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논어) /券 十三. 子路篇

券 十三. 子 路 篇 (자로편)

덕치/이두진 2021. 6. 25. 18:41

 

           券 十三.   子 路 篇 (자로편)

 

 

1.  子路問政.  子曰:「先之, 勞之.」 請益.  曰:「無倦.」 

     (자로문정. 자왈 : 「선지, 노지.」 청익.  왈 : 「무권.」)


      ['자로'가 정사(政事)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 “솔선하여 부지런히 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더 말씀해 주시기를 청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子路問政,  孔子說:「身先士卒, 教人勤奮.」 子路請孔子多說一點. 孔子說:「不要鬆懈.」
      
Zǐlù wèn zhèng,  Kǒngzǐ shuō :  「shēnxiānshìzú,  jiāo rén qínfèn.」
      Zǐlù qǐng Kǒngzǐ duō shuō yìdiǎn.  Kǒngzǐ shuō : 「bùyào sōngxiè」】

 

2.  仲弓為季氏宰, 問政.  子曰:「先有司, 赦小過, 舉賢才.」

     曰:「焉知賢才而舉之?」  曰:「舉爾所知.  爾所不知, 人其舍諸?」
     (중궁위계씨재, 문정.  자왈 : 「선유사, 사소과, 거현재.」  
      왈 : 「언지현재이거지 ? 」  왈 : 「거이소지.  이소불지, 인기제 ? 」)


      ['중궁'이 '계씨'의 집사가 되어 정사(政事)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먼저 아랫 사람에게 각자 맡은 바 일을 시키고, 작은 잘못은 용서해 주며,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등용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중궁'이 다시 묻기를 : " 누구인지 어찌 알고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등용하오리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네가 아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등용하면, 네가 모르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남들이 내버려 두겠느냐 ? ”라고 하였다.] 

 

     【仲弓當了季氏的總管, 問政. 孔子說:「使下屬各司其職, 寬容小錯, 提拔賢才.」
      Zhònggōng dāngle Jìshì de zǒngguǎn,  wèn zhèng. 
      Kǒngzǐ shuō : 「shǐ xiàshǔ gèsīqízhí,  kuānróng xiǎo cuò,  tíbá xiáncái.」
      仲弓問:「怎知誰是賢才而提拔?」孔子說:「提拔你所知道的, 你不知道的, 別人會埋沒他嗎?」 
      Zhònggōng wèn : 「zěn zhī shuí shì xiáncái ér tíbá ?」
      Kǒngzǐ shuō : 「tíbá nǐ suǒ zhīdào de,  nǐ bùzhīdàode,  biérén huì máimò tā ma ?」】

 

3.  子路曰:「衛君待子而為政, 子將奚先?」  子曰:「必也正名乎!」 

     子路曰:「有是哉, 子之迂也!奚其正?」

     ​子曰:「野哉由也!君子於其所不知, 蓋闕如也. 名不正, 則言不順; 言不順, 則事不成;

     事不成, 則禮樂不興;禮樂不興, 則刑罰不中;刑罰不中, 則民無所措手足.

     故君子名之必可言也, 言之必可行也. 君子於其言, 無所苟而已矣.」

     (자로왈 : 「위군대자이위정, 자장해선 ?」  자왈 : 「필야정명호 ! 」 
      자로왈 : 「유시재, 자지우야 ! 해기정 ? 」

      자왈 : 「야재유야 ! 군자어기소불지, 개궐여야.명불정, 즉언불순 ; 언불순, 즉사불성 ;

      사불성, 즉례악불흥 ; 예악불흥, 즉형벌불중 ; 형벌불중, 즉민무소조수족. 
      고군자명지필가언야, 언지필가행야. 군자어기신, 무소구이이의.」)


      ['자로'가 묻기를 : “ 위나라 군주가 선생님을 기다려 정사를 하려고 한다면, 
      선생님께서는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렵니까 ?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자로'가 다시 묻기를 : “ 이런 말씀을 하시다니, 선생님은 고지식하십니다 ! 
      어찌 그것을 바로잡는다고 하십니까?”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비속하도다, '중유'(자로)여 !  군자는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에는 덮어놓고 말하지

      않는 것이다. 명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이치에 맞지 않고,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일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악이 일어나지 않고, 예악이 일어나지 않으면 형벌이 적절하지 못하고, 

      형벌이 적절하지 못하면 백성들이 매우 당황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된다.  

      그러므로 군자가 명분을 세우면 반드시 말을 할 수가 있고, 말을 하게 되면 반드시 실행할 수 있으니, 

      군자는 그 말에 있어 구차함이 없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子路說:「如果衛國的君主等待您去執政, 您首先要做的是什麽?」 孔子說:「一定是糾正名分呀!」
      Zǐlù shuō : 「rúguǒ Wèiguó de jūnzhǔ děngdài nín qù zhízhèng, 
      nín shǒuxiān yào zuò de shì shénmó ?」
      Kǒngzǐ shuō : 「yídìng shì jiūzhèng míngfèn ya !」
      子路說:「是這樣的嗎? 你太迂腐了, 糾正名分有什麽用?」
      Zǐlù shuō : 「shì zhèyàng de ma ?  nín tài yūfǔ le, jiūzhèng míngfèn yǒu shénmó yòng ?」
      孔子說:「你太粗野了!君子對於不懂的事情, 一般都採取保留意見。

      ​Kǒngzǐ shuō :「nǐ tài cūyě le !  jūnzhǔ duì yú bùdǒng de shìqing, yìbān dōu cǎiqǔ bǎoliúyìjiàn.

