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맹자) /第 二篇. 公孫丑. 上,下

第 二 篇. 公 孫 丑(공손추). 上 , 下

덕치/이두진 2021. 6. 26. 13:06

 

        第 二 篇.  公 孫 丑(공손추). 上  

 

 

 

1.  公孫丑問曰:「夫子當路於齊, 管仲,晏子之功, 可復許乎?」

     ​(공손추문왈 : 「부자당로어제, 관중,안자지공, 가복허호 ? 」)


      [Gōngsūnchǒu wèn yuē : 「fūzǐ dāng lù yú Qí,  Guǎnzhòng, Yànzǐ zhī gōng, kě fù xǔ hū ? 」]
     

     【'공손추'가 묻기를 : "선생님(맹자)께서 제나라의 중요 관직에 오르신다면 옛날 관중()과 안자()가

       이룬 공적()을 또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으십니까?" 라고 하자.】 

 

     孟子曰:「子誠齊人也, 知管仲,晏子而已矣. 或問乎曾西曰 : 『吾子與子路孰賢?』  

     曾西蹴然曰:『吾先子之所畏也.』曰:『然則吾子與管仲孰賢?』

     曾西艴然不悅, 曰:『爾何曾比予於管仲? 管仲得君, 如彼其專也; 

      行乎國政, 如彼其久也;功烈, 如彼其卑也.  爾何曾比予於是?』」

     曰:「管仲, 曾西之所不為也, 而子為我願之乎?」

      (맹자왈 : 「자성제인야, 지관중,안자이이의.  혹문호증서왈 : 『오자여자로숙현 ?』  

       증서축연왈 : 『오선자지소외야.』 왈 : 『연즉오자여관중숙현 ?』

​       증서불연불열, 왈 : 『이하증비여어관중 ? 관중득군, 여피기전야 ; 

       ​행호국정, 여피기구야 ; 공열, 여피기비야.  이하증비여어시 ?』」

       ​왈 : 「관중, 증서지소불위야, 이자위아원지호 ?」


       [Mèngzǐ yuē : 「zǐ chéng Qí rén yě,  zhī Guǎnzhòng,Yànzǐ éryǐ yǐ.   

       huò wèn hū Céngxī yuē : 『wú zǐ yǔ Zǐlù shú xián ? 』 Jéngxī cù rán yuē : 『wú xiān Zǐ zhī suǒ wèi yě.』

​       Jéngxī fú rán búyuè,  yuè : 『ěr hé Céng bǐ yǔ yú Guǎnzhòng ?   Guǎnzhòng dé jūn,  rú bǐ qí zhuān yě ; 

       xíng hū guózhèng,  rú bǐ qí jiǔ yě ;  gōng liè,  rú bǐ qí bēi yě.  ěr hé Céng bǐ yǔ yú shì ?』」

       yuē : 「Guǎnzhòng,  Céngxī zhī suǒ bù wéi yě,  ér zǐ wèi wǒ yuàn zhī hū ?」 
         

     【'맹자'가 대답하기를 : " 그대는 진실로 제나라 사람이로다.  '관중'과 '안자'만이 대단한 줄 알고 있구나.

       ​어떤 사람이 '증서'에게 묻기를 : '당신과 '자로' 중에 누가 더 나은가 ?' 라고 하자,
       '증서'가 펄쩍 뛰면서 말하기를 :'자로'는 우리 조부(曾子)께서도 두려워하던 분일세' 라고 하였다. 
       다시 묻기를 : '그러면 당신과 '관중' 중에 누가 더 나은가 ?'라고 하자. 
       '증서'가 발끈해 하며 불만스럽게 말하기를 : '그대가 어찌 나를 '관중'에 비교하는가 ? 
       '관중'은 환공의 신뢰를 독차지하고 ; 국정을 저토록 오래 집행했음에도 ; 공적이 저렇게 형편없는데,

       그대는 어찌 나를 그런 사람과  비교하는가 ?'"라고 하였으니, 

      이처럼 관중()은 증서(西)도 본받으려 하지 않은 사람이다.

       그런데 너는 내가 관중() 같은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것인가."라고 하였다.】

      曰:「管仲以其君霸, 晏子以其君顯.  管仲,晏子猶不足為與?」曰:「以齊王, 由反手也.」

      (왈 : 「관중이기군패, 안자이기군현.  관중,안자유부족위여 ?」 왈 : 「이제왕, 유반수야.」


       [yuē : 「Guǎnzhòng yǐ qí jūn bà,  Yànzǐ yǐ qí jūn xiǎn.  Guǎnzhòng,Yànzǐ yóu bù zú wéi yǔ ?」

      ​ yuē : 「yǐ Qí wáng,  yóu fǎnshǒu yě.」
        

     【'공손추'가 묻기를 : "'관중'은 환공을 도와 패왕이 되게 하고, '안자'는 경공을 도와 

       그 이름이 드러나게 하였으니, '관중'과 '안자'도 오히려 되어 볼 만하지 않습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제나라를 가지고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이 쉬운 일이다."하였다.】  

             

      曰:「若是, 則弟子之惑滋甚.  且以文王之德, 百年而後崩, 猶未洽於天下;    

      武王, 周公繼之, 然後大行.  今言王若易然, 則文王不足法與?」
      (왈 : 「약시, 즉제자지혹자심. 차이문왕지덕, 백년이후붕, 유미흡어천하 ;  

       무왕, 주공계지, 연후대행.  금언왕약역연, 즉문왕부족법여 ?」


       [yuē : 「ruòshì,  zé d ìzǐ zhī huò zī shèn.  qiě yǐ wén wáng zhī dé, bǎinián ér hòu bēng, 

       yóu wèi qià yú tiānxià ; Wǔwáng,  Zhōugōng jì zhī,   ránhòu dàxíng.  jīn yán wáng ruò yì rán,     

       zé Wénwáng bùzú fǎ yǔ ?」
        

     【'공손추가 묻기를 : "이러하면 선생님의 말씀에 저는 더욱 의혹을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문왕'이 덕을 베풀며 백년 뒤에 세상을 떠나셨는데도,  교화가 천하에 두루 미치지 못하고 ;
       '무왕'과 '주공'으로 계승하신 뒤에야 그 교화가 크게 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지금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을 쉬운 것처럼 말씀하시니,    

       그렇다면 문왕은 본받을 만한 가치가 없는 분입니까 ?"라고 하자 . 

             

       曰:「文王何可當也? 由湯至於武丁, 賢聖之君六七作.  天下歸殷久矣, 久則難變也. 

         武丁朝諸侯有天下, 猶運之掌也.  紂之去武丁未久也, 其故家遺俗, 流風善政, 猶有存者;

      尺地莫非其有也, 一民莫非其臣也, 然而文王猶方百里起, 是以難也. 

      (왈 : 「문왕하가당야 ? 유탕지어무정, 현성지군육칠작.  천하귀은구의, 구즉난변야.

