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논어) /券 十. 鄕黨篇

券 十 . 鄕 黨 篇 (향당편)

덕치/이두진 2021. 6. 22. 21:26

 

            券 十 .   鄕 黨 篇 (향당편)

 

 

1.  孔子於鄉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공자어향당, 순순여야, 사불능언자.  기재종묘조정, 편편언, 유근이.)


      ['공자'가 동향인들과 함께 있을 때에는 온화하고 공손하고 말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처럼  

      보였다. 종묘와 조정에 있을 때에는 분명하게 말을 잘 하였지만 매우 신중하였다.] 

 

     【孔子在鄉親面前, 溫和恭順, 象不會說話的人 ; 在宗廟朝廷裏, 口齒清晰, 衹是很謹慎.   
      Kǒngzǐ zai xiāngqīn mianqian,  wēnhe gōngshun,  xiang buhui shuōhua de ren ; 
      zai zōngmiao chaoting lǐ,  kǒuchǐ qīngxī,  zhǐshi hěn jǐnshen.】

 

 

2.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與上大夫言, 誾誾如也.  君在, 踧踖如也.  與與如也.

     (조, 여하대부언, 간간여야 ; 여상대부언, 은은여야. 군재, 척적여야. 여여여야. ) 

 

      [조정에서 하대부들과 말을 할 때에는 홀가분한 듯했으며 ; 상대부들과 말을 할 때에는 상냥하고 친절하였다. 

      ​임금이 계실 때에는 공손하면서 조심하였고 태도는 침착하였다. ] 

 

    【上朝時, 同下大夫說話, 輕鬆快樂;同上大夫說話, 和顏悅色;在國君面前, 恭恭敬敬, 儀態安詳.
       shangchao shi,  tong xiadafū shuōhua,  qīngsōng kuaile ; tong shangdafū shuōhua, 

      heyanyuese ; zai guojūn mianqian,  gōnggongjingjing,  yitai ānxiang.】 

 

3.  君召使擯, 色勃如也, 足躩如也.  揖所與立, 左右手.  衣前後, 襜如也.  

     趨進, 翼如也.  賓退, 必復命曰:「賓不顧矣.」                    
     (군소사빈, 색발여야, 족곽여야.  읍소여립, 좌우수.  의전후, 첨여야. 

      추진, 익여야.  빈퇴, 필복명왈 : 「빈불고의.」)

   
      [임금이 '공자'를 불러 외국 손님을 접대하게 하면 '공자'의 얼굴빛에 위엄이 있었고 발걸음이 빨라졌다. 

      함께 서 있는 손님에게 읍을 할 때에는 좌우로 손을 잡으니 옷의 앞뒤 자락이 나풀거리며 가지런하였다.

      ​빨리 걸어 나아갈 때에는 마치 새가 날개를 펴듯 단정하였다. 
      손님이 물러가면 반드시 복명하기를 : “손님은 돌아보지 않고 잘 떠나갔습니다.”라고 하였다.]   

 

    【國君召孔子去接待來賓, 孔子表情莊重, 腳步迅速;與兩旁的人作揖, 左右拱手, 衣服前後擺動, 很整齊;
      guojūn zhao Kǒngzǐ qu jiēdai laibīn,  Kǒngzǐ biǎoqing zhuāngzhong,  jiǎobu xunsu ;
      yǔ liǎngpang de ren zuoyī,  zuǒyou gǒngshǒu,  yīfu qian hou bǎidong,  hěn zhěngqi ;
      快速向前時, 步伐輕快;來賓走後, 必定回報說:「客人走遠了.」 
      kuaisu xiangqian shi,  bufa qīngkuai ;  laibīn zǒu hou, biding huibao shuō : 「keren zǒu yuǎn le.」】 

 

4.  入公門, 鞠躬如也, 如不容. 立不中門, 行不履閾.  過位, 色勃如也, 足躩如也, 其言似不足者. 

      攝齊升堂, 鞠躬如也, 屏氣似不息者.  出, 降一等, 逞顏色, 怡怡如也. 

     沒階趨, 翼如也.  復其位, 踧踖如也

     (입공문, 국궁여야, 여불용.  입불중문, 행불이역.  과위, 색발여야, 족곽여야, 기언사불족자.

      섭제승당, 국궁여야, 병기사불식자.  출, 강일등, 령안색, 이이여야. 

      몰계추, 익여야.  복기위, 축적여야.)