      名分不正當, 說話就不合理;說話不合理, 事情就辦不成.  
      míngfèn bù zhèngdàng,  shuōhuà jiù bùhélǐ ;  shuōhuà bùhélǐ,  shìqing jiù bàn bùchéng.
      法律不能深入人心, 刑罰就不會公正;刑罰不公正, 則百姓手足無措, 不知如何是好。
      fǎlǜ bùnéng shēnrùrénxīn, xíngfá jiù búhuì gōngzhèng ; 

      xíngfá bú gōngzhèng,  zé bǎixìng shǒuzúwúcuò,  bùzhī rūhéshìhǎo.
      所以領導做事必須說得通,  說話必須行得通.  領導說話, 絕不隨便, 馬虎.」
      suǒyǐ lǐngdǎo zuò zuòshì bìxū shuō de tōng,  shuōhuà bìxū xíngdetōng.  

      lǐngdǎo shuōhuà, juébù suíbiàn,  mǎhu.」】

 

4.  樊遲請學稼, 子曰:「吾不如老農.」 請學為圃.  曰:「吾不如老圃.」

     樊遲出.  子曰:「小人哉, 樊須也!上好禮, 則民莫敢不敬;上好義則,民莫敢不服; 

     上好信, 則民莫敢不用情.  夫如是, 則四方之民襁負其子而至矣, 焉用稼?」  

     (번지청학가, 자왈 : 「오불여노농.」 청학위포. 왈 : 「오불여노포.」

      번지출.  자왈 : 「소인재, 번수야 ! 상호례, 즉민막감불경 ; 상호의즉, 민막감불복 ; 
      상호신, 즉민막감불용정.  부여시, 즉사방지민강부기자이지의, 언용가 ? 」) 

     

      ['번지'가 농사에 대해 배우기를 청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 “ 나는 늙은 농부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채소밭 가꾸는 일에 대해 배우기를 청자. '공자'가 말하기를 : “나는 늙은 채마 농사꾼보다 못하다.”라고 하였다. 
      ['번지'가 밖으로 나가자,  '공자'가 말하기를 : “ 소인이구나, 번지여 !

      윗사람이 예절을 좋아하면 백성들이 윗사람을 공경하지 않을 수가 없고,

      윗사람이 정의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을 수가 없고,

      윗사람이 신의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성실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방의 백성들이 자식들을 포대기에 업고 모여들 것인데, 어찌 농사짓는 일을 하겠는가? ”하였다.]

 

    【樊遲請教種莊稼.  孔子說:「我不如老農.」 請教種蔬菜.   說:「我不如菜農.」 樊遲出來.
      Fánchí qǐngjiào zhòng zhuāngjia.   Kǒngzǐ shuō : 「wǒ bùrú lǎonóng.」
      qǐngjiào zhòng shūcài.  shuō : 「wǒ bùrú càinóng.」 Fánchí chūlai.
      孔子說:「樊遲真是個小人!領導重視禮法, 則群衆不會不敬業;領導重視道義, 則群衆不會不服從;
      Kǒngzǐ shuō : 「Fánchí zhēnshi gè xiǎorén ! lǐngdǎo zhòngshì lǐfǎ,   

      zé qúnzhòng búhuì bù jìngyè ; lǐngdǎo zhòngshì dàoyì, zé qúnzhòng búhuì bù fúcóng ; 
      領導重視信譽, 則群衆不會不誠實.  如果這樣的話, 則天下百姓都會攜兒帶女來投奔你,  哪用得著你自己種莊稼?」
      lǐngdǎo zhòngshì xìnyù, zé qúnzhòng búhuì bù chéngshí.  rúguǒ zhèyàng de huà,   

      zé tiānxià bǎixìng dōu huì xiéérdàinǚ lái tóubèn nǐ, nǎ yòng de zhù nǐ zìjǐ zhòng zhuāngjia ?」】 

 

5.  子曰:「誦詩三百, 授之以政, 不達;使於四方, 不能專對;雖多, 亦奚以為?」
     (자왈 : 「송시삼백, 수지이병, 불달 ; 사어사방, 불능전대 ; 수다, 역해이위 ?」)


      ['공자'가 말하기를 : “ 시 3백편을 다 읽더라도 정무를 맡아서 임무를 제대로 완수하지 못하고,

      사방에 사신으로 나가서 홀로 사명을 완수하지 못한다면 비록 책을 많이 읽은들 어디에 쓰겠는가 ?”하였다.]

 

    【孔子說:「讀了許多書, 讓他乾工作, 卻完成不了任務;讓他搞公關, 卻完成不了使命.   

      這樣的人, 書讀得再多, 又有什麽用?」
      
Kǒngzǐ shuō : 「dúle xǔduō shū,  ràng tā qián gōngzuò,  què wánchéng bù liǎo rènwu ;

      ​ràng tā gǎo gōngguān,  què wánchéng bù liǎo shǐmìng.  

      zhèyàng de rén, shū dú de zài duō,  yòu yǒu shénmó yòng ?」】

 

6.  子曰:「其身正, 不令而行;其身不正, 雖令不從.」 
     (자왈 : 「기신정, 불령이행 ; 기신부정, 수령불종.」)


      ['공자'가 말하기를 : “ 지도자가 그 몸가짐이 바르면 백성에게 명령하지 않아도 행해지고,  

      그 몸가짐이 바르지 않으면 백성에게 비록 명령을 해도 따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孔子說:「領導自己身正, 即使不下達命令, 群衆也會自覺去做; 

      領導自身不正, 即使下達了命令, 群衆也不會服從.」
      
Kǒngzǐ shuō : 「lǐngdǎo zìjǐ shēn zhèng,  jíshǐ bù xiàdámìnglìng, qúnzhòng yě huì zìjué  

      qù zuò ; lǐngdǎo zìjǐ bù zhèng,  jíshǐ xiàdálemìnglìng,  qúnzhòng yě bùhuì fúcóng.」】 

 

7.  子曰:「魯衛之政, 兄弟也.」
     (자왈 : 「노위지정, 형제야.」)
      ['공자'가 말하기를 : “노나라와 위나라의 정사(政事)는 형제와 같도다.”라고 하였다.]