       ​무정조제후유천하, 유운지장야. 주지거무정미구야, 기고가유속, 류풍선정, 유유존자 ;

       ​우유미자,미중,왕자비간,기자,교격개현인야, 상여보상지, 고구이후실지야.


       [yuē : 「Wénwáng hé kě dāng yě ?  yóu Tāng zhì yú Wǔdīng, xián shèng zhī jūn liùqī zuò.  

       tiānxià guī Yīn jiǔ yǐ,  jiǔ zé nán biàn yě.  Wǔdīng cháo zhūhóu yǒu  tiānxià,  yóu yùn zhī zhǎng yě.  

       ​Zhòu zhī qù Wǔdīng wèi jiǔ yě,  qí gù jiā yísú,  liú fēng shàn zhèng,  yóu yǒu cún zhě ;

​       yòu yǒu Wēizǐ, Wēizhòng, wángzǐ Bǐgān, Jīzǐ, Jiāogé jiē xiánrén yě, xiāng yǔ fǔ xiāng zhī, 

       gù jiǔ ér hòu shī zhī yě.          
         

     【'맹자'가 대답하기를 : "'문왕'이 어떻게 은나라를 당할 수 있었겠느냐 ? 은나라는 '탕'임금에서부터

       '무정'(고종)에 이르기까지  6 ~7 명의 어질고 성스러운 임금이 나셔서 천하의 민심이 은나라로 돌아간 지가

       오래되었으니, 오래되면 변하기가 어렵다. '무정'이 제후들에게 조회받고 천하를 갖고,

       마치 손바닥 위에다 천하를 놓고 움직이듯 善政을 베풀었는데, 은나라를 망하게 한 '주왕'과 성군 '무정'이

       시기적으로 그리 오래되지 아니하였고  그 옛 집안에서 물려준 좋은 풍속과 기풍과 善政이 아직도 남아 있었다 ;

       또 '미자'와 '미중', 왕자 '비간', '기자', '교격'이 다 어진 신하였다.  

       이들이 서로 더불어 보좌하였으므로 오래 시간이 지난 뒤에야 '주'왕이 나라를 잃은 것이다. 

 

      尺地莫非其有也, 一民莫非其臣也, 然而文王猶方百里起, 是以難也. 

      齊人有言曰:『雖有智慧, 不如乘勢;雖有鎡基, 不如待時.』 今時則易然也. 

      夏后, 殷, 周之盛, 地未有過千里者也, 而齊有其地矣;雞鳴狗吠相聞, 而達乎四境,

      而齊有其民矣.  地不改辟矣, 民不改聚矣, 行仁政而王, 莫之能禦也.  
      (척지막비기유야, 일민막비기신야, 연이문왕유방백리기, 시이난야.

       제인유언왈 : 『수유지혜, 불여승세 ; 수유자기, 불여대시.』 금시즉이연야.​

       ​하후,은,주지성, 지미유과천리자야, 이제유기지의 ;  계명구폐상문, 이달호사경,

       이제유기민의.  지불개피의, 민불개취의, 행인정이왕, 막지능어야.


       [chǐ de mòfēi qí yǒu yě,  yī mín mòfēi qí chén yě, rán'ér Wénwáng yóu fāng bǎilǐ qǐ,  shì yǐ nán yě.

       ​Qí rén yǒu yán yuē : 『suī yǒu zhìhuì,  bùrú chéngshì ; suī yǒu zī jī,  bùrú dài shí.』  jīn shí zé yì rán yě.

​       Xiàhòu, Yīn, Zhōu zhī shèng,  dì wèi yǒuguò qiānlǐ zhě yě, ér Qí yǒu qí de yǐ ; 

       ​ jīmínggǒufèi xiāng wén,  ér dá hū sì jìng, 

       ér Qí yǒu qí mín yǐ.  dì bù gǎi pì yǐ,  mín bù gǎi jù yǐ,  xíng rénzhèng ér wáng,  mò zhī néng yù yě.
         

     【당시의 천하는 한 치의 땅이라도 '주왕'의 것이 아닌 것이 없었으며, 한 사람의 백성도 '주'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었다. 그 가운데서 '문왕'이 사방 100리 작은 나라를 근거로 일어나셨으니, 

       그래서 천하에 교화를 미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제나라 사람들 말에 '비록 지혜가 있다 하더라도 권세를 빌리는 정도만 못하며,    

       비록 좋은 농기구가 있다 하더라도 때를 기다림만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지금의 시대는 천하의 왕이 되기가 그만큼 쉬운 것이다.
       하, 은, 주가 흥성할 때도 땅이 사방 1,000리가 넘지 않았는데, 지금 제나라는 그만한 땅을 가지고 있고 ;
       닭 우는 소리와 개 짖는 소리가 사방 국경까지 들릴 정도로 제나라는 백성이 많아졌다.
       땅을 더 넓히지 아니하며, 백성을 더 모아들이지 않더라도 어진 정치를 행하여 천하의 왕이 되려 한다면

       능히 막을 이가 없을 것이다. 
      
       且王者之不作, 未有疏於此時者也;民之憔悴於虐政, 未有甚於此時者也. 

      ​ 飢者易為食, 渴者易為飲.  孔子曰:『德之流行, 速於置郵而傳命.』

      當今之時, 萬乘之國行仁政, 民之悅之, 猶解倒懸也. 故事半古之人, 功必倍之, 惟此時為然.」
      (차왕자지불작, 미유소어차시자야 ; 민지초췌어학정, 미유심어차시자야. 

       기자역위식, 갈자역위음.  공자왈 : 『덕지류행, 속어치우이전명』

       ​당금지시, 만승지국행인정, 민지열지, 유해도현야.  고사반고지인, 공필배지, 유차시위연.」


       [qiě wángzhě zhī bù zuò,  wèi yǒu shū yú cǐshí zhě yě ; mín zhī qiáocuì yú nuèzhèng, 

       wèi yǒu shèn yú cǐshí zhě yě.   jī zhě yì wèi shí,  kě zhě yì wèi yǐn.

