.」
      (계씨부어주공, 이구야위지취렴이부익지.  자왈 : 「비오도야.  소자명고이공지, 가야.」)


       ['계씨'(노나라)가 '주공'보다 부유했음에도, '구'(염유)가 계씨를 위해 세금을 많이 거둬들여 재산을

       더 늘려 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 “'염유'는 나의 제자가 아니니, 

       제자들아, 북을 쳐서 그의 잘못을 꾸짖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季氏比周公還富, 然而冉求還在幫他搜括錢財. 孔子說:「他不是我的學生, 同學們可以敲鑼打鼓地聲討他.」
       Jishi bǐ Zhōugōng hai fu,  ran'er Rǎnqiu hai zai bāng tā sōukuo qiancai.
       Kǒngzǐ shuō : 「tā bushi wǒ de xuesheng, tongxuemen kěyǐ qiāoluodǎgǔ de shēngtǎo tā.」】

  

18.  柴也愚, 參也魯, 師也辟, 由也喭.
      (시야우, 삼야노, 사야벽, 유야언.)


       [시(고시)는 어리석은 편이고, 삼(증삼)은 굼뜨고 미련한 편이며, 사(전손사)는 과격한 편이고, 

       유(자로)는 성질이 경솔한 편이었다.]

 

      【高柴愚笨, 曾參遲鈍, 顓孫師偏激, 仲由莽撞.
       Gāochai yuben,  Cengcān chidun,  Zhuānsūnshī piānjī,  Zhongyou mǎngzhuang.】

 

19.  子曰:「回也其庶乎, 屢空.  賜不受命, 而貨殖焉, 億則屢中.」
      (자왈 : 「회야기서호, 루공.  사불수명, 이화식언 억즉루중.」) 


       ['공자'가 말하기를 : “'안회'는 학문이 거의 이루어졌으므로 여러 번 양식이 떨어졌어도 마음이 편안하였다.

       '사'는 운명을 믿지 않고 재물을 늘렸으며 시세 판단이 확실하였다.”라고 하였다.] 

 

      【孔子說:「顏回的學問不錯了吧?可他卻受窮. 子貢不相信命運, 卻能經商緻富, 對市場行情判斷準確.」
       Kǒngzǐ shuō : 「Yanhui de xuewen bucuo le bā ?  kě tā que shou qiong.
       Zǐgong bu xiāngxin mingyun,  que neng jīngshāng zhifu, dui shichǎnghangqing panduan zhǔnque.」】 

  

20.  子張問善人之道.  子曰:「不踐跡, 亦不入於室.」
      (자장문선인지도. 자왈 : 「불천적, 역불입어실.」)


       ['자장'이 착한 사람의 도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기를 : “ 착한 사람이라도 성인의 발자취를 밟지 않으면, 
       또한 성인의 방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張問做善人的方法.  孔子說:「不踏著前人的腳印走, 學問也就難以精通.」
        Zǐzhāng wen zuo shanren de fāngfǎ.

        Kǒngzǐ shuō : 「bu ta zhu qianren de jiǎoyin zǒu, xuewen yě jiu nanyǐ jīngtōng.」】

 

21.  子曰:「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자왈: 「논독시여, 군자자호 ? 색장자호 ?」)


       ['공자'가 말하기를 : “ 말이 독실한 사람을 가까이 한다면 군자다운 사람이겠는가 ?  
       모양만 씩씩한 사람이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孔子說:「贊賞忠誠的人, 是君子? 還是僞裝的?」 
       Kǒngzǐ shuō : 「zanshǎng zhōngcheng de ren,  shi jūnzǐ ?  haishi wěizhuāng de ?」】

 

 

22.  子路問:「聞斯行諸?」 子曰:「有父兄在, 如之何其聞斯行之?」

      冉有問:「聞斯行諸?」  子曰:「聞斯行之.」
      (자로문 : 「문사행제? 」 자왈 : 「유부형재, 여지하기문사행지 ? 」

       염유문 : 「문사행제 ? 」  자왈 : 「문사행지.」


       ['자로'가 묻기를 : “옳은 말을 들으면 곧 그대로 실행해야 합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아버지와 형이 계신데 어찌 들으면 곧 그대로 실행할 수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염유'가 묻기를 : “옳은 말을 들으면 곧 그대로 실행해야  합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옳은 말을 들으면 곧 그대로 실행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公西華曰:「由也問聞斯行諸, 子曰『有父兄在』;求也問聞斯行諸,   