      [대궐 정문을 들어설 때는 몸을 굽히는 것이 마치 문이 작아서 몸이 들어가지 못하는 듯하였다. 

      서 있을 때에는 문 가운데 서지 않았으며, 문을 드나들 때는 문턱을 밟지 않았다.  

      임금이 앉아 계시던 자리를 지나갈 때에는 표정이 장중하고 엄숙하였으며, 발걸음은 민첩하였고

      말은 부족한 듯하였다. 옷자락을 잡고 당에 오를 때에는 몸을 굽히고 숨을 죽여 쉬지 않는 듯하였다.

      밖으로 나와 계단 하나를 내려서서  얼굴빛을 풀었는데 즐거운 듯하였으며, 계단을 다 내려 와서는

      빨리 걸어가는 것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펴듯 단정하였다. 자리에 돌아와서는 공경하면서 조심하였다.]

 

    【進入朝廷大門時, 走路象鞠躬一樣, 如同無處容身.  不在門中間站立, 腳不踩門坎. 

      從君主的座位前經過, 表情莊嚴, 腳步輕快, 說話好像氣不足. 
      jinru chaoting damen shi,  zǒulu xiang jūgōng yiyang,  rutong wuchurongshēn.
      bu zai men zhōngjiān zhanli, jiǎo bu cǎi menkǎn. 

       cong jūnzhǔ de zuowei qian jīngguo, biǎoqing zhuāngyan, jiǎobu qīngkuai, shuōhua hǎoxiang qi buzu. 
      提著衣邊上堂, 象鞠躬,憋著氣象沒有呼息一樣. 出來時, 每下一個臺階, 神態舒展, 心情舒暢.

      下完臺階, 步伐加快, 如同長了翅膀.  回到自己的位置, 又顯得恭敬謹慎.

      ​ti zhu yī biānshang tang,  xiang jūgōng, biē zhu qixiang meiyǒu hū xī yiyang.  
       chūlai shi,  měi xia yige taijiē,  shentai shūzhǎn,  xīnqingshūchang.
      xia wan taijiē,  bufa jiākuai,  rutong zhǎngle chibǎng. huidao zijǐ de weizhi,  you xiǎnde gōngjing jǐnshen.】 

 

 

5.  執圭, 鞠躬如也, 如不勝.  上如揖, 下如授.  勃如戰色, 足縮縮, 如有循.

     享禮, 有容色.  私覿, 愉愉如也。 

     (집규, 국궁여야, 여불승.  상여읍, 하여수. 발여전샛, 족축축, 여유순. 

      향례, 유용색.  사적, 유유여야.)


      [홀(제후를 봉할때 사용하던 신임도장)을 잡고 있으면 몸을 굽히듯 하여 무게를 이기지 못하듯 하였다. 

      그것을 올리는 것은 읍하는 정도로 하고 내릴 때는 물건을 내줄 때 정도로 하는데  

      두려워하는 것 같은 얼굴빛으로 변하고, 발은 뒤꿈치로 옮겨가는데 더듬어 가는 듯하였다.

      예물을 바치는 자리에서는 상냥하고 친절했으며, 사적으로 접견할 때에는 얼굴빛을 즐거운 듯하였다.]

 

     【拿著圭時, 象鞠躬, 如同拿不動.  向上舉好像作揖, 放下來好像交給別人.
       na zhu guī shi, xiang jūgōng, rutong na bu dong. 

       xiangshang jǔ hǎoxiang zuoyī, fang xialai hǎoxiang jiāogěi bieren.
       臉色凝重, 戰戰兢兢, 腳步細碎, 象沿著一條線走路.  獻禮時, 和顏悅色.  便訪時, 輕鬆愉快. 
       liǎnse ningzhong,  zhanzhanjīngjīng,  jiǎobu xisui,  xiang yan zhu yitiao xian zǒulu.
       xianlǐ shi, heyanyuese.  bian fǎng shi,  qīngsōngyukuai.】

 

6.  君子不以紺緅飾. 紅紫不以為褻服. 當暑, 袗絺綌, 必表而出之. 緇衣羔裘, 素衣麑裘, 黃衣狐裘. 

      褻裘長.  短右袂.  狐貉之厚以居.  去喪, 無所不佩.  非帷裳, 必殺之. 

     羔裘玄冠不以弔.  吉月, 必朝服而朝

     (군자불이감추식. 홍자불이위설복.  당서, 진치격, 필표이출지.  치의고구, 소의예구, 황의호구. 