​       Kǒngzǐ yuē : 『dé zhī liú xíng,  sù yú zhìyóu ér chuán mìng』

       dāngjīn zhīshí, wànchéng zhī guó xíng  rénzhèng, mín zhī yuè zhī, yóu jiě dàoxuán yě.  

       gù shi bàn gǔ zhī rén,  gōng bì bèi zhī,  wéi cǐshí wéi rán.」
         

     【또 왕이 나타나지 않은 지가 이때보다 오랜 적이 없었으며, 

       백성들이 학정에 시달려 피로함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었으니, 주린 자에게는 먹게 하기가 쉽고, 

       ​목마른 자에게는 마시게 하기가 쉽듯이 천하의 왕이 되기도 쉬운 것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덕이 퍼져나가는 것이 역말(파발마)로 명을 전달하는 것보다 빠르다 '라고 하셨다. 
       요즘 같은 때에 만승의 나라가 어진 정치를 베풀면 백성들이 기뻐하기를 마치 거꾸로 매달려 있다가

       풀려난 것 같이 여길 것이며,  따라서 일은 옛사람의 반만 하고도 공로는 반드시 옛사람의 두 배가 될 것이니,

       오직 지금이 그러하다. "라고 하였다.】
     

      

2.  公孫丑問曰:「夫子加齊之卿相, 得行道焉, 雖由此霸王不異矣.  如此, 則動心否乎?」

​     孟子曰:「否.  我四十不動心.」   曰:「若是, 則夫子過孟賁遠矣.」

     曰:「是不難, 告子先我不動心.」 曰:「不動心有道乎?」
     (공손추문왈 : 「부자가제지경상, 득행도언, 수유차패왕불이의.  여차, 즉동심부호 ?」

      ​맹자왈 : 「부.  아사십부동심.」 왈 : 「약시, 즉부자과맹분원이.」

      ​왈 : 「시불난, 고자선아부동심.」 왈 : 「부동심유도호 ?」

 

      ​[Gōngsūnchǒu wèn yuē : 「fūzǐ jiā Qí zhī qīngxiāng,  dé xíngdào yān,   

      suī yóu cǐ bàwáng bù yì yǐ.  rúcǐ,  zé dòngxīn fǒu hū ?」

      ​Mèngzǐ yuē : 「fǒu.  wǒ sìshí bù dòngxīn.」 yuē : 「ruòshì,  zé fūzǐ guò Mèngbēn yuǎn yǐ.」

      ​yuē : 「shì bùnán,  Gàozǐ xiān wǒ bù dòngxīn.」 yuē  : 「 bú dòngxīn yǒu dào hū ? 」
        

     【'공손추'가 묻기를 : "선생님께서 제나라의 경상에 오르셔서 선생님의 道를 펼치실 수 있게 된다면 

      비록 이로 말미암아 제나라 임금이 패업이나 왕업을 이루더라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마음이 동요하지 않으시겠습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동요되지 않을 것이다. 내 40세가 되면서 마음이 동요하지 않게 되었다 "라고 하였다. 
      '공손추'가 말하기를 : "만일 그렇다면 선생님께서는 용맹으로 유명한 '맹분'보다 훨씬 더 뛰어나십니다."하자.

      '맹자'가 말하기를 : "이것은 어렵지 않다. '고자'도 나보다 앞서 마음이 동요하지 않았다. 
      '공손추'가 묻기를 : " 마음이 동요치 않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라고 하자.  

 

     曰:「有.  北宮黝之養勇也, 不膚撓, 不目逃, 思以一豪挫於人, 若撻之於市朝.   

     不受於褐寬博, 亦不受於萬乘之君.  視刺萬乘之君, 若刺褐夫.  無嚴諸侯.  惡聲至, 必反之.  
     (왈 : 「유.  북궁유지양용야, 불부요, 불목도, 사이일호좌어인, 약달지어시조.  

      불수어갈관박, 역불수어만승지군.  시자만승지군, 약자갈부.  무엄제후.  악성지, 필반지.


      [yuē : 「yǒu.  Běigōngyǒu zhī yǎng yǒng yě,  bù fū náo,  bù mù táo, sī yǐ yì háo cuò yú rén, 

      ruò tà zhī yú shì cháo.  bù shòu yú hè kuān bó,  yì bù shòu yú wànchéng zhī jūn.

​      shì cì wànchéng zhī jūn,  ruò cì hè fū.  wú yán zhūhóu.  ě shēng zhì,  bì fǎn zhī.
        

     【'맹자'가 대답하기를 : " 있다. '북 궁유'는 용맹을 배양할 때 살이 칼에 찔려도 살이 떨지 아니하였고,

      눈을 찔려도 깜빡하지 아니하였고,  남에게 털끝만큼이라도 모욕을 당했다고 생각이 들면 장터거리에서

      종아리를 맞은 것처럼 여겼다.  천한 사람이나 부유한 사람이나 박식한 사람이나 만승의 임금에게서나

      모욕당하는 것을 참지 못하였다.  만승의 임금을 찌르는 것을 천한 사람 죽이는 것같이 하였다. 

      그에게는 두려운 제후가 없었다. 그리고 험담하는 소리가 들리면 반드시 보복하였다. 

             

     孟施舍之所養勇也, 曰:『視不勝猶勝也.  量敵而後進, 慮勝而後會, 是畏三軍者也.   

     舍豈能為必勝哉 ?  能無懼而已矣.』  孟施舍似曾子, 北宮黝似子夏. 

     夫二子之勇, 未知其孰賢, 然而孟施舍守約也.
     (맹시사지소양용야, 왈 : 『시불승유승야.  량적이후진, 려승이후회, 시외삼군자야.   

      사기능위필승재 ? 능무구이이의.』 맹시사사증자, 북궁유사자하. 

      부이자지용, 미지기숙현, 연이맹시사수약야.

 

      ​[Mèngshīshě zhī suǒ yǎng yǒng yě,  yuē : 『shì bú shèng yóu shèng yě. liàng dí ér hòu jìn, 

      lǜ shèng ér hòu huì, shì wèi sānjūn zhě yě.  shě qǐnéng wéi bì shèng zāi ?  néng wú jù éryǐ yǐ.』

      ​Mèngshīshě sì Céngzǐ,  Běigōngyǒu sì Zǐxià.  fū èr zǐ zhī yǒng,  wèizhī qí shú xián, 

      ​rán'ér Mèngshīshě shǒuyuē yě.
         

     【'맹시사'가 용맹함을 기르면서 말하기를 : '나는 이기지 못할 것을 보고도 이길 것같이 여긴다.
      적을 헤아린 뒤에야 나아가며, 이길 승산이 있다고 생각될 때에만 맞서 싸운다면, 이는 적의 대군을

      두려워하는 자인 것이다.  내가 어찌 꼭 이길 수만 있겠는가 ? 다만 두려워하지 않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맹시사'는 기상은 마치 '증자'를 닮았고, '북궁유'의 기상은 '자하'를 닮았다. 두 사람의 용맹 중에

      누가 더 두터운지는 알 수 없으나, '맹시사'는 스스로 지키는 쪽에 요점을 터득한 것으로 보인다.
       