      子曰『聞斯行之』.  赤也惑, 敢問.」 子曰:「求也退, 故進之;由也兼人, 故退之.」 
      (공서화왈 : 「유야문문사행제, 자왈『유부형재』 ; 구야문문사행제,
       자왈『문사행지』.  적야혹, 감문.」 자왈 : 「구야퇴, 고진지 ; 유야겸인, 고퇴지.」)


       ['공서화'가 묻기를 : “'유'(자로)가 듣고  역시 그대로 실행할 것 같습니까 ? "라고 하였더니,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 ' 아버지와 형이 계신다.'라고 하셨으며,

        '염구'(염유)도 듣고 나서  곧 그대로 실행하겠습니까 ? 라고 하였으나,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 ' 옳은 말을 들으면 곧 그대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라고 하셔서, 

       저는 의심이 나서 감히 묻습니다.”라고 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 “'염구'는 뒤로 물러서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가도록 북돋아 준 것이고, 

       '중유'는 남보다 앞서기 때문에 뒤로 물러나도록 단속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路問:「聽到就做嗎?」 孔子說:「有父兄在, 怎麽能聽到就做?」
       Zǐlu wen : 「tīngdao jiu zuo ma ?」Kǒngzǐ shuō : 「yǒu fuxiōng zai, zěnmo neng tīngdao jiu zuo ?」
       冉有問:「聽到就做嗎?」  孔子說:「聽到就做.」
       Rǎnyǒu wen : 「tīngdao jiu zuo ma ?」  Kǒngzǐ shuō : 「tīngdao jiu zuo.」
       公西華 說:「仲由問『聽到就做嗎』, 您說『有父兄在』;
       Gōngxīhua shuō : 「Zhongyǒu wen 『tīngdao jiu zuo ma』, nin shuō 『yǒu fuxiōng zai』 ;
       冉求也問『聽到就做嗎』, 您卻說『聽到就做』.  我很疑惑, 請問這是為什麽?」
       Rǎnqiu yě wen『tīngdao jiu zuo ma』,  nin queshuō 『tīngdao jiu zuo』. 

       wǒ hěn yihuo,  qǐngwen zhe shi we shenmo ? 」
       孔子說:「冉求總是退縮, 所以要鼓勵他;仲由膽大, 所以要約束他.」
       Kǒngzǐ shuō : 「Rǎnqiu zǒngshi tuisuō,  suǒyǐ yao gǔli tā ; Zhongyǒu dǎnda, suǒyǐ yao yuēshu tā.」】 

 

23.  子畏於匡, 顏淵後. 子曰:「吾以女為死矣.」 曰:「子在, 回何敢死?」
      (자외어광, 안연후. 자왈 : 「오이여위사의.」 왈 : 「자재, 회하감사 ?」)


       ['공자'가 광 땅에서 고생하고 있을 때에 '안연'이 뒤쳐졌는데, 

       '공자'가 말하기를 : “나는 네가 죽었다고 생각했다 ” 라고 하자, 

       '안연'이 말하기를 : “ 선생님께서 계신데 제가 어찌 감히 죽겠습니까 ? ”라고 하였다.]

 

     【孔子被困於匡地, 顏淵最後才來.  孔子說:「我以為你死了.」 顏淵說:「您在, 我怎敢死?」 
       Kǒngzǐ bei kun yū kuāng di,  Yanyuān zuihou cai lai.
       Kǒngzǐ shuō : 「wǒ yǐwei nǐ sǐle.」  Yanyuān shuō : 「nin zai,  wǒ zěn gǎn sǐ ? 」】

 

 

24.  季子然問:「仲由, 冉求可謂大臣與?」 子曰:「吾以子為異之問, 曾由與求之問.