      설구장. 단우몌.  호학지후이거.  거상, 무소불패.  비유상, 필살지. 
      고구현관불이조.  길월, 필조복이복.) 
 

     

      ​[군자는 감색과 아청색으로 상복의 가장자리를 두르지 않았으며, 홍색과 자색으로 평상복을 만들지 않았다. 

      ​더울 때에는 가는 칡베와 굵은 칡베로 만든 홑옷을 반드시 겉에 입었다. 

      검은 옷에는 염소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흰 옷에는 사슴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으며, 
      누런 옷에는 여우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었다. 평상시에 입는 갖옷은 길고 오른쪽 소매는 짧게 했다. 

      여우와 담비의 두터운 털옷을 입고 지냈다. 장례가 끝나고 난 후에는  패물을 차지 않은 적이 없었다.  

      조회나 제사에 입는 것이 아니면 치마는 반드시 줄여서 꿰매었다. 
      검은 염소 갖옷에 검정 갓으로는 조상을 가지 않았다. 초하룻날에는 반드시 조복을 입고 조회에 나갔다. ] 

 

     【君子不用深紅色做衣邊, 紅色紫色不可做內衣.  夏天, 穿單衣, 外出必套外套.
       jūnzǐ buyong shēn hongse zuo yī biān,  hongse zǐse bukě zuo neiyī.  

       xiatiān,  chuān dānyī,  waichū bi tao waitao.
       黑色內衣, 配黑色的外套;白色的內衣, 配黃色外套;黃色的內衣, 配黃色外套.
       hēise neiyī,  pei hēise de waitao ;  baise de neiyī,  pei huangse waitao ; 

       huangse de neiyī,  pei huangse waitao.
       內衣較長, 右袖較短.  坐墊要厚.  喪事結束後,無所不佩.  不是正式場合的衣服,一定要裁邊.
       
neiyī jiao chang,  you xiu jiao duǎn.  zuodian yao hou.
       sāngshi jieshu hou,  wusuǒ bu pei.  bushi zhengshi chǎnghe de yīfu, yiding yao cai biān.
       吊喪時不穿黑衣、不戴黑帽.  每月初一, 必穿朝服去朝見.
       diaosāng shi bu chuān hēiyī,  bu dai hēimao. měiyue chūyī,  bi chuān chaofu qu chaojian.】 

 

7.  齊, 必有明衣, 布.  必有寢衣, 長一身有半.  齊, 必變食, 居必遷坐.
     (재, 필유명의, 포.  필유침의, 장일신유반. 재, 필변식, 거필천좌.)


      [목욕재계할 때에는 반드시 목욕가운이 있는데 베로 만든 것이다. 
      반드시 잘 때는 잠옷을 입었는 길이가 몸길이의 한 배 반이었다.    

      목욕재계할 때에는 반드시 음식을 바꾸시며, 거처할 자리를 반드시 옮기셨다.] 

 

    【齋戒沐浴時, 必有布做的浴衣. 一定要有睡衣, 長一身半.  齋戒時, 一定要改變平時的飲食, 一定要改變住處.

      zhāijie muyu shi,  bi yǒu bu zuo de yuyī.   yiding yao yǒu shuiyī,  chang yishēn ban. 
      zhāijie shi,  yiding yao gǎibian pingshi de yǐnshi,  yiding yao gǎibian zhuchu.】 

 

 

8.  食不厭精, 膾不厭細. 食饐而餲, 魚餒而肉敗, 不食.  色惡, 不食. 臭惡, 不食.

     失飪, 不食. 不時, 不食. 割不正, 不食. 不得其醬, 不食. 肉雖多, 不使勝食氣.

     惟酒無量, 不及亂. 沽酒市脯不食. 不撤薑食. 不多食.

      (식불염정, 회불염세. 식의이애, 어뇌이육패, 불식.  색악, 불식.  취악, 불식. 

     실임,  불식.  불시, 불식. 할부정, 불식.  부득기장, 불식.  육수다, 불사승식기. 

     유주무량, 불급난. 고주시포불식.  불철강식.  불다식.) 
     

     ​[밥은 최고의 것을 싫어하지 않고, 회는 잘게 썬 것을 싫어하지 않았다.

     밥이 상하여 쉬거나, 생선이 썩고 고기가 부패한 것은 먹지 않았으며, 색이 변했어도 먹지 않았고, 
     냄새가 고약한 것도 먹지 않았고, 익히지 않은 것도 먹지 않았고, 때가 아니면 먹지 않았다.