     昔者曾子謂子襄曰:『子好勇乎? 吾嘗聞大勇於夫子矣: 
自反而不縮, 雖褐寬博, 吾不惴焉;

     自反而縮, 雖千萬人, 吾往矣.』 孟施舍之守氣, 又不如曾子之守約也.」
     (석자증자위자양왈 : 『자호용호 ? 오상문대용어부자의 : 자반이불축, 수갈관박, 오불췌언 ;

      자반이축, 수천만인, 오왕의.』 맹시사지수기, 우불여증자지수약야.」


      [xī zhě Céngzǐ wèi Zǐxiāng yuē : 『zǐ hǎo yǒng hū ?  wú cháng wén dà yǒng yú fūzǐ yǐ : 
      zì fǎnér bù suō,  suī hè kuān bó,  wú bù zhuì yān ; zì fǎnér suō,  suī qiānwàn rén,  wú wǎng yǐ.』

      ​Mèngshīshě zhī shǒu qì,  yòu bùrú Jéngzǐ zhī shǒu yuē yě.」
         

     【예전에 '증자'께서 '자양'에게 말하기를 : '자네는 용맹을 좋아하는가 ?  나는 일찍이 선생님에게서

      큰 용맹에 관하여 들었는데 : 스스로 돌이켜 생각하여 곧바르지 못하면 비록 상대가 천한 사람이라도  

      내가 그를 두렵게 할 수 없지만 ;  스스로 돌이켜 생각해서 곧바르다면, 비록 엄청난 사람이 앞에 있더라도

      나는 겁내지 않고 가서 대적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맹시사'가 지키는 것은 자기자신의 기세일 뿐이니, 

      ​도리로써 지켜가는 요점을 깨달은 '증자'만은 못하다. "라고 하였다. 

      ​曰:「敢問夫子之不動心, 與告子之不動心, 可得聞與?」

     ​「告子曰:『不得於言, 勿求於心;不得於心, 勿求於氣.』 

      不得於心, 勿求於氣, 可;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可. 

      夫志, 氣之帥也;氣, 體之充也.  夫志至焉, 氣次焉.  故曰:『持其志, 無暴其氣.』」

      既曰 『志至焉, 氣次焉』   又曰 『持其志無暴其氣』者, 何也?」 
      (왈 : 「감문부자지부동심, 여고자지부동심, 가득문여 ?」

  ​     고자왈 : 『불득어언, 물구어심 ; 불득어심, 물구어기.』 

       불득어심, 물구어기, 가 ; 불득어언, 물구어심, 불가.

       ​부지, 기지사야 ; 기, 체지충야.  부지지언, 기차언.  고왈 : 『지기지, 무폭기기.』」

       기왈 『지지언, 기차언』   우왈 『지기지무폭기기』자, 하야 ?」

 

       [yuē : 「gǎn wèn fūzǐ zhī bù dòngxīn,  yǔ Gàozǐ zhī bù dòngxīn,  kě dé wèn yǔ ?」

      「​Gàozǐ yuē : 『bùdé yú yán,  wù qiú yú xīn;  bùdé yú xīn,   wù qiú yú qì.』  

       bùdé yú xīn,  wù qiú yú qì,  kě ; bùdé yú yán,  wù qiú yú xīn,  bùkě.  fū zhì,  qì zhī shuài yě ;  

       ​qì,  tǐ zhī chōng yě.  fū zhì zhì yān,  qì cì yān. gù yuē : 『chí qí zhì,  wú bào qí qì.』」

       jì yuē 『zhì zhì yān,  qì cì yān』   yòu yuē 『chí qí zhì wú bào qí qì』 zhě,  hé yě ?」]
         

     【'공손추'가 묻기를 : " 감히 여쭙건대 선생님의 부동심과 '고자'의 부동심에 대하여 들려주시겠습니까?"
       '고자'가 말하기를 : '남이 하는 말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마음에서 구하지 말며, 

       마음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기운에서 도움을 구하지 말라 '하였으며, 
       마음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기운에서 구하지 말라는 말은 괜찮지만 ;  

       남이 하는 말에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을 마음에서 찾으려 하지 말라는 말은 옳지 않다. 
       무릇 마음은 기운의 본보기요, 기운은 몸에 충만된 것이다. 마음이 확립되면 기운이 다음에 따라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의 마음을 올바로 지켜서, 자기의 기운을 함부로 하지 말라'라고 하는 것이다."하였는데
      이미 말씀하신 바와 같이 '마음이 확립되면 기운이 다음에 따라오는 것이다. '라고 하셨으면서,  

       다시 ‘그 마음을 단단히 잡고 가되, 그 기운을 함부로 하지 말라고 하신 것은 어째서입니까 ?라고 하자. 

             

      曰:「志壹則動氣, 氣壹則動志也.  今夫蹶者趨者, 是氣也, 而反動其心.」  
      (왈 : 「지일즉동기, 기일즉동지야.  금부궐자추자, 시기야, 이반동기심.」


       [yuē : 「zhì yī zé dòng qì,  qì yī zé dòng zhì yě. jīn fū jué zhě qū zhě,  shì qì yě,  ér fǎn dòng qí xīn.」
         

      【'맹자'가 말하기를 : "마음을 오로지 하나에만 쓰면 기운이 움직이고, 기운을 오로지 하나에만 쓰면

       곧 마음이 움직이게 된다. 지금 걸려 넘어지기도 하고 달음질 하는 것이 기운이기는 하나, 

       ​그것이 도리어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라고 하였다.】
    
     「敢問夫子惡乎長?」  曰:「我知言, 我善養吾浩然之氣.」 敢問何謂浩然之氣?」

      ​(「감문부자악호장 ?」 왈 : 「아지언, 아선양오호연지기.」 (「감문하위호연지기 ? 」 


       [「gǎn wèn fūzǐ ě hū cháng ?」 yuē : 「wǒ zhī yán,  wǒ shàn yǎng wú hàoránzhīqì.」

      「gǎn wèn hé wèi hàoránzhīqì ? 」
         

     【"감히 묻자옵건대, 선생님께서는 어떤 점이 장점이십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나는 말을 알며, 나의 호연한 기(浩然之氣)를 잘 기르노라. "라고 하였다. 
       "감히 묻자옵건대, 무엇을 호연한 기(浩然之氣)라고 합니까 ?"라고 하자. 

 

     曰:「難言也.  其為氣也, 至大至剛, 以直養而無害, 則塞于天地之閒其. 

     ​為氣也, 配義與道;無是, 餒也.  是集義所生者, 非義襲而取之也.  行有不慊於心, 則餒矣.   

     我故曰, 告子未嘗知義, 以其外之也.  必有事焉而勿正, 心勿忘, 勿助長也.

      (왈 : 「난언야.  기위기야, 지대지강, 이직양이무해, 즉새우천지지한기.

      ​위기야, 배의여도 ; 무시, 뇌야.  시집의소생자, 비의습이취지야.  행유불겸어심, 즉뇌의. 

      아고왈, 고자미상지의, 이기외지야.  필유사언이물정, 심물망, 물조장야. 

  

      [yuē : 「nán yán yě.   qí wéi qì yě,  zhì dà zhì gāng,  yǐ zhí yǎng ér wúhài, zé sāi yú tiāndì zhī xián qí. 

       wéi qì yě,  pèi yì yǔ dào ;  wú shì,  něi yě.  shì jí yì suǒ shēng zhě,  fēi yì xí ér qǔ zhī yě.  

       xíng yǒu bù qiàn yú xīn,  zé něi yǐ.  wǒ gù yuē,  Gàozǐ wèi cháng zhī yì,  yǐ qí wài zhī yě.  

       ​bì yǒu shì yān ér wù zhèng,  xīn wù wàng,  wù zhù zhǎng yě.     