      所謂大臣者:以道事君, 不可則止. 今由與求也, 可謂具臣矣. 」

      曰:「然則從之者與?」  子曰:「弒父與君, 亦不從也.」 
      (계자연문 : 「중유, 염구가위대신여 ?」 자왈 :「오이자위이지문, 증유여구지문.

      소위대신자 ; 이도사군, 불가즉지. 금유여구야, 가위구신의. 」

      왈 : 「연즉종지자여 ?」  자왈 : 「시부여군, 역불종야.」​)


       ['계자연'이 묻기를 : “'중유'와 '염구'는 대신이라고 할 만합니까 ? ”라고 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 “나는 그대가 다른 질문을 하리라고 생각했는데,

       기껏 '중유'와 '염구'에 대한 질문이구나.  이른바 대신이라 일컬을 수 있는 사람은 도리로써

       임금을 섬기다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만두는데, 
       지금 '중유'와 '염구'는 머릿수만 채우는 신하라고 하여도 좋다.”라고 하였다.
       ['계자연'이 묻기를 : “그렇다면 이들은 시키는 대로 따르기만 하는 사람입니까 ?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아버지와 임금을 시해하는 따위의 일은 또한 따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季子然問:「仲由, 冉求可算大臣嗎?」 
       Jizǐran wen : 「Zhongyou,  Rǎnqiu kě suan dachen ma ?」 
       孔子說:「我以為您問別人, 哪知道您問此二人.  所謂大臣, 應以仁道輔佐君主, 不行就不乾.   

       現在他二人, 可算充數的臣子了.」
  
     Kǒngzǐ shuō : 「wǒ yǐwei nin wen bieren,  nǎ zhīdao nin wen cǐ erren.
       suǒwei dachen, yīng yǐ ren dao fǔzuǒ jūnzhǔ, buxing jiu bu qian. 

       ​xianzai tā erren, kě suan chōngshu de chenzǐ le.」
       說:「那麽他們是否絕對聽話?」 孔子說:「弒父和弒君, 他們也不會服從.」
       shuō : 「namo tāmen shifǒu juedui tīnghua ?」Kǒngzǐ shuō : 「shifu he shijūn, tāmen yě buhui fucong.」】

 

 

25.  子路使子羔為費宰.  子曰:「賊夫人之子.」

      子路曰:「有民人焉, 有社稷焉.  何必讀書, 然後為學?」 子曰:「是故惡夫佞者.」
      (자로사자고위비재. 자왈 : 「적부인지자.」  
       자로왈 : 「유민인언, 유사직언.  하필독서, 연후위학 ?」  자왈 : 「시고악부녕자.」)


       ['자로'가 '자고'(고시의 아들)를 "비" 고을의 시장으로 삼자. 

       '공자'가 말하기를 : “남의 자식을 망치는구나.”라고 하였다.

       '자로'가 말하기를 : “"비" 고을에는 백성도 있고 사직도 있으니 어찌 반드시 글을 읽은 뒤에야

       학문을 한다고 하겠습니까 ?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이런 까닭으로 망령된 자를 미워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路派子羔當費市市長.  孔子說:「這是誤人子弟.」
       Zǐlu pai Zǐgāo dāng feishi shizhǎng.   Kǒngzǐ shuō : 「zhe shi wurenzǐdi.」
       子路說:「有人民, 有土地, 何必讀書, 才算學習?」孔子說:「這真是強詞奪理.」 
       Zǐlu shuō : 「yǒu renmin,  yǒu tǔdi,  hebi dushū,  cai suan xuexi ?」
       Kǒngzǐ shuō : 「zhe zhēnshi qiǎngciduolǐ.」】

 

 

26.  子路, 曾皙, 冉有, 公西華侍坐.  子曰:「以吾一日長乎爾, 毋吾以也.」 

      居則曰:「不吾知也! 如或知爾, 則何以哉?」
      (자로, 증석, 염유, 공서화시좌. 자왈 : 「이오일일장호이, 무오이야.」  

       거즉왈 : 「불오지야 ! 여혹지이, 즉하이재 ? 」


       ['자로'와 '증석'과 '염유', 그리고 '공서화'가 '공자'를 모시고 자리를 같이 하였다. 