     ​고기를 썬 것이 반듯하지 않으면 먹지 않았고, 간이 맞지 않으면 먹지 않았다.

     고기가 비록 많아도 밥보다 더 많이 먹지는 않았으며,

     오로지 술은 얼마든지 마시지만 정신을 잃을 정도로 마시지는 않았다. 
     시장에서 사온 술이나 육포는 먹지 않았으며, 생강먹는 것을 끊지 않았지만 많이 먹지는 않았다.

​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고 받은 고기는 밤을 넘기지 않았다.  

     집안 제사에 쓴 고기는 사흘을 넘기지 않았고, 사흘을 넘기면 먹지 않았다.  

     밥을 먹을 때는 말을 하지 않았으며, 잠자리에 들어서 말을 하지 않았다. 
     거친 밥과 나물, 국이라도 반드시 제사를 지냈으며 반드시 재계한 듯 경건하였다.]  

  

   【糧食儘量精, 肉類儘量細。變質的東西不吃;變色的東西不吃, 變味的東西不吃;烹飪得不好不吃;
      liangshi jǐnliang jīng,  roulei jǐnliang xi.  bianzhi de dōngxi bu chī
      bianse de dōngxi bu chī,  bianwei de dōngxi bu chī;  pēngren de buhǎo bu chī ;
      不是吃飯的時間不吃;切的不好看不吃;調味品不好不吃.   
      bushi chīfan de shijiān bu chī ; qiē de bu hǎokan bu chī ;  tiaoweipǐn buhǎo bu chī.
      肉類雖多, 但不要吃過量. 衹有酒不限量, 但不要喝醉.
      roulei suī duō,  dan buyao chī guoliang.  zhǐyǒu jiǔ bu xianliang,  dan buyao hēzui.
      從集市上買來的酒肉不吃;每餐必有姜, 但不多吃.
      cong jishi shang mǎi lai de jiǔrou bu chī ;  měi cān bi yǒu jiāng,  dan bu duō chī.
      參加國家的祭典, 分得的祭肉不留過夜;家裏的祭肉, 不留過三日.
      cānjiā Guojiā de jidiǎn,  fēnde de ji rou bu liu guoye ;  jiāli de ji rou,  bu liu guo sānri .
      過了三日, 就不 吃了. 吃飯時不說話, 睡覺時不說話.
      guole sānri,  jiu bu chīle.   chīfan shi bu shuōhua,  shuijiao shi bu shuōhua.
      即使是粗茶淡飯, 飯前也要祭一祭, 象齋戒一樣嚴肅.
      jishǐshi cūchadanfan,  fanqian yě yao jiyīji, xiang zhāijie yiyang yansu.】

 

9.  席不正, 不坐.
     (석불정, 불좌.)


     [자리가 바르지 아니하면, 앉지 않았다.]

  

    【坐席沒擺正, 不坐. 
      zuoxi mei bǎizheng,  bu zuo.】 

  

10.  鄉人飲酒, 杖者出, 斯出矣。鄉人儺, 朝服而立於阼階。                                     
      (향인음주, 장자출, 사출의.  향인나, 조복이립어조계.)
       

       [마을 사람들과의 술자리가 끝났을  때는 지팡이를 짚은 노인이 나가면 기다렸다가 비로소 나갈 수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귀신을 쫒는 제사를 지낼 때에는 조복을 입고 동쪽 계단에 서 있었다.]  

 

     【鄉親們的飲酒儀式結束時, 要等老人出去後, 才能出去.
       xiāngqīnmen de yǐnjiǔ yishi jieshu shi,  yao děng lǎoren chūqu hou,  caineng chūqu.
       鄉親們舉行驅鬼儀式時, 要穿朝服站在東邊的臺階上.
       xiāngqīnmen jǔxing qūguǐ yishi shi, yao chuān chaofu zhan zai dōngbiān de taijiē shang.】

  

11.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康子饋藥, 拜而受之.  曰:「丘未達, 不敢嘗.」   

      (문인어타방, 재배이송지. 강자궤약, 배이수지.  왈 : 「구미달, 불감상」)


       [다른 나라에 있는 사람에게 안부를 물을 때에는 가는 사람에게 두 번 절하고 보냈다. 
       '계강자'가 약을 내리자 절하고 약을 받으며 말하기를 :