      

      【맹자가 대답하기를 : " 말로 하기가 어렵다. 이 호연지기는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하여,     

       곧은 道義로 잘 기르고 해치는 것이 없으면, 곧 천지 사이에 가득 차게 된다.   

       이 호연지기는 언제나 義와 道에 합하여 함께 하니, 이것이 없으면 허탈이 오게 된다.
       이 호연지기는 義(善行)에 따른 행동을 거듭하는 데 따라서 내 안에서 생겨나는 것이지,   

       의로운 행위 하나 했다고 갑자기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행동이 마음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면 마음에 허탈이 오게 된다. 

       ​내가 그래서 '고자'는 의를 알지 못한다' 라고 말 한 것이니, 그는 義가 마음 밖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호연지기를 기르는 사람은 반드시 의를 쌓는 것을 행하되 그 효과를 미리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지

       말 것이며, 혹 가득 차지 않게 될 경우에는 다만 마땅히 자기가 할 일이 있음을 잊지 말도록 할 일이지,

       일을 억지로 꾸며서 그것이 자라나도록 도와서는 안된다. 

 

     無若宋人然:宋人有閔其苗之不長而揠之者.  芒芒然歸. 

     謂其人曰:『今日病矣, 予助苗長矣.』 其子趨而往視之, 苗則槁矣. 天下之不助苗長者寡矣. 

      以為無益而舍之者, 不耘苗者也;助之長者, 揠苗者也.  非徒無益, 而又害之.」

      (무약송인연 : 송인유민기묘지불장이알지자. 망망연귀. 

      위기인왈 : 『금일병의, 여조묘장의.』 기자추이왕시지, 묘즉고의.  천하지불조묘장자과의.  

      ​이위무익이사지자, 불운묘자야 ; 조지장자, 알묘자야.  비주무익, 이우해지.」


        [wú ruò Sòng rén rán : Sòng rén yǒu mǐn qí miáo zhī bù cháng ér yà zhī zhě.  

      ​máng máng rán guī.  wèi qí rén yuē : 『jīnrì bìng yǐ,  yǔ zhù miáo cháng yǐ.』 

      ​qí zǐ qū ér wǎng shì zhī,  miáo zé gǎo yǐ.  tiānxià zhī bù zhù miáo cháng zhě guǎ yǐ.

      ​yǐ wéi wúyì ér shě zhī zhě,  bù yún miáo zhě yě ; zhù zhī cháng zhě,  yà miáo zhě yě. 

      fēitú wúyì,  ér yòu hài zhī.」
        

     【어리석은 宋나라 사람처럼 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宋나라 사람이 자기가 심은 벼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싹을 뽑아 올린 이가 있었다(揠苗助长).  그리고는 지쳐 돌아와 그 집안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

      '오늘은 피곤하다. 내가 벼 싹이 자라는 것을 도와 주었다' 하기에,  그 아들이 달음질하여 가보니

      벼 싹이 모두 말라 있었다.  호연지기 같은 것은 무익하다고 여겨 내버려두고 기르지 않는 자는,  

      이를테면 벼 싹을 김매지 않는 자이다 ; 
      또 호연지기가 귀한 줄은 알면서도 이를 억지로 자라게 하는 자는, 벼 싹을 뽑아 올리는 자이다. 
      이런 일은 한갓 유익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그 근본을 해치게 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何謂知言?」 

      ​(「하위지언 ?」
       [「hé wèi zhī yán ?」


      【"말을 안다 함은 무슨 말씀입니까?" 라고 하자. 

 

      曰:「詖辭知其所蔽, 淫辭知其所陷, 邪辭知其所離, 遁辭知其所窮.   

      生於其心, 害於其政;發於其政, 害於其事.  聖人復起, 必從吾言矣.」
      (왈 : 「피사지기소폐, 음사지기소함, 사사지기소리, 둔사지기소궁.   

       생어기심, 해어기 정 ; 발어기정, 해어기사.  성인복기, 필종오언의.」


       [yuē : 「bì cí zhī qí suǒ bì,  yín cí zhī qí suǒ xiàn, xié cí zhī qí suǒ lí,  dùn cí zhī qí suǒ qióng. 
       shēng yú qí xīn,  hài yú qí zhèng ;  fā yú qí zhèng, hài yú qí shì. shèngrén fù qǐ,  bì cóng wú yán yǐ.」
         

     【'맹자'가 대답하기를 : "한편으로 편파적인 말에 그 사람 마음 어딘가에 결점이 있음을 알며, 

       음란한 말에 그 사람 마음이 어딘가에 빠져 있음을 알며, 

       ​간사한 말에 그 사람 마음이 도리에서 벗어나 있음을 알며,   

       꾸며대는 말에 그 사람이 어딘가 궁지에 빠진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네 가지 생각이 사람의 마음 속에 생겨나면 반드시 그 정치를 해치게 되며,   

       그 정치에 그 생각이 나타나게 되면 그 일을 해하게 되는 것이니,  
       성인이 다시 나타난다 하더라도 내 말을 인정하실 것이다. "라고 하였다. 

             

      曰:「惡!是何言也? 昔者子貢、問於孔子曰:『夫子聖矣乎?』  

      孔子曰:『聖則吾不能, 我學不厭而教不倦也』

      子貢曰:『學不厭, 智也;教不倦, 仁也. 仁且智, 夫子既聖矣!』

      夫聖, 孔子不居, 是何言也?」
      (왈 : 「오 ! 시하언야 ? 석자자공,  문어공자왈 : 『부자성의호 ?』 

       공자왈 : 『성즉오불능, 아학불염이교불권야』

       ​자공왈 : 『학불염, 지야 ; 교불권, 인야.  인차지, 부자기성의 !』 부성, 공자불거, 시하언야 ?」


       [yuē :「wū ! shì hé yán yě ?  xī zhě Zǐgòng,  wèn yú Kǒngzǐ yuē :『fūzǐ shèng yǐ hū ?』 

       Kǒngzǐ yuē : 『shèng zé wú bùnéng,  wǒ xué bù yàn ér jiāo bú juàn yě』

       ​Zǐgòng yuē : 『xué bù yàn,  zhì yě ;  jiāo bú juàn,  rén yě.  

       rén qiě zhì,  fūzǐ jì shèng yǐ !』  fū shèng,  Kǒngzǐ bù jū,  shì hé yán yě ?」
         

     【'맹자'가 말하기를 : "아 ! 이 무슨 말이냐.  옛날에 '자공'이 '공자'께 '선생님께서는 성인이십니까?' 라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성인이라고는 내가 자처할 수 없지만, 나는 배우기를 싫어하지 아니하며,

       가르치기에 게을리 하지 않았노라'라고 하였다.
       '자공'이 말하기를 : '배우기에 싫어하지 않는 것은 지혜이고, 가르치기에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은 仁이니,
       仁하고 또 지혜로우시니 선생님께서는 이미 성인이십니다' 하였다.   