       '공자'가 묻기를 : “ 내 나이가 그대들보다 몇살 정도 많은 편이나 이 때문에 어렵게 여기지 말라.  

       그대들이 평소에 말하기를 : "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라고 말하곤 했는데,

       혹시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무엇으로 대비하겠는가?”라고 하자.] 
            

      子路率爾而對曰:「千乘之國, 攝乎大國之間, 加之以師旅, 因之以饑饉; 

      由也為之, 比及三年, 可使有勇, 且知方也.」
      (자로솔이이대왈 : 「천승지국, 섭호대국지간, 가지이사여, 인지이기근 ;

       유야위지, 비급삼년, 가사유용, 차지방야.」


       ['자로'가 경솔하게 선뜻 대답하기를 : “천 대의 전차를 가진 나라가 큰 나라 사이에 끼어서 압박을 당하고,

       군대의 침공을 당하며, 그로 인하여 기근이 들지라도 제가 맡아 다스리면 3년쯤 될 무렵에는

       백성들을 용맹스럽게 하고  예법을 알도록 만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夫子哂之.  「求!爾何如?」  

      對曰:「方六七十, 如五六十, 求也為之, 比及三年, 可使足民.  如其禮樂, 以俟君子.」
      (부자신지. 「구 ! 이하여 ? 」 
       대왈 : 「방육칠십, 여오육십, 구야위지, 비급삼년, 가사족민.  여기예락, 이사군자.」


       ['공자'가 빙긋이 웃으며,  “'염구'야 ! 그대는 어떻게 하겠느냐 ? ” 라고 하자. 
       '염구'가 대답하기를 : “사방 6, 7십리 또는 5, 6십리 쯤 되는 작은 나라를 제가 맡아 다스리면

       3년쯤 지날 무렵에는 백성들이 넉넉히 살 수 있도록 만들겠습니다.

       하지만 예절과 음악을 가르치는 일은 유능한 군자를 기다리겠습니다.”라고 하였다.]
            

     「赤!爾何如?」 對曰:「非曰能之, 願學焉.  宗廟之事, 如會同, 端章甫, 願為小相焉.」
      (「적 ! 이하여 ? 」 대왈 : 「비왈능지, 원학언. 종묘지사, 여회동, 단장보, 원이소상언.」


       [“'적'아 !  그대는 어떻게 하겠는가 ? ”라고 하자, 
       
'공서적' 대답하기를 : “제가 잘 할 수 있다는 말은 아니고, 배우기를 원할 뿐입니다. 

       나라의 종묘에 제사 지내는 일과 여러 나라 사이에 회견이 있을 때  

       현단복과 장보관 차림으로 조금 돕기를 원합니다.”라고 하였다.] 
            

     「點!爾何如?」 鼓瑟希, 鏗爾, 舍瑟而作.  對曰:「異乎三子者之撰.」  

      子曰:「何傷乎? 亦各言其志也.」
      (「점 ! 이하여 ?」 고슬희, 갱이, 사슬이작.  대왈 : 「이호삼자자지찬.」

       자왈 : 「하상호 ? 역각언기지야.」


       [ '증점'아 ! 그대는 어떻게 하겠는가 ? ”라고 하자, 
       '증점'이 천천히 비파를 타다가 탕탕소리를 내고는 비파를 놓고 일어나 대답하기를 :

       “ 저는 저 세 사람의 생각과는 다릅니다.”라고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 “무슨 불편한 일이 있겠는가 ? 각자 자신의 뜻을 말하는 것이니라.”라고 하였다.] 
           