       “ 나는 이 약의 성분에 대해 잘 몰라 감히 맛을 볼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托人給外國的朋友送禮時, 一定拜, 兩次送.  季康子送藥, 孔子拜受了.
       tuōren gěi waiguo de pengyou songlǐ shi, yiding bai, liǎngci song.  Jikāngzǐ song yao,  Kǒngzǐ bai shoule. 
       說:「我對藥性不瞭解, 不敢嘗.」
       shuō : 「wǒ dui yaoxing bu liǎojiě,  bugǎn chang.」】

 

12.  廄焚. 子退朝, 曰:「傷人乎?」 不問馬.
      (구분. 자퇴조, 왈 : 「상인호 ?」 불문마.)


       [마굿간에 불이 났는데 '공자'가 조정에서 돌아와 말하기를 : “사람이 상했느냐 ? ” 라고 하고는, 

       ​말의 상황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馬廄燒了.  孔子退朝回來, 問:「傷人了嗎?」 不問馬的情況。
       mǎjiu shāo le.  Kǒngzǐ tui chao huilai,  wen : 「shāng ren le ma ? 」buwen mǎ de qingkuang.】

  

13.  君賜食, 必正席先嘗之;君賜腥, 必熟而薦之;君賜生, 必畜之.  侍食於君, 君祭, 先飯. 

       疾, 君視之, 東首, 加朝服, 拖紳.  君命召, 不俟駕行矣.

       (군사식, 필정석선상지 ; 군사성, 필숙이천지 ; 군사생, 필축지.  시식어군, 군제, 선반.

       질, 군시지, 동수, 가조복, 타신. 군명소, 불사가행의.)


       [임금이 음식을 하사하면 반드시 자리에 반듯하게 앉아서 먼저 맛을 보고,

       임금이 날고기를 하사하면 반드시 익혀서 조상에게 올리고, 임금이 산 짐승을 하사하면 반드시 길렀다.

       임금을 모시고 식사할 때, 임금이 제사를 지내면 먼저 맛을 보고 시식을 하였다.

       병이 났을 때 임금이 와서 보면 머리를 동쪽으로 하고 조복으로 덮은 다음 띠를 걸쳐 놓았다. 
       임금이 명을 내려 부르면 멍에 매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걸어서 갔다.]  

           

      【君主賜的食物, 孔子一定要擺正先嘗;君主賜的鮮肉, 一定要煮熟供奉祖先; 
       jūnzhǔ ci de shiwu, Kǒngzǐ yiding yao bǎizheng xiān chang ; 

       jūnzhǔ ci de xiānrou, yiding yao zhǔshu gongfeng zǔxiān ;
       君主賜的活物, 一定要養起來.  陪君主吃飯, 君主祭祀時, 自己先嘗.
       jūnzhǔ ci de huowu,  yiding yao yǎng qǐlai. pei jūnzhǔ chīfan,  jūnzhǔ jisi shi,  zijǐ xiān chang.
       孔子生病, 君主來探問, 孔子面朝東迎接, 蓋著朝服, 拖著帶子.
       Kǒngzǐ shēngbing,  jūnzhǔ lai tanwen,  Kǒngzǐ mian chao dōng yingjiē, gai zhu chaofu,  tuō zhu daizi.
       君主召見時, 不等車備好, 自己就步行而去.
       jūnzhǔ zhaojian shi,  bu děng chē bei hǎo,  zijǐ jiu buxing er qu.】

 

14.  入太廟, 每事問.
      (입태묘, 매사간.)


       [태묘에 들어가서는 모든 일을 물어보고 하였다.]

 

      【孔子進太廟, 每件事都問.
       Kǒngzǐ jin taimiao,  měijianshi dōu wen.】

 

15.  朋友死, 無所歸.  曰:「於我殯.」 朋友之饋, 雖車馬, 非祭肉, 不拜.
      (붕우사, 무소귀. 왈 : 「어사빈.」  붕우지궤, 수거마, 비제육, 불배.) 


       [친구가 죽어 돌아갈 곳이 없으면 이르기를 : “ 내 집에 빈소를 마련하라.”라고 하였다. 
       친구가 보내온 선물은 비록 수레와 말일지라도 제사에 쓸 고기가 아니면 받지 않았다.]