       이렇게 공자께서도 자신을 성인으로 자처하지 않으셨는데, 이 무슨 말인가 ?"라고 하였다. 

 

     「昔者竊聞之:子夏,子游,子張皆有聖人之一體, 冉牛,閔子,顏淵則具體而微.  敢問所安.」

      ​曰:「姑舍是.」  曰:「伯夷,伊尹何如?」
      (「석자절문지 : 자하,자유,자장개유성인지일체, 염우,민자건,안연즉구체이미.  감문소안.」

       ​왈 : 「고사시.」 왈 : 「백이,이윤하여 ?」 


       [「xī zhě qiè wén zhī :  Zǐxià, Zǐyóu, Zǐzhāng jiē yǒu shèngrén zhì yìtǐ, Rǎnniú, Mǐnzǐjiàn,

       Yányuān zé jùtǐ ér wēi.  gǎn wèn suǒ ān.」 yuē : 「gū shè shì.」 yuē : 「Bóyí, Yīyǐn hé rú ?」
        

     【'공손추'가 묻기를 : " 예전에 제가 몰래 들으니, '자하', '자유', '자장'은 모두 성인의 덕을 일부분 갖추고

       있었고, '염백우', '민자건', '안연'은 성인의 전체를 갖추고는 있으나 다소 미약하다' 하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이들과 비교하여 어디쯤에 위치하고 계시는지 감히 여쭙겠습니다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이제 그 이야기는 그만 두자 "라고 하였다. 
       '공손추'가 묻기를 : "'백이'와 '이윤'은 어떻습니까 ?"라고 하자. 

             

     曰:「不同道.  非其君不事, 非其民不使;治則進, 亂則退, 伯夷也. 何事非君, 何使非民;

     治亦進, 亂亦進, 伊尹也.  可以仕則仕, 可以止則止, 可以久則久, 可以速則速, 孔子也. 

      ​皆古聖人也, 吾未能有行焉;乃所願, 則學孔子也.」
     (왈 : 「불동도.  비기군불사, 비기민불사 ; 치즉진, 란즉퇴, 백이야.  하사비군, 하사비민 ;

      치역진, 란역진, 이윤야.  가이사즉사, 가이지즉지, 가이구즉구, 가이속즉속, 공자야. 

      개고성인야, 오미능유행언 ; 내소원, 즉학공자야.」 

 
      [yuē : 「bùtóng dào.  fēi qí jūn bú shì,  fēi qí mín bú shì ; zhì zé jìn,  luàn zé tuì,  Bóyí yě.  
      hé shì fēi jūn,  hé shì fēi mín ;  zhì yì jìn,  luàn yì jìn,  Yīyǐn yě.

      ​kěyǐ shì zé shì,  kěyǐ zhǐ zé zhǐ,  kěyǐ jiǔ zé jiǔ,  kěyǐ sù zé sù,  Kǒngzǐ yě.  

      ​jiē gǔ shèngrén yě,  wú wèi néng yǒu xíng yān ;  nǎi suǒ yuàn,  zé xué Kǒngzǐ yě.」
         

     【'맹자'가 대답하기를 : " 두 분은 道가 같지 아니하였다. 자기가 섬길 만한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아니하며, 
       자기가 부릴 만한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아니하며, 세상이 다스려지면 나아가고 어지러우면 물러나

       숨는 이가 '백이'이다. 누구를 섬긴들 임금이 아니며, 누구를 부린들 부리면 백성이 아니냐고 하면서,    

       다스려져도 또한 나아가고, 어지러워도 또한 나아가는 이가 '이윤'이다. 
       벼슬을 할 만하면 벼슬을 하고, 그만둬야 할 때는 그만두며,    

       오래 머물러야 할 때는 오래 머물고 빨리 떠나야 할 때는 빨리 떠나신 분은 '공자'셨으니, 
       이들은 모두 옛 성인들이시다. 나는 이 세 분처럼 행하지 못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은 '공자'를 배우는 것이다.”

       오랫동안 머물러야 할 때는 오래 머물고,  빨리 해야 할 때는 빨리 하는 이가 '공자'이시다. 

       이들은 모두 예전의 聖人이다, 나는 아직까지 이 세 분처럼 행하지는 못하지만,  

       내가 바라는 바는 '공자'를 본받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伯夷,伊尹於孔子, 若是班乎?」曰:「否.  自有生民以來, 未有孔子也.」  

       ​(「백이,이윤어공자, 약시반호 ?」 왈 : 「부.  자유생민이래, 미유공자야.」


       [「Bóyí, Yīyǐn yú Kǒngzǐ,  ruò shì bān hū ?」 yuē : 「fǒu.  zì yǒu shēng mín yǐlái,  wèi yǒu Kǒngzǐ yě.」
         

     【'백이'와 '이윤'이 '공자'와 비교될 만큼 비슷합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아니다.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공자' 만한 분이 없었다. "라고 하였다. 

             

      曰:「然則有同與?」 曰:「有.  得百里之地而君之, 皆能以朝諸侯有天下. 

      行一不義、殺一不辜而得天下, 皆不為也.  是則同.」  
      (왈 : 「연즉유동여 ?」  왈 : 「유.  득백리지지이군지, 개능이조제후유천하. 

       ​행일불의, 살일불고이득천하, 개불위야.  시즉동.」


       [yuē : 「ránzé yǒu tóng yǔ ?」 

       yuē : 「yǒu.  dé bǎilǐ zhī dì ér jūn zhī,  jiē néng yǐ cháo zhūhóu yǒu tiānxià. 

       xíng yí bùyì,  shā yí bù gū ér dé tiānxià,  jiē bú wéi yě.  shì zé tóng.」 
         

     【'공손추'가 묻기를 : " 그러면 이 세 분들 사이에 공통점이 있습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 있다.  100리의 땅을 얻어서 임금 노릇을 한다면 모두 제후를 조회케 하여

       천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라도 의롭지 못한 일을 행하거나, 한 사람이라도 허물없는 사람을

       죽이면서  천하를 얻는 일은 다들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점이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曰:「敢問其所以異?」 曰:「宰我,子貢,有若智足以知聖人.  汙, 不至阿其所好.  

     宰我曰:『以予觀於夫子, 賢於堯舜遠矣.』

     子貢曰:『見其禮而知其政, 聞其樂而知其德.  由百世之後, 等百世之王, 莫之能違也.

     自生民以來, 未有夫子也.』

     有若曰:『豈惟民哉 ? 麒麟之於走獸, 鳳凰之於飛鳥, 太山之於丘垤, 河海之於行潦, 類也. 

     聖人之於民, 亦類也.  出於其類, 拔乎其萃, 自生民以來, 未有盛於孔子也.』」   
     (왈 : 「감문기소이이 ?」 왈 : 「재아, 자공, 유약지족이지성인. 오, 불지아기소호.