 

    【孔子說:「魯衛兩國的政事, 象兄弟一樣.」 
      Kǒngzǐ shuō : 「Lǔ Wèi liǎngguó de zhèngshì,  xiàng xiōngdì yíyàng.」】

 

8.  子謂衛公子荊, 「善居室.  始有, 曰:『苟合矣.』 少有, 曰:『苟完矣.』

     富有, 曰:『苟美矣.』」
     (자위위공자형, 「선거실.  시유, 왈 : 『구합의』 소유, 왈 : 『구완의.』

      부유, 왈 : 『구미의.』」)


      ['공자'가 위나라 공자 '형'에 대해 말하기를 : “ 집안의 재산관리를 잘 하는구나. 
      처음에 조금 모았을 때는 ‘그런대로 됐다’라고 하고, 조금 나아지자 ‘그런대로 많아졌다’라고 했으며, 
      넉넉히 가지게 되자 ‘그런대로 훌륭하다’라고 했다.”라고 하였다.]

 

    【孔子評論衛國的公子荊:「善於居家理財, 開始有點積蓄時,  他說:『湊合著夠了』;稍多時,  

      他說:『可算錢多了』;富有時, 他說:『可算完美了』.」
      
Kǒngzǐ pínglùn Wèiguó de gōngzǐ jīng : 「shàn yú jū jiā lǐcái,  kāishǐ yǒudiǎn jīxù shí,
      tā shuō : 『còuhe zhù gòule』 ;  shāo duōshí,  tā shuō : 『kě suàn qián duōle』 ; 
      fùyǒu shí, tā shuō : 『kě suàn wánměile』.」】 

 

9.  子適衛, 冉有僕.  子曰:「庶矣哉!」 冉有曰:「既庶矣. 又何加焉?」

     曰:「富之.」 曰:「既富矣, 又何加焉?」 曰:「教之.」

     (자적위, 염유복. 자왈 : 「서의재 ! 」 염유왈 : 「기서의. 우하가언 ? 」
      왈 : 「부지.」 왈 : 「기부의, 우하가언 ? 」 왈 : 「교지.」)


      ['공자'가 위나라에 갈 때 '염유'가 수레를 몰았다.  
      '공자'가 말하기를 :
 “ 백성들이 많구나.”라고 하였다. 
      '염유'가 묻기를 : “ 이미 백성이 많아졌으면 또 무엇을 더 해야 합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그들을 부유하게 하여야 한다.”라고 하였다.
      '염유'가 재차 묻기를 : “ 이미 부유해졌으면 또 무엇을 더해야 합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기를 : “ 가르쳐야 한다.”라고 하였다.]

 

    【孔子去衛國, 冉有駕車.  孔子說:「人真多啊 !」 冉有說:「人多了, 又該做什麽?」 
      Kǒngzǐ qù Wèiguó,  Rǎnyǒu jiàchē.   Kǒngzǐ shuō : 「rén zhēnduō a !」  
      Rǎnyǒu shuō : 「rén duō le,  yòu gāi zuò shénmó ? 」
      孔子說:「使他們富起來.」  「富了後, 又該做什麽?」 「使他們受教育.」 
      Kǒngzǐ shuō : 「shǐ tāmen fù qǐlai.」「fù le hòu,  yòu gāi zuò shénmó ? 」「shǐ tāmen shòu jiàoyù.」】

  

10. 子曰:「苟有用我者.  期月而已可也, 三年有成.」
     (자왈 : 「구유용아자. 기월이이가야, 삼년유성.」)


      ['공자'가 말하기를 : “ 진실로 나를 등용해 주는 자가 있다면, 1년이면 성과가 보이기 시작할 것이며,

      3년이면 이루어진 것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如果有人用我, 一年就能初見成效, 三年就能大見成效.」
      Kǒngzǐ shuō : 「rúguǒ yǒu rén yòng wǒ,  yìnián jiù néng chūjiànchéngxiào, 

      sānnián jiù néng dà jiàn chéngxiào」】

 

11. 子曰:「善人為邦百年, 亦可以勝殘去殺矣.  誠哉是言也!」
     (자왈 : 「선인위방백년, 역가이승잔거살의. 성재시언야 ! 」)


      ['공자'가 말하기를 : “ 착한 사람이 나라를 백 년 동안 다스리면, 재앙을 극복하고 살육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참으로 옳은 말이다 ! 라고 하였다.]

 

    【孔子說:「『善人治國百年, 也可以戰勝殘暴, 免除殺戮了.』 這話很對埃」 
      Kǒngzǐ shuō : 「『shànrén zhìguó bǎinián,  yě kěyǐ zhànshèng cánbào, miǎnchú shālùle.』 

      zhè huà hěn duì āi」】 

 

12. 子曰:「如有王者, 必世而後仁.」 

     (자 : 「여유왕자, 필세이후인.」)


      ['공자'가 말하기를 : “ 만약 현명한 왕이 있더라도 반드시 한 세대가 지난 뒤에야  

      백성들을 위해 어진 정치를 실행할 수 있다 ”라고 하였다.]