 

     【朋友死了, 沒人辦喪事, 孔子說:「我來辦.」 朋友的贈品, 即使是車馬, 不是祭肉, 不拜.
       pengyou sǐle,  mei ren ban sāngshi,  Kǒngzǐ shuō : 「wǒ lai ban.」
       pengyou de zengpǐn,  jishǐshi chēmǎ,  bushi ji rou,  bu bai.】

 

 

16.  寢不尸, 居不容.  見齊衰者, 雖狎, 必變.  見冕者與瞽者, 雖褻, 必以貌.

      凶服者式之.  式負版者.  有盛饌, 必變色而作. 迅雷風烈, 必變.
     
  (침불시, 거불용. 견제쇠자. 수압, 필변.  견변자여고자, 수설, 필이모.  
       흉복자식지.  식부판자.  유성찬, 필변색이작. 신뇌풍열, 필변.)


       [잠잘 때는 죽은 사람처럼 하지 않았으며, 집에 있을 때는 엄숙한 얼굴을 하지 않았다.

       상복을 입은 사람을 만나면 비록  친근한 사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엄숙히 대하였고,

       관복을 입은 사람과 앞 못 보는 사람을 보면 비록 남루한 옷차림 일지라도 반드시 예모를 갖추었다.

       상복을 입은 사람에게는 예의를 표하고, 등에 도판(지도와 호적)을 진 사람에게도 그러하였다.
       풍성하게 차린 음식이 나오면 엄숙한 표정으로 일어나서 감사의 뜻을 나타내었다.  

       요란한 천둥소리와 세찬 바람이 불 때에는 반드시 얼굴 표정이 엄숙하게 변하였다.]

 

     【睡覺時不要直挺著象死人, 在家閒住時不要象正式場合那樣嚴肅.
       shuijiao shi buyao zhi tǐng zhu xiang sǐren, 

       zai jiā xian zhu shi buyao xiang zhengshi chǎnghe nayang yansu.
       見穿喪服的人, 即使再親密, 也一定要嚴肅;見穿官服的人和盲人, 即使再熟悉, 也一定要有禮貌;
       jian chuān sāngfu de ren,  jishǐ zai qīnmi,  yě yiding yao yansu ;
       jian chuān guānfu de ren he mangren,  jishǐ zai shuxī,  yě yiding yao yǒu lǐmao ;
       在車上遇到送殯的人, 一定身體前傾表示同情, 遇見背負版圖的人也一樣;
       zai chē shang yudao song bin de ren,  yiding shēntǐ qianqīng biǎoshi tongqing, 

       yujian bēifu bǎntu de ren yě yiyang ;
       在重大宴席上, 一定表情嚴肅緻謝;遇到打響雷, 刮大風, 一定表情嚴肅表示對天的敬畏.
       zai zhongda yanxi shang,  yiding biǎoqing yansu zhixie ; 
       yudao dǎ xiǎnglei,  guā dafēng,  yiding biǎoqing yansu biǎoshi dui tiān de jingwei.】

 

17.  升車, 必正立執綏.  車中, 不內顧, 不疾言, 不親指. 
      (승거, 필정립집수. 거중, 불내고, 불질언, 불친지.)

 
       [수레에 오르면 반드시 똑바로 서서 말고삐를 잡았다.  수레 안에서는 안을 둘러보지 않았고,

       말을 빨리 하지도 않았으며, 손가락으로 직접 물건을 가리키지도 않았다.]

 

      【上車時, 一定先站直, 然後拉著扶手上車,  在車中, 不回頭, 不急切說話, 不指指劃劃.
       
shangchē shi, yiding xiān zhan zhi,  ranhou lā zhu fushou shangchē, 

       zai chē zhōng,  bu huitou,  bu jiqie shuōhua,  bu zhǐzhǐ huahua.】

 

18.  色斯舉矣, 翔而後集.  曰:「山梁雌雉, 時哉!時哉!」子路共之, 三嗅而作.
      (색사거의, 상이후집. 왈 : 「산량자치, 시재 ! 시재 ! 」 자로공지, 삼후이작.)


       [새가 눈치 채고 공중에서 빙빙 돌다 다시 내려와서 앉았다.

       '공자'가 말하기를 : “저 산기슭의 암꿩이 제때를 만났구나. 제때를 만났구나.”라고 하였다.

       '자로'가 이 꿩을 잡아 올리고자 하니, 꿩이 세 번 울고 날아가 버렸다.]