      曰:「莫春者, 春服既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왈 : 「막춘자, 춘복기성. 관자오육인, 동자육칠인, 욕호기, 풍호무우, 영이귀.」


       [그러자 증점이 말하기를 : “ 늦은 봄철에 봄옷으로 갈아 입고 어른 대여섯 명과 아이 예닐곱 명과 함께 

       "기수"에 가서 목욕하고 "무우"에 가서 시원한 바람을 쐬고 시를 지어 읊으면서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夫子喟然歎曰:「吾與點也!」 三子者出, 曾皙後.  曾皙曰:「夫三子者之言何如?」
       (부자위연탄왈 : 「오여점야 ! 」 삼자자출, 증석후.  증석왈 : 「부삼자자지언하여 ?」


       [선생님(공자)는 탄식하며 말하기를 : “ 나는 '증점'과 함께 하고 싶다 ! ”라고 하였다. 
       세 사람(자로, 염유, 공서화)이 밖으로 나가고, '증석'은 뒤에 남았다. 
       '증석'이 '공자'에게 묻기를 : “저 세 사람의 말이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 ”라고 하자.]
            

      子曰:「亦各言其志也已矣.」 曰:「夫子何哂由也?」   

      曰:「為國以禮, 其言不讓, 是故哂之.」 「唯求則非邦也與?」
      (자왈 : 「역각언기지야이의.」 왈 : 「부자하신유야 ?」 
       왈 : 「위국이례, 기언불양, 시고신지.」 「유구즉비방야여 ? 」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또한 각기 자신의 뜻을 말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증석'이 말하기를 : “선생님께서는 무엇 때문에 자로의 말에 웃으셨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예법으로 해야 하는데도 '자로'는 겸손하지 않기 때문에

       비웃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증석'이 묻기를 : “'염구'가 말한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아닙니까 ? ”라고 하자.]
            

    「安見方六七十如五六十而非邦也者?」 「唯赤則非邦也與?」  

    「宗廟會同, 非諸侯而何? 赤也為之小, 孰能為之大?」
     (「안견방육칠십여오육십이비방야자 ?」 「유적즉비방야여 ?」 
     「종묘회동, 비제후이하 ?  적야위지소, 숙능위지대 ?」)


      ['공자'가 대답하기를 : “사방 6, 7십리나 5, 6십리 되는 것을 어찌 나라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겠는가? ”하였다.

      '증점'이 묻기를 : “적(공서화)이 말한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아닙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종묘 제사와 여러 나라들이 회견하는 일이 제후의 일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 

      ​'공서적'이 맡은 일이 작은 임무라면 누가 그보다 큰 임무를 맡을 수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子路, 曾皙, 冉有, 公西華陪坐, 孔子說 : 「不要顧及我年長, 而不敢講真話.
       Zǐlu, Cengxī, Rǎnyǒu, Gōngxīhua pei zuo, 
       Kǒngzǐ shuō : 「buyao guji wǒ nianzhǎng,  er bugǎn jiǎng zhēn hua.」
       你們經常說, 沒人理解你們, 如果有人理解並重用你們, 你們打算咋辦?」
       nǐmen jīngchang shuō,  mei ren lǐjiě nǐmen, 
       ruguǒ yǒu ren lǐjiě bing zhongyong nǐmen,  nǐmen dǎsuan zǎban ?」
      子路急忙說 : 「較大國家, 夾在大國之間, 外有強敵入侵, 內有饑荒肆虐, 我來管理,  

      衹要三年, 可使人人有勇氣, 個個講道義.」
      
Zǐlu jimang shuō : 「jiaoda guojiā, jiā zai daguo zhījiān, wai yǒu qiangdi ruqīn,  

      nei yǒu jīhuang sinue,  wǒ lai guǎnlǐ,  zhǐyao sānnian, kě shǐ renren yǒu yǒngqi, gege jiǎng daoyi.」
      孔子微笑.  「冉求, 你怎樣?」 答 : 「方圓幾十里的地方, 我來治理, 衹要三年,  