 

    【孔子說:「如果有英明領袖興起, 一定要經過三十年才能實行仁政.」
      Kǒngzǐ shuō : 「rúguǒ yǒu yīngmíng lǐngxiù xīngqǐ, 

      ​yídìng yào jīngguò sānshínián cáinéng shíxíng rénzhèng」】

 

13. 子曰:「苟正其身矣, 於從政乎何有? 不能正其身, 如正人何?」
     (자왈 : 「구정기신의, 어종정호하유 ? 불능정기신, 여정인하 ? 」)


      ['공자'가 말하기를 : “ 진실로 자기 몸을 바르게 한다면 정치를 하는데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 ?, 
      자기 몸을 바르게 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백성들을 바르게 할 수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孔子說:「自己身正, 治理國家還會有什麽問題? 自身不正, 又怎能讓群衆身正?」
      
Kǒngzǐ shuō : 「zìjǐ shēn zhèng,  zhìlǐ Guójiā hái huì yǒu shénmó wèntí ? 
      zìshēn bù zhèng,  yòu zěnnéng ràng qúnzhòng shēn zhèng ? 」】

 

14. 冉子退朝.  子曰:「何晏也?」 對曰:「有政.」

     子曰:「其事也.  如有政, 雖不吾以, 吾其與聞之.」
     (염자퇴조. 자왈 : 「하안야 ? 」 대왈 : 「유정.」 
      
자왈 : 「기사야. 여유정, 수불오이, 오기여문지.」)


      ['염자'(염유)가 조회에서 물러나오자,  
      '공자'가 묻기를 :
 “어찌하여 늦었는가?”라고 하자. 
      '염유'가 대답하기를 : “ 나라의 정사에 관한 일이 있었습니다.”라고 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 “ 그것은  집안일이었을 것이다. 만일 나라의 정사에 관한 일이었다면,

      비록 내가 관직은 없지만  내가 거기에 참석해서 들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冉子退朝.  孔子說:「怎麽這麽晚?」 答:「有公事要商量.」
      Rǎnzǐ tuì cháo. Kǒngzǐ shuō : 「zěnmó zhèmó wǎn ? 」 dá : 「yǒu gōngshì yào shāngliang.」
      孔子說:「是私事吧.  如果有公事, 我雖然沒當官, 也會知道.」
      Kǒngzǐ shuō : 「shì sīshì bā.  rúguǒ yǒu gōngshì, wǒ suīrán méi dāngguān, yě huì zhīdào.」】 

  

15. 定公問:「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為君難, 為臣不易.』  

     如知為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曰:「一言而喪邦, 有諸?」 

      孔子對曰:「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予無樂乎為君, 唯其言而莫予違也.』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善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정공문 : 「일언이가이흥방, 유제 ?」

      ​공자대왈 : 「언불가이약시기기야.  인지언왈 : 『위군난, 위신불역.』 

      ​여지위군지난야, 불기호일언이흥방호 ?」 왈 : 「일언이상방, 유제 ?」

      공자대왈 : 「언불가이약시기기야.  인지언왈 : 『여무락호위군, 유기언이막여위야.』

      ​여기선이막지위야, 불역선호 ? 여불선이막지위야, 불기호일언이상방호 ? 」)

    
      ['정공'이 묻기를 : “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성하게 하게 할 수 있다 하니, 그런 말이 있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비록 이와 같이 단언할 수 없겠지만,  사람들이 말하길 : ' 임금 노릇을 하기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가 쉽지 않다.'라고 하니, 만일 임금 노릇을 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안다면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성하게 하기를 기약할 수 없겠습니까 ? ”라고 하였다.

      '정공이' 묻기를 : “ 한 마디 말로 나라를 멸망하게 할 수 있다고 하니, 그런 말이 있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말은 이와 같이 기약할 수 없겠지만, 사람들이 말하길,

      ‘나는 임금된 것이 즐거울 것이 없고, 오직 말을 어기는 사람이 없는 것이 즐거울 뿐이다’라고 하니,

      ​만일 그 말이 선한데 어기는 사람이 없다면 또한 좋은 일이 아니겠습니까 ?  만일 그 말이 선하지 않은데도

      어기는 사람이 없게 한다면, 한 마디 말로 나라를 멸망하게 함을 기약할 수 없겠습니까 ? ”라고 하였다.]

 

     【定公問:「一句話可以使國家興旺, 有這樣的話嗎?」
      Dìnggōng wèn : 「yíjùhuà kěyǐ shǐ Guójiā xīngwàng,  yǒu zhèyàng de huà ma ?」
      孔子答:「雖然不可以這樣說, 但也差不多.  有人說:『做君難, 做臣不易.』

      如果知道做君難了, 不幾乎一句話可以使國家興旺嗎?」
      Kǒngzǐ dá : 「suīrán bùkěyǐ zhèyàng  shuō,  dàn yě chàbuduō. 