 

     【孔子郊游, 看見野雞飛翔一陣後停在樹上, 孔子神情一變, 

       Kǒngzǐ jiāoyou,  kanjian yějī fēixiang yizhen hou ting zai shu shang, Kǒngzǐ shenqing yībian,
       說:「山脊上的野雞啊, 時運好啊!時運好!」子路向它們拱拱手, 野雞長叫幾聲飛走了.
       
shuō : 「shānjǐ shang de yějī a,  shiyun hǎo a !  shiyun hǎo ! 」
       Zǐlu xiang tāmen gǒnggǒngshǒu,  yějī chang jiao jǐshēng fēi zǒule.】

 

 

※  《 券 十.   鄕 黨 篇 (향당편) 》 

 

 [xun] : 정성 ; 순./ 엄할 ; 준.   1. 참된 마음 2. 미쁘다, 진실 하다 a. 두려워하다.
 [xī] : 밝을 ; 석.     1. 밝다 2. 명백하다 3. (피부가)희고 깨끗하다 4. 분명(分明)한 모양 .

 [kǎn] : 굳셀 ; 간.    1. 굳세다 2. 강직하다3. 화락하다 4. 조용하다, 안락한 모양. 
 [yin] : 향기 ; 은.     1. 향기 2. 향내(香-)가 나다 3. 온화하다(溫和--) 4. 화기애애하다 .
 [cu] : 삼갈 ; 축./ 평평할 ; 척.   1. 삼가다 2. 평평하다 3. 재촉하다 5. 곤궁하다,핍박하다 

               6. 조심하는 모양 7. 공경(恭敬)하는 모양 a. 평평하다(平平--) (척). 
 [ji] : 밟을 ; 적.     1. 밟다 2. 삼가는 모양 3. 공손한 모양 4. 부끄러워하는 모양 5. 민첩. 
 [bin] : 물리칠 ; 빈.   1. 물리치다 2. 인도하다 3. 배척하다(排斥--) 4. 인도하는 사람 .
 [jue] : 바삐 갈 ; 곽.     1. 바삐 가다 2. 뛰다 3. 발길을 돌려 나아가지 않는 모양 .
 [chān] : 행주치마 ; 첨./ 부족 이름 ; 담.   1. 행주치마 2. 홑옷 3. 휘장 4. 흉노(匈奴) (담) .
 [gǒng] : 팔짱 낄 ; 공./ 보옥 ; 공.   1. 팔짱 끼다 2. 마주 잡다 3. 두르다 4. 보옥(寶玉). 
 [yu] : 문지방 ; 역.    1. 문지방 2. 내외의 한계 3. 한정하다 4. 안팎을 구별짓다. 
 [yi] : 기쁠 ; 이.    1. 즐거워하다 3. 기쁘게 하다 4. 온화하다(溫和--) .
 [kǎn] : 구덩이 ; 감.    1.숨기다 2. 치는 소리 5. 고생하다 6. 험난하다7. 괴로워하다

 [biē] : 악할 ; 별.     1. 악하다 2. 모질다 3. 나쁘다 4. 성급하다(性急--) 5. 조급하게 굴다 .
 [suō] : 줄일 ; 축.    1. 감축하다 2. 오그라들다,3. 모자라다 4. 다스리다 6. 올바르다, 곧다 
 覿[di] : 볼 ; 적. 1. 보다, 만나다, 2. (눈이)붉다 3. 멀리 바라보다 4. 멀리 바라보는 모양 .
 [na] : 잡을 ; 나.  1. 협박하다 2. 붙잡다, 포획하다 3. 손에 넣다 4. 사로잡다 5. 점령하다

 [ning] : 엉길 ; 응.   1. 한데 뭉치어 붙다 2. 얼다, 3. 춥다 4. 굳어지다 5. 집중하다.
 [sui] : 부술 ; 쇄.        1. 부수다 2. 부서지다 3. 깨뜨리다 4. 잘다 5. 부스러기 .
 [gan] : 감색 ; 감. /연보라 ; 감.   1. 감색 2. 야청빛 3. 연보라 4. 반물. 
 [zōu] : 검붉을 ; 추.     1. 검붉다 2. 검붉은 비단(緋緞). 
 [shi] : 꾸밀 ; 식./ 경계할 ; 칙.   1. 보물 2. 단장하다 3. 위장하다 4. 씻다 5. 장식    