      ​재아왈 : 『이여관어부자, 현어요순원이.』

      ​자공왈 : 『견기례이지기정, 문기락이지기덕.  유백세지후, 등백세지왕, 막지능위야. 자생민이래, 미유부자야.』

​      유약왈 : 『기유민재 ? 기린지어주수, 봉황지어비조, 태산지어구질,  하해지어행료, 류야. 

      성인지어민, 역류야.출어기류, 발호기췌, 자생민이래, 미유성어공자야.』」 


      [yuē : 「gǎn wèn qí suǒyǐ yì ?」

      yuē : 「Zǎiwǒ, Zǐgòng, Yǒuruò zhì zúyǐ zhī shèngrén.  wū,  bù zhì ē qí suǒ hǎo.

      ​Zǎiwǒ yuē : 『yǐ yǔ guān yú fūzǐ,  xián yú YáoShùn yuǎn yǐ.』

      ​Zǐgòng yuē : 『jiàn qí lǐ ér zhī qí zhèng,  wén qí lè ér zhī qí dé. 

      ​yóu bǎishì zhī hòu,  děng bǎishì zhī wáng,  mò zhī néng wéi yě.  zì shēng mín yǐlái,  wèi yǒu fūzǐ yě.』

      ​Yǒuruò yuē : 『qǐ wéi mín zāi ?  qílín zhī yú zǒushòu,  fènghuáng zhī yú fēiniǎo, 

      tàishān zhī yú qiū dié, hé hǎi zhī yú xíng liǎo,  lèi yě.  shèngrén zhī yú mín,  yì lèi yě. 

      chū yú qí lèi,  bá hū qí cuì,   zì shēng mín yǐlái,  wèi yǒu shèng yú kǒngzǐ yě.』」  
        

    【'공손추'가 묻기를 : "감히 여쭙겠습니다  그 분들의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재아'와 '자공'과 '유약'은  聖人을 충분히 알아 볼 만한 지혜가 있는 사람들이다. 

      ​가령 이들의 지혜가 낮았다 하더라도, 그들은 자기들이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아부할 정도의 사람들은 아니다. 
      '재아'가 말하기를 '내가 선생님(공자)을 보건대 '요''순'임금보다 훌륭하신 분이다'라고 하였고, 

      '자공'이 말하기를 '그 나라의 禮를 보면 그 왕의 정치를 알 수 있으며,   

      그 임금이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 그 임금의 덕을 알 수 있다.
      이같이 백세 뒤에 가서 역대 제왕을 평가해 본다면 조금도 틀리지 않을 것이니,  

      아무리 보아도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공자'만한 이가 없다'라고 하였고, 
      '유약'은 말하기를 '어찌 사람만 그렇겠는가 ?  기린이 길 짐승 중에 빼어남과 같이,   

      봉황이 날 짐승 중에 빼어남과 같이, 태산이 언덕이나 개미굴 보다 빼어남과 같이,   

      황하가 물웅덩이나 도랑에 비하여 빼어남과 같은 종류이다. 
      聖人도 일반 사람들과 같은 무리이지만, 그 무리에서 나와 특출하게 빼어난 사람이다.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공자'보다 더 훌륭한 분은 없었다 '라고 하였다."】
  

      

3.  孟子曰「以力假仁者霸, 霸必有大國, 以德行仁者王, 王不待大.  湯以七十里, 文王以百里.

     以力服人者, 非心服也, 力不贍也;以德服人者, 中心悅而誠服也, 如七十子之服孔子也.

    《詩》云:『自西自東, 自南自北, 無思不服.』 此之謂也.」

     (맹자왈 : 「이력가인자패, 패필유대국, 이덕행인자왕, 왕불대대.  탕이칠십리, 문왕이백리.

      ​이력복인자, 비심복야, 역불섬야 ; 이덕복인자, 중심열이성복야, 여칠십자지복공자야.

     《시》운 : 『자서자동, 지남자북, 무사불복.』 차지위야.」


      [Mèngzǐ yuē :「yǐ lì jiǎ rén zhě bà,  bà bì yǒu Dàguó,  yǐ dé xíng rén zhě wáng,  wáng bù dài dà.

      Tāng yǐ qīshílǐ,  Wénwáng yǐ bǎilǐ.  yǐ lì fú rén zhě,  fēi xīnfú yě,  lì bú shàn yě ; 

      yǐ dé fú rén zhě,  zhōngxīn yuè ér chéng fú yě,  rú qīshí zǐ zhī fú kǒngzǐ yě. 

     《shī》yún : 『zì xī zì dōng,  zì nán zì běi,  wú sī bùfú.』 cǐ zhī wèi yě.」 
         

    【'맹자'가 말하기를 : " 힘으로 仁을 가장하는 것이 覇道인데, 패도를 이루려면 반드시 큰 나라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德으로 仁을 행하는 것이 王道인데, 왕도를 펴는 데에는 나라가 클 필요가 없다. 
      '탕' 임금은 70리 땅을 가지고도 왕도를 펴셨고 '文王'은 100리 땅을 가지고도 왕도를 펴셨다
      힘으로 남을 복종시킬 경우에는 진심으로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힘이 부족해서 복종하게 된다 ;
      덕으로 남을 복종시킬 경우에는 마음 속으로부터 기뻐하면서 진심으로 복종하니,  

      마치 70 명의 제자들이 '공자'에게 복종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 '서쪽과 동쪽에서, 남쪽과 북쪽에서 모여 들어, 

      ​'武王'을 공경하며 복종하지 않는 사람이 없도다 '라고 하였는데,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이다"라고 하였다.】 ​

      

4.  孟子曰:「仁則榮, 不仁則辱.  今惡辱而居不仁, 是猶惡溼而居下也.  如惡之, 莫如貴德而尊士,

     賢者在位, 能者在職.   國家閒暇, 及是時明其政刑.  雖大國, 必畏之矣.

    《詩》云:『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此下民, 或敢侮予?』 
     (맹자왈 : 「인즉영, 불인즉욕.  진오욕이거불인, 시유악습이거하야.  여오지, 막여귀덕이존사,

      현자재위, 능자재직.  국가한가, 급시시명기정형.  수대국, 필외지의.

     《시》운 : 『태천지미음우, 철피상토, 주무유호. 금차하민, 혹감모여? 』


      [Mèngzǐ yuē : 「rén zé róng,  bù rén zé rǔ.  jīn wu rǔ ér jū bù rén,  shì yóu ě shī ér jū xià yě.

      ​rú wu zhī,  mò rú Guì dé ér zūn shì,  xiánzhě zàiwèi,  néng zhě zàizhí. 

      Guójiā xiánxiá,  jí shì shí míng qí zhèng xíng.  suī Dàguó,  bì wèi zhī yǐ. 

     《shī》yún : 『dài tiān zhī wèi yīnyǔ, chè bǐ sāng tǔ, chóumóu yǒu hù. jīn cǐ xià mín, huò gǎn wǔ yǔ ?』
         

     【'맹자'가 말하기를 : "임금이 仁을 행하면 영화를 누리고 不仁을 행하면 치욕을 당하게 된다.