      ​yǒu rén shuō : 『zuò jūn nán,  zuò chén bùyì.』
      rúguǒ zhīdào zuò jūn nán le,  bù jīhū yíjùhuà kěyǐ shǐ Guójiā xīngwàng ma ? 」
      說:「一句話可以亡國, 有這樣的話嗎?」
      shuō : 「yíjùhuà kěyǐ wángguó,  yǒu zhèyàng de huà ma ? 」
      孔子答:「雖然不可以這樣說, 但也差不多. 有的君主說:『我的樂趣不在於做君主, 而在於沒人敢違抗我說的話.』
      Kǒngzǐ dá : 「suīrán bùkěyǐ zhèyàng  shuō,  dàn yě chàbuduō.
      yǒu de jūnzhǔ shuō : 『wǒ de lèqù bù zài yú zuò jūnzhǔ, ér zài yú méi rén gǎn wéikàng wǒ  shuō de huà』
      如果他的話正確, 那很好;如果他的話不對卻沒人敢反抗, 不幾乎一句話可以亡國嗎?」
      
rúguǒ tā de huà zhèngquè,  nà hěnhǎo ; rúguǒ tā de huà búduì què méi rén gǎn fǎnkàng, 
      bù jīhū yíjùhuà kěyǐ wángguó ma ?」】

 

16. 葉公問政.  子曰:「近者說, 遠者來.」
     (섭공문정. 자왈 : 「근자열, 원자래.」)


      ['섭공'이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기를 : “ 본고장 사람들은 행복하게 해 주며, 

      ​타지방 사람들은 이주를 오게 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葉公問政.  孔子說:「使本地人幸福, 外地人來移民.」
       Xiégōng wèn zhèng.   Kǒngzǐ shuō : 「shǐ běndìrén xìngfú, wàidìrén lái yímín.」】

 

17. 子夏為莒父宰, 問政.  子曰:「無欲速, 無見小利.  欲速, 則不達;見小利, 則大事不成.」
     (자하위거보재, 문정. 자왈 :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 즉불달 ; 견소리, 즉대사불성.」)


      ['자하'가 "거보" 지역의 시장이 되어 정치에 대해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 “ 일을 빨리 하려고 서두르지 말고, 작은 이익을 탐내지 말라.

      빨리 하려고 하면 목적한 바에 못미치고 ; 작은 이익을 탐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하니라.”라고 하였다.]

 

    【子夏做莒父的市長, 問政.  孔子說:「不要衹求速度, 不要貪圖小利. 

      ​衹求速度, 往往達不到目的;貪圖小利, 就做不成大事.」
      
Zǐxià zuò Jǔfù de shìzhǎng, wèn zhèng.  Kǒngzǐ shuō : 「bùyào zhǐqiú sùdù,  bùyào tāntú xiǎo lì.
      zhǐqiú sùdù,  wǎngwǎng dábúdào mùdì ; tāntú xiǎo lì,  jiù zuò bùchéng dàshì.」】 

 

18. 葉公語孔子曰:「吾黨有直躬者, 其父攘羊, 而子證之.」

     孔子曰:「吾黨之直者異於是.  父為子隱, 子為父隱, 直在其中矣.」 
     (섭공어공자왈 : 「오당유직궁자, 기부양양, 이자증지.」  
      
공자왈 : 「오당지직자이어시.  부위자은, 자위부은, 직재기중의.」)


      ['섭공'이 '공자'에게 말하기를 : “ 우리 마을에 정직하게 행동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의 아버지가 양을 훔치자 아들이 이것을 고발하였습니다.”라고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 “ 우리 마을의 정직한 이와는 다르니, 아버지는 자식을 위하여 숨겨주고

      자식은 아버지를 위하여 숨겨주니, 정직함은 그 가운데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葉公對孔子說:「我家鄉有正直的人, 父親偷羊, 兒子告發了他.」 

      Xiégōng duì Kǒngzǐ shuō : 「wǒ jiāxiāng yǒu zhèngzhí de rén, fùqīn tōu yáng,  érzi gàofāle tā.」
      孔子說:「我家鄉正直的人不同:父為子隱瞞, 子為父隱瞞, 正直就在其中了.」 
      Kǒngzǐ shuō : 「wǒ jiāxiāng zhèngzhí de rén bùtóng : fù wèi zǐ yǐnmán, 

      zǐ wèi fù yǐnmán,  zhèngzhí jiù zài qízhōng le.」】

 

19. 樊遲問仁.  子曰:「居處恭, 執事敬, 與人忠.  雖之夷狄, 不可棄也.」
     (번지문인. 자왈 : 「거처공, 집사경, 여인충. 수지이적, 불가기야.」)


      ['번지'가 어짊에 대하여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기를 : “ 거처함에 있어 본분을 지키고, 일을 처리함에 빈틈이 없이 하며, 사람에게 지극히

      충성을 다하는 것이, 비록 오랑캐 나라에 가더라도 이런 규범을 버릴 수는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樊遲問仁. 

      孔子說:「在家守規矩, 工作上一絲不苟, 待人忠心耿耿, 即使到了愚昧之地, 也不可背棄這個做人的準則.」
      Fánchí wèn rén. 

      ​Kǒngzǐ shuō : 「zài jiā shǒuguīju,  gōngzuò shàng yìsībùgǒu, dàirén zhōngxīngěnggěng,

      ​ jíshǐ dàole yúmèi zhī dì,  yě bùkě bèiqì zhège zuòrén de zhǔnzé.」】

 

20. 子貢問曰:「何如斯可謂之士矣?」 曰:「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曰:「敢問其次.」 曰:「宗族稱孝焉, 鄉黨稱弟焉.」 曰:「敢問其次.」

     曰:「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抑亦可以為次矣.」 曰:「今之從政者何如?」

     子曰:「噫!斗筲之人, 何足算也.」
      (자공문왈 : 「하여사가위지사의 ?」 자왈 : 「행기유치, 사어사방, 불욕군명, 가위사의.」

      왈 : 「감문기차.」 왈 : 「종족칭효언, 향당칭제언.」 왈 : 「감문기차.」 

      왈 : 「언필언, 행필과, 갱갱연소인재 ! 억역가이위차의.」 왈 : 「금지종정자하여 ?」  
      자왈 : 「희 ! 두소지인, 하족산야.」)