 [xie] : 더러울 ; 설.     1. 더럽다 2. 음란하다 4. 업신여기다 6. 깔보다 7. 무례하다 
 [chī] : 칡베 ; 치.    1. 칡베(칡의 섬유로 짠 고운 베) 2. 바느질하다 4. 수놓다(繡--). 
 [xi] : 칡베 ; 격.          1. 칡베 2. 거친 갈포 3. 칡베로 만든 옷.
 [ni] : 사자 ; 예.          1. 사자(獅子) 2. 사슴 새끼 .
 [zī] : 검을 ; 치.          1. 검다 2. 검은 비단 4. 검은빛 5. 검은 옷 6. 승려(僧侶) 7. 승복 .
 袂[mei] : 소매 ; 몌.       1. 소매 .
 [dian] : 빠질 ; 점.      1. 매장하다 2. 가라앉다 3. 떨어져 잠기다 4. 늘어지다 5. 지치다
 [hui] : 회 ; 회.           1. 회(膾: 얇게 썬 고기) 2. 회치다 3. 얇게 썰다 .
 [yie] : 쉴 ; 의./쉴 ; 애./ 목멜 ; 열.   1. 쉬다(음식이 상하여 맛이 변하다) a. 목메다 .
 [ai, yi, ya] : 쉴 ; 애.     1. 쉬다, 음식(飮食) 맛이 변하다(變--) 2. 유과 3. 유밀과. 
 [něi] : 주릴 ; 뇌.        1. 주리다 2. 굶기다 3. 썩다 4. 굶주림 .
 [ren] : 익힐 ; 임.    1. 익히다 2. 너무 익다 3. 삶다 4. 잘 고아지다 5. 곰국 6. 떡국.
 [jiang] : 장 ; 장.         1. 장(된장, 간장) 2. 육장(肉醬) 3. 장조림 4. 젓갈. 
 [jiāng] : 생강 ; 강.      1. 생강(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채소) .
 [gēng] : 국 ; 갱/ 땅 이름 ; 랑, 낭.    1. 끓인 국 2. 삶다 3. 끓이다 a. 땅 이름 (랑). 
 [nuo] : 푸닥거리 ; 나.   1. 푸닥거리 2.  걸음걸이의 바른 모양 4. 공손, 순진한 모양.
 [zhan] : 역마을 ; 참./ 우두커니 설 ; 참.      1. 역마을 2. 우두커니 서다 3. 일어서다 .
 [kui] : 보낼 ; 궤.       1. (음식을)보내다 2. (음식을)권하다 3. 먹이다 4. 식사(食事).
 [jiu] : 마구간 ; 구.     1. 마구간(馬廏間) 2. 마소가 모이는 곳 3. 벼슬 이름 4. 모이다 .
 [xīng] : 비릴 ; 성.     1. 비리다 2. 누리다 3. 더럽다 4. 날고기 5. 물고기 7. 돼지 군살. 
 [jian] : 천거할 ; 천./ 꽂을 ; 진.   1. 견뎌 내다 2. 드리다, 올리다 3. 늘어놓다, 진술하다

 [tuō] : 끌 ; 타.        1. 끌다 2. 마음대로 내버려 두다 4.풀어놓다 6. 던지다 7. 빼앗다.
 [si, qi] : 기다릴 ; 사./ 성씨 ; 기.    1. 기다리다 2. 대기하다 3. 떼지어 가다 4. 서행.
 [bin] : 빈소 ; 빈.     1. 염하다(殮--) 2. 초빈하다 3. 파묻히다       

 [shī] : 주검 ; 시.   1. 주관하다 2. 시체 3. 신주 4. 시동 5.진을 치다     

 [zhuan] : 반찬, 지을 ; 찬./ 여섯 냥 ; 선.  1. 음식을 차리다 2. 시문을 짓다 3. 먹다 
 [sui] : 편안할 ; 수 .  1. 편안하다 2. 물러가다 4. 기의 장식(裝飾) 5. 끈 .

 [xiang] : 날 ; 상.   1. 빙빙 돌아날다 2. 돌다 3. 바라보다 4. 삼가다 5. 자세하다  6. 상서롭다.
 [ci] : 암컷 ; 자.      1. 암컷 2. 암새 3. 약하다 4. 쇠약해지다 5. 패배하다(敗北--) 6. 지다 

 [] : 등마루 ; 척.    1. 등마루(등골뼈가 있는 두두룩하게 줄진 곳) 2. 등골뼈     

                               3. (일이 이루어져 나가는)조리4. 어지러워지다 . 

 

 

 

※  原 文 .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