      ​지금의 임금들은 치욕을 싫어하면서 不仁에 머물고 있는 것은, 마치 축축한 것을 싫어하면서 낮은 곳에

      머무는 것과 같다.  만일 치욕을 당하는 것이 싫다면, 덕을 소중히 하고 유능한 선비를 높이 받드는 것보다 

      ​좋은 것이 없다. 어진 자가 벼슬자리에 있으며, 능력 있는 자가 직책을 맡아야 나라가 편안할 것이니,  
      이때에 이르러서 정치와 법령을 밝히어 다스리는 데 힘을 기울이면,   

      비록 큰 나라라 할지라도 반드시 그 나라를 두려워할 것이다.
     《시경》에 이르기를 : '하늘에서 장마비가 오기를 기다리기 전에, 뽕나무 뿌리를 캐어다가,   

      창문에 꽁꽁 묶어 맨다면, 이제 아랫 사람들도, 누가 감히 나를 업신여기겠는가 ? '라고 하였다.  

             

     孔子曰:『為此詩者, 其知道乎!能治其國家, 誰敢侮之?』  今國家閒暇, 及是時般樂怠敖,

     是自求禍也.  禍褔無不自己求之者.  《詩》云:『永言配命, 自求多褔.』

    《太甲》曰:『天作孽, 猶可違;自作孽, 不可活.』 此之謂也.」  
     (공자왈 : 『위차시자, 기지도호 ! 능치기국가, 유감모지 ?』 금국가한가, 급시시반락태오,

      시자구화야.  화복무불자기구지자.  《시》운 : 『영언배명, 자구다복.』 

     《태갑》왈 : 『천작얼, 유가위 ; 자작얼, 불가활.』 차지위야.」


      [Kǒngzǐ yuē :『wèi cǐ shī zhě,  qí zhī dào hū !  néng zhì qí Guójiā,  shuí gǎn wǔ zhī ?』

      ​jīn Guójiā xiánxiá,  jí shì shí bān lè dài áo,  shì zì qiú huò yě.   huò fù wúbù zìjǐ qiú zhī zhě.

     《shī》yún : 『yǒng yán pèi mìng,  zì qiú duō fù.』   

     《tàijiǎ》yuē : 『tiān zuò niè,  yóu kě wéi ;  zì zuò niè,  bùkě huó.』 cǐ zhī wèi yě.」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 시를 지은 자는 그 道를 아는구나. 그런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면,  

      누가 감히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 ?' 라고 하셨다. 지금 나라가 잘 다스려지고 별일이 없게 되면,

      이때에 향락에 빠지거나 나태하고 거만을 부리는데, 이는 스스로 화를 부르는 것이며,

      화와 복은 결국 모두 자기로 인해 생겨나지 않는 것이 없다. 
     《시경》에 이르기를 : '언제까지나 하늘 뜻에 맞도록 하는 것이 스스로 많은 복을 구함이니라 '라고 하였고, 
     《서경》〈태갑〉편에서 이르기를 : '하늘이 내리는 재앙은 오히려 피할 수 있지만,    

      스스로 재앙을 지으면 살지 못하리라 '라고 하였으니, 이를 두고 일컫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 

         
     
 

5.  孟子曰:「尊賢使能, 俊傑在位, 則天下之士皆悅而願立於其朝矣. 市廛而不征, 法而不廛,

     則天下之商皆悅而願藏於其市矣.  關譏而不征, 則天下之旅皆悅而願出於其路矣. 

     耕者助而不稅, 則天下之農皆悅而願耕於其野矣.  
     (맹자왈 : 「존현사능, 준걸재위, 즉천하지사개열이원입어기조의.  시전이불정, 법이불전,

      즉천하지상개열이원장어기시의.  관기이불정, 즉천하지여개열이원출어기로의. 

      경자조이부세, 즉천하지농개열이원경어기야의. 


      [Mèngzǐ yuē : 「zūn xián shǐ néng,  jùnjié zàiwèi, zé tiānxià zhī shì jiē yuè ér yuàn lì yú qí cháo yǐ.  
      shì chán ér bù zhēng,  fǎ ér bù chán, zé tiānxià zhī shāng jiē yuè ér yuàn cáng yú qí shì yǐ.

      ​guān jī ér bù zhēng,   zé tiānxià zhī lǚ jiē yuè ér yuàn chū yú qí lù yǐ.  

      ​gēngzhě zhù ér bù shuì, zé tiānxià zhī nóng jiē yuè ér yuàn gēng yú qí yě yǐ. 
         

     【'맹자'가 말하기를 : "현명한 자를 존중하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며 뛰어난 인재가 벼슬자리에 있게 되면,

      천하의 선비들이 모두 기뻐하며, 그 나라의 조정에 나아가 벼슬하기를 바랄 것이다.

      시장에서 가겟세만 받고 거래세는 받지 않거나, 법으로 다스리기만 하고 가겟세 마저 받지 않으면,
      천하의 장사하는 사람이 다 기뻐하며 그 나라의 시장에 상품을 쌓아놓고 팔기를 바랄 것이다. 
      관문에서는 살피기는 하되 통행세를 거두지 아니하면, 천하의 여행자가 모두 기뻐하며 그 나라를 통행하러

      나서기를 바랄 것이다.  농부에게는 공전의 경작만 돕게 할 뿐 다른 세금을 거두지 아니하면,   

      천하의 농사짓는 자가 모두 기뻐하며 그 나라의 들에서 농사짓기를 바랄 것이다.  

 

     廛無夫里之布, 則天下之民皆悅而願為之氓矣.  信能行此五者, 則鄰國之民仰之若父母矣.

     ​率其子弟, 攻其父母, 自生民以來, 未有能濟者也.  如此, 則無敵於天下. 

     ​無敵於天下者, 天吏也.  然而不王者, 未之有也.」 
     (전무부리지포, 즉천하지민개열이원위지맹의.  신능행차오자, 즉린국지민앙지약부모의.

      ​솔기자제, 공기부모, 자생민이래, 미유능제자야.  여차, 즉무적어천하. 

      ​무적어천하자, 천리야.  연이불왕자, 미지유야.」


      [chán wú fū lǐ zhī bù,  zé tiānxià zhī mín jiē yuè ér yuàn wéizhī máng yǐ.  
      xìn néng xíng cǐ wǔ zhě,  zé línguó zhī mín yǎng zhī ruò fùmǔ yǐ.

      ​shuài qí zǐdì,  gōng qí fùmǔ,  zì shēng mín yǐlái,  wèi yǒu néng jǐ zhě yě. 

      rúcǐ,  zé wú dí yú tiānxià.  wú dí yú tiānxià zhě,  tiān lì yě. rán'ér bù wángzhě,  wèi zhī yǒu yě.」 
         

     【거주하는 주택만 가지고 있고 일정한 일이 없는 사람들에게 물리던 인구세와 가구세를 없애면  

      천하의 백성이 모두 기뻐하며 그의 백성이 되기를 바랄 것이다.
      확실히 이 다섯 가