​  

      ​['자공'이 묻기를 : “ 어찌해야 진정한 선비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이 있으며 사방에 사신으로 가서 임금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는다면, 가히 선비라고 부를 수 있다.”라고 하셨다. 
      ['자공'이 말하기를 : “감히 그 다음을 묻겠습니다.”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종족들이 효성이 있다고 칭찬하며 고을 사람들이 공손하다고 칭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자공'이 말하기를 : “감히 그 다음을 묻겠습니다.”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말은 반드시 믿음이 가게 하고 행동은 반드시 과단성 있게 하는 것이

      주변머리 없는 소인이지만 그래도 그 다음은 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자공이' 말하기를, “지금 정사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어떠합니까 ?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 “아아 ! 시야가 좁은 사람들을 어찌 낱낱이 셀 수가 있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子貢問:「怎樣才能算個真正的士呢?」孔子說:「做事時, 要有羞恥之心;出國訪問時, 不辱使命.  可算士了.
      Zǐgòng wèn : 「zěnyàng cáinéng suàn gè zhēnzhèng de shì ne ?」
      Kǒngzǐ shuō : 「zuòshì shí,  yào yǒu xiūchǐ zhī xīn ; chūguófǎngwèn shí, bùrǔshǐmìng.   

      kě suàn shì le.
      子貢說 : 「請問次一等的呢?」孔子說 : 「同宗族的人稱贊他孝順, 同鄉的人稱贊他尊敬師長.」
      Zǐgòng shuō : 「qǐngwèn cì yìděng de ne ?」
      Kǒngzǐ shuō : 「tóng zōngzú de rén chēngzàn tā xiàoshùn, 

      ​tóngxiāng de rén chēngzàn tā zūnjìngshīzhǎng.」
      子貢 說 : 「請問再次一等的呢?」

      孔子說 : 「說到做到, 不問是非地固執己見, 當然是小人!但也可以算最次的士了.」 
      Zǐgòng shuō : 「qǐngwèn zài cì yìděng de ne ?」 
      Kǒngzǐ shuō : 「shuōdàozuòdào,  bùwèn shìfēi de gùzhíjǐjiàn,  dāngrán shì xiǎorén ! 

      dàn yě kěyǐ suàn zuì cì de shì le.」
      子貢說 : 「現在的領導怎樣?」 孔子說 : 「噫, 這些鼠目寸光的人, 算什麽呢?」
      Zǐgòng shuō : 「xiànzài de lǐngdǎo zěnyàng ? 」 
      Kǒngzǐ shuō : 「yī,  zhèxiē shǔmùcùnguāng de rén,  suàn shénmó ne ?」】

 

21. 子曰:「不得中行而與之, 必也狂狷乎!狂者進取, 狷者有所不為也.」
     (자왈 : 「불득중행이여지, 필야광견호 ! 광자진취, 견자유소불위야.」)


      ['공자'가 말하기를 : “ 내가 평범한 사람을 찾아서 함께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분별이 없는 사람이나

      ​고집이 세고 지조가 굳은 사람을 택할 것이다 ! 분별없는 사람은 진취적이나 겁없이 함부로 행동하는 사람이고,  

      고집이 세고 지조가 굳은 사람은 옳지 않은 것을 하지 않는 바가 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我找不到中庸的人交往了, 衹能與狂妄或拘謹的人交往. 狂妄者膽大妄為, 拘謹者膽小怕事.」
      
Kǒngzǐ shuō : 「wǒ zhǎobúdào zhōngyōng de rén jiāowǎng le, 

      ​zhǐnéng yǔ kuángwàng huò jūjǐn de rén jiāowǎng.
      kuángwàng zhě dǎndàwàngwéi, jūjǐn zhě dǎnxiǎo pà shì.」】

 

22. 子曰:「南人有言曰:『人而無恆, 不可以作巫醫.』 善夫!」

    「不恆其德, 或承之羞.」 子曰:「不占而已矣.」
      (자왈 : 「남인유언왈 : 『인이무항, 불가이작무의.』 선대 ! 」
     「불항기덕, 혹승지수.」 자왈 : 「불점이이의.」)


      ['공자'가 말하기를 : “ 남방 사람들의 말에 ' 사람에게 오래도록 변치않는 마음이 없으면

      ​무당과 의원이 될 수 없다.' 라고 하니 좋은 말이다 ! ”라고 하셨다. 

      易經에서 가르키기를 : " 그 덕을 굳게 지키지 못한다면 간혹 수치를 당할 수 있다."
      '공자'가 말하기를 : “ 이것은 점괘를 깊이 보지 않았기 때문일 뿐이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南方人有句話:『人無恆心, 巫醫也當不好.』 說得好啊!
      Kǒngzǐ shuō : 「nánfāngrén yǒu jù huà : 『rén wú héngxīn,  wūyī yě dāng bùhǎo.』 shuōdehǎo a !
      易經上說:『不能堅守德操, 就會蒙受羞辱.』 這句話是說, 沒恆心的人註定一事無成, 求卦也沒用.」 
      
Yìjīng shàng shuō : 『bùnéng jiānshǒu dé cāo,  jiù huì méngshòu xiūrǔ.』
      hè jù huà shì shuō,  méi héngxīn de rén zhùdìng yíshìwúchéng,  qiú guà yě méiyòng.」】

 