      可使百姓衣食充足, 至於精神文明, 要等能人來教化.」 「公西赤, 你怎樣 ?」 
  
    Kǒngzǐ wēixiao. 「Rǎnqiu, nǐ zěnyang ?」 da : 「fāngyuan jǐ shilǐ de difang,  wǒ lai zhilǐ,
      zhǐyao sānnian,  kě shǐ bǎixing yīshi chōngzu, zhi yu jīngshen wenming,   

      yao děng nengren lai jiāohua.  「gōngxīchi, nǐ zěnyang ?」  

      答 : 「我不敢說能幹好, 但願意學習.  祭祀的事, 外交的事, 我願穿著禮服, 做個助理. 」
      da : 「wǒ bugǎn shuō neng ganhǎo,  dan yuanyi xuexi.
      jisi de shi,  waijiāode shi,  wǒ yuan chuān zhu lǐfu,  zuo ge zhulǐ.」
     「曾點, 你怎樣 ?」 曾皙彈琴正接近尾聲, 他鏗地一聲放下琴,  站起來說 : 「我與他們三位不同.」
     
「Cengdiǎn, nǐ zěnyang ?」 Cengxī tanqin zheng jiējin wěishēng,  

      tā kēng de yishēng fangxia qin, zhanqǐlai shuō : 「wǒ yǔ tāmen sānwei butong.」 
      孔子說 : 「說說有什麽關繫 ? 衹是各談各的志向而已.」
      Kǒngzǐ shuō : 「shuōshuō yǒu shenmo guānxi ?  zhǐshi ge tan ge de zhixiang eryǐ.」
      曾點說 : 「暮春三月, 穿上春天的衣服, 約上五六人, 帶上六七個童子, 在沂水邊沐浴, 

      ​在高坡上吹風, 一路唱著歌而回.」 
      
Cengdiǎn shuō : 「muchūn sānyue,  chuānshang chūntiān de yīfu,  

      yuē shang wǔliu ren,  daishang liuqīge tongzǐ,
      zai Yishuǐ biān muyu,  zai gāopō shang chuīfēng,  yilu changzhugē er hui.」
      夫子感嘆說 : 「我欣賞曾點的情趣.」  其他三人走後, 曾皙問 : 「他們三人的話怎樣 ?」
     
 fūzǐ gǎntan shuō : 「wǒ xīnshǎng Cengdiǎn de qingqu」
      qitā sānren zǒu hou,  Cengxī wen : 「tāmen sānren de hua zěnyang ? 」
      孔子說 : 「衹是各談各的志向而已.」  您為何笑仲由呢 ?
      Kǒngzǐ shuō : 「zhǐshi ge tan ge de zhixiang eryǐ.」  nin weihe xiao zhong you ne ?
     「治國要講禮讓, 他的話一點也不謙虛, 所以笑他.  「冉求談的是治國嗎 ?」
     「 zhiguo yao jiǎng lǐrang,  tā de hua yidiǎn yě bu qiānxū,  suǒyǐ xiao tā. 

     「Rǎnqiu tan de shi zhiguo ma ?」
     「怎麽見得治理方圓幾十里的地方就不是治國呢 ? 「公西赤談的是治國嗎 ?」
     「 zěnmo jiande zhilǐ fāngyuan jǐ shilǐ de difang jiu bushi zhiguo ne ? 

     「gōngxīchi tan de shi zhiguo ma ?」
     「祭祀和外交, 不是國家大事是什麽 ? 如果公西赤衹能當助理, 誰能當總理 ?」
     「jisi he waijiāo,  bushi guojiādashi shi shenmo ? 

      ruguǒ gōngxīchi zhǐneng dāng zhulǐ,  shui neng dāng zǒnglǐ ?」】

 

 

  券 十一    先  進  篇 ( 선 진 편 ) . 

 

 ★ 洗耳恭聽[xǐ'ěrgōngtīng](세이공청) :남의 말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귀담아 듣는 것을 이르는 말.
 [kūn] : 맏, 벌레 ; 곤./ 뒤섞일 ; 혼.  1. 형(=晜) 2. 자손 3. 벌레 4. 산 이름 5. 함께 6. 많다.
 [lǎng] : 밝을 : 랑, 낭.     1. 밝다 2. 환하다 3. (소리가)맑다 4. (소리가)깨끗하다 . 