23. 子曰:「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자왈 :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공자'가 말하기를 : “ 군자는 화목하게 지내며 나쁜 사람과 어울려 못된 짓을 하지 않으며, 
      소인은 나쁜 사람과 어울려 못된 짓을 하면서 화목하게 지내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君子和睦相處而不同流合污,  小人同流合污而不能和睦相處.」
      Kǒngzǐ shuō : 「jūnzǐ hémùxiāngchǔ ér bù tóngliúhéwū, xiǎorén tóngliúhéwū ér bùnéng hémùxiāngchǔ.」】

 

24. 子貢問曰:「鄉人皆好之, 何如?」 子曰:「未可也.」  「鄉人皆惡之, 何如?」

     ​子曰:「未可也.  不如鄉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
     (자공문왈 : 「향인개호지, 하여 ?」 자왈 : 「미가야.」  「향인개오지, 하여 ?」

      자왈 : 「니가야. 불여향인지선자호지, 기불선자오지.」)


      ['자공'이 묻기를 : “ 고을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면 어떻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옳지 못한 일이다.” 라고 하였다.

      '자공'이 재차 묻기를 : “ 고을 사람들이 모두 싫어하면 어떻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 “ 옳지 못한 일이다. 고을 사람 중에 착한 사람은 좋아하고,  

      착하지 않은 사람은 미워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子貢問:「週圍的人都喜歡的人, 怎樣?」
       Zǐgòng wèn : 「zhōuwéi de rén dōu xǐhuan de rén,  zěnyàng ? 」
       孔子說:「不好. 週圍的人都討厭的人,怎樣?」
       Kǒngzǐ shuō : 「bùhǎo,  zhōuwéi de rén dōu tǎoyàn de rén,  zěnyàng ? 」
      「不好.  不如週圍的好人喜歡、週圍的壞人討厭的人.」 
      「bùhǎo.  bùrú zhōuwéi de hǎorén xǐhuan,  zhōuwéi de huàirén tǎoyàn de rén.」】

 

25. 子曰:「君子易事而難說也:說之不以道, 不說也;及其使人也, 器之.

     ​小人難事而易說也:說之雖不以道, 說也;及其使人也, 求備焉.」​
     (자왈 : 「군자이사이난열야 : 열지불이도, 불열야 ; 급기사인야, 기지.

      소인난사이이열야 : 열지수불이도, 열야 ; 급기사인야, 구비언.」)


      ['공자'가 말하기를 : “ 군자를 섬기기는 쉬워도 기쁘게 하기는 어려우니, 

      ​기쁘게 하기를 정도로써 하지 않으면 기뻐하지 않으며, 사람을 부리는 일에 있어서는 그릇(능력)에 맞게 한다. 
      소인은 섬기기는 어려워도 기쁘게 하기는 쉬우니 비록 정도에 맞지 않게 기쁘게 하더라도 기뻐하며 ;

      사람을 부리는 일에 있어서는 결국 무리하게 완전무결하기를 요구하다.”라고 하였다.]  

 

    【孔子說:「為君子做事容易, 但使他高興卻很難, 討好不當, 他是不會高興的;他用人時, 總能量材而用.
      Kǒngzǐ shuō : 「wèi jūnzǐ zuòshì róngyì,  dàn shǐ tā gāoxìng què hěnnán.
      tǎohǎo búdàng,  tā shǐ búhuì gāoxìng de ;  tā yòngrén shí,  zǒng néngliàng cái ér yòng.
      為小人做事難, 但使他高興很容易.  討好不當, 他也高興;他用人時, 總是求全責備.」
      
wèi xiǎorén zuòshì nán,  dàn shǐ tā gāoxìng hěn róngyì. tǎohǎo búdàng,  tā yě gāoxìng ; 
      tā yòngrén shí,  zǒngshǐ qiúquánzébèi.」】

  

26. 子曰:「君子泰而不驕, 小人驕而不泰.」
     (자왈 : 「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


      ['공자'가 말하기를 : “ 군자는 마음에 거리낌이 없으므로 오만방자하지 않지만, 
      소인은 오만방자함으로 평탄하지 못하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君子坦蕩而不驕狂, 小人驕狂而不坦蕩.」
      Kǒngzǐ shuō : 「jūnzǐ tǎndàng ér bù jiāokuáng,  xiǎorén jiāokuáng ér bù tǎndàng.」】

 

27. 子曰:「剛毅、木訥,近仁.」 
     (자왈 : 「강의, 목눌, 근인.」)


      ['공자'가 말하기를 : “ 강직하고, 의연하고, 소박하고, 말이 적은 것, 이 네가지 품성이 어짊에 가깝다.”하였다.]

 

    【孔子說:「剛強、堅毅、樸實、話少, 這四種品德接近於仁.」
      Kǒngzǐ shuō : 「gāngqiáng,  jiānyì,  pǔshí,  huà shǎo, zhè sìzhǒng pǐndé jiējìn yú rén.」】
 

28. 子路問曰:「何如斯可謂之士矣?」  
     
子曰:「切切,偲偲,怡怡如也, 可謂士矣.  朋友切切,偲偲, 兄弟怡怡.」
      (자로문왈 : 「하여사가위지사의 ?」  
      자왈 : 「절절,시시,이이여야, 가위사의.  붕우절절,시시, 형제이이.」)


      ['자로'가 묻기를 : “ 어찌하여야 이를 선비라고 일컬을 수 있겠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 “ 간절하게 학문이나 도덕을 함께 갈고 닦으며 서로 독려하고 비평하며,  