 [guǒ] : 덧널 ; 곽.   1. 덧널 2. 외관(外棺) 3. 관을 담는 궤 4. 헤아리다 5. 측량하다 .
 [lǐ] : 잉어 ; 리, 이.     1. 잉어 2. 편지(便紙ㆍ片紙) 3. 서찰(書札: 글씨를 쓰는 나무조각).
 [yī] : 한숨 쉴 ; 희./ 트림할 ; 애./ 탄식할 ; 억.   1. 한숨을 쉬다 2. 탄식하다 3. 느끼다 .
 [tong] : 서러워할 ; 통.    1. 서러워하다 2. 서럽게 울다 3. 대단히 슬퍼하다 4. 애통하다.
 [yin] : 향기 ; 은.    1. 향기(香氣) 2. 향내(香-)가 나다 3. 온화하다 4. 화기애애하다. 
 侃侃[kǎnkǎn] : 강직할 ; 간.    1.말하는 것이 당당하고 차분하다. 
 [se] : 큰 거문고 ; 슬.    1. 큰 거문고 2. 비파 3. 엄숙하다 4. 곱다 5. 쓸쓸하다 6. 많다. 
 [lou] : 시끄러울 ; 루, 누.    1. 시끄럽다3. 도둑 4. 새소리 5. 어조사 6. 번거로운 모양.
 [liǎn] : 거둘 ; 렴, 염.     1. 단속하다 2. 저장하다 3. 모으다 4. 감추다, 숨기다 5. 장사지내다 
 [sōu] : 찾을 ; 수 / 어지러울 ; 소.   1. 뒤지다 2. 탐구하다 3. 가리다, 고르다 4. 빠르다.
 [qiāo] : 두드릴 ; 고, 교./ 두드릴 ; 학.   1. 두드리다 2. 후려치다  4. 짤막한 회초리.
 [luo]  : 징 ; 라, 나.    1. 징 2. 동발(銅鈸: 자바라, 제금, 향발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敲锣打鼓[qiāoluodǎgǔ](고라타고) : 크게 성세(成勢)를 이루어 주의를 끌다. 야단법석을 떨다. 
 [chai] : 섶 ; 시./ 울짱 ; 채./ 가지런 하지 않을 ; 치./ 쌓을 ; 자.  1. 섶(땔나무 또는 잡목)  

 [zhuān] : 오로지 ; 전.     1. 오로지 2. 착하다 3. 어리석다 4. 삼가는 모양 5. 작은 모양 .
 [mǎng] : 우거질 망, 무.   1. (풀숲이)우거지다 2. 거칠다 3. 넓다 4. 광활하다5. 크다 .
 误人子弟[wurenzǐdi](오인자제) : (교육자가 직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남의 자식에게 (손)해를 끼치다.
 强词夺理[qiǎngciduolǐ](강사탈리) : 터무니없는 말로 억지를 부리다.  당찮은 이유를 내세우며 억지를 쓰다.
 [xī] : 흴 ; 석.       1. (살결이)희다 2. 대추나무의 일종(一種). 
 [shěn] : 웃을 ; 신.       1. 웃다 2. 조롱하여 웃다 3. 미소(微笑) 짓다. 
 [kēng] : 금옥 소리 ; 갱.   1. 금옥(金玉) 소리 2. 거문고를 타는 소리 3. 기침하는 소리 .
 [zhuan] : 지을 ; 찬./ 가릴 ; 선.   1. 시문을 짓다 2. 적다 3. 기록하다 4. 가지다, 품다

 [Yi] : 물 이름 ; 기./ 지경 ; 은.    1. 물 이름 2. 고을 이름 a. 지경 (은) b. 변두리, 변방 .
 [yu] : 기우제 ; 우.      1. 기우제(祈雨祭) 2. 기우제(祈雨祭)를 지내다 .
 [yǒng] : 읊을 ; 영.     1. 읊다, 노래하다 2. (시가를)짓다 3. 시가(詩歌) 4. 읊는 시 .
  : 잠깐 ; 사./ 들렐 ; 책./ 씹을 ; 색.   1. 잠깐 2. 금세 3. 잠시 동안 a. 큰소리를 지르다.

 肆虐[sinue](사학) : 함부로 죽이거나 박해하다.

 

 

 

※  原 文 .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