      서로 기쁘고 즐겁게 지내면 선비라 일컬을 수 있으니, 친구 사이에는 학문이나 도덕을 함께 갈고 닦으며

      서로 독려하고 비평하며, 형제 사이에는 서로 기쁘고 즐겁게 지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路問:「怎樣才算真正的士呢?」
      Zǐlù wèn : 「zěnyàng cái suàn zhēnzhèng de shì ne ?」
      孔子說:「相互鼓勵,相互批評,和睦相處, 可算士了. 朋友間相互鼓勵,相互批評, 兄弟間和睦相處.」
      
Kǒngzǐ shuō : 「xiānghù gǔlì,  xiānghù pīpíng,  hémùxiāngchǔ, kě suàn shì le.
      péngyou jiān xiānghù gǔlì, xiānghù pīpíng, xiōngdi jiān hémùxiāngchǔ.」】

 

29. 子曰:「善人教民七年, 亦可以即戎矣.」
     (자왈 : 「선인교민칠년, 역가이즉융의.」)


      ['공자'가 말하기를 : “ 착한 사람이 칠년 동안 백성을 가르치면,
      역시 그들은 군인이 되어 전쟁터에 나가서 싸울 수 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善人訓練百姓七年, 也可以讓他們當兵打仗了.」 
      Kǒngzǐ shuō : 「shànrén xùnliàn bǎixìng qīnián, yě kěyǐ ràng tāmen dāngbīng dǎzhàng le.」】 

 

30. 子曰:「以不教民戰, 是謂棄之.」
     (자왈 : 「이불교민전, 시위기지.」)


      ['공자'가 말하기를 : “ 가르치지 않은 백성을 동원하여 전쟁을 하게 되면, 
      이것은 백성들의 목숨을 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孔子說:「不訓練就讓百姓去打仗, 就是讓他們去送命.」 
      Kǒngzǐ shuō : 「bù xùnliàn jiù  ràng bǎixìng qù dǎzhàng, jiùshì ràng tāmen qù sòngmìng.」】

 

  

 ※   《 券 十三 ,    子 路 篇 ( 자로편 ) 》 


 身先士卒[shēnxiānshìzú] (신선사졸) : 장수가 병사들보다 앞장서다.  앞장서서 대중을 이끌다.

 [jiū] : 얽힐 ; 규./ 삿갓 가뜬할 ; 교.  1. 어지럽다 2. 꼬다 3. 모으다 4. 규명하다 5. 살피다.
 [dǒng] 
: 심란할 ; 동.     1. 심란하다(心亂--) 2. 마음이 어리석다 3. 알다 4. 이해하다 
.
 [qiǎng] : 포대기 ; 강.    1. 포대기 2. 띠 3. 돈꿰미 4. (등에)업다 .
 [shū] : 나물 ; 소.       1. 나물 2. 푸성귀 3. 낟 4.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xié] : 이끌 ; 휴.       1. 이끌다 2. 가지다 4.휴대하다 5. 연하다 6. 떨어지다 7. 흩어지다. 
 [gǎo] : 옆으로 칠 ; 고.    1. 옆으로 치다 2. 서로 다르다 3. 하다 .
 凑[còu] : 모일 ; 주.     1. (물이)모이다 2. 다가서다 3. 달리다 4. 향하다 5. 항구 7. 살결.
 [xiào] : 본받을 ; 효.   1. 힘쓰다 2. 배우다 3. 나타내다 4. 밝히다 5. 주다, 수여하다.   

 [xiù] : 소매 ; 수.      1. 소매 2. 반소매저고리 3. 소매에 넣다 4. 소매 속에 숨기다 .
 [Jǔ] : 감자 ; 거.       1. 감자(가짓과의 여러해살이풀) 2. 나라 이름 3. 성(姓)의 하나 .
 [mán] : 속일 ; 만./ 부끄러워할 ; 문.  1. (눈이)어둡다  2. (눈이)게슴츠레하다 3. (눈을)감다.

 [Dí] : 오랑캐 ; 적.     1. 오랑캐 2. 아전 4. 꿩의 깃 5. 뛰는 모양 6. 사악하다7.도려내다.
 [gěng] : 빛 ; 경.       1. 빛 2. 한결같은 모양 3. 비추다 6. 명백하다 7. 슬퍼하다.
 [kēng] : 돌 소리 갱, 경.     1. 소리의 형용 2.주변머리 없다 4. 고집스럽다 5. 천박하다. 
 [shāo] : 대그릇 ; 소.     1. 대그릇 2. 둥구미(대나무 그릇) 3. 밥통 4. 수저통 5. 적은 분량.
 [juàn] : 성급할 ; 견.  1. 의심하여 주저하다. 2. 견개하다(狷介--: 고집이 세고 지조가 굳다)
 [zhǎo] : 채울 ; 조./ 삿대질 할 ; 화.  1. 채우다, 보충하다 2. (인물을)찾다 a. 삿대질 하다.
 [héng] : 항상 ; 항./ 반달 ; 긍.   1. 항상(恒常)  4. 항구히 a. 반달 (긍) b. 두루 미치다 (긍).
 詿[guà] : 그르칠 ; 괘.     1. 그르치다 2. 속이다 3. 훼방하다(毁謗--) .
 [yì] : 굳셀 ; 의.     1. 굳세다 2. 용맹스럽다 4. 성을 발끈 내다 5. 화내다 6. 잔혹하다.
 [pǔ] : 순박할 ; 박./ 나무 빽빽할 ; 복. 1. 바탕 2. 질박하다(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3. 다듬다.
 [cāi] : 굳셀 ; 시.    1. 굳세다 2. 책선하다 3. 똑똑하다 4. 재주가 많다 .

 

 

 

※  原 文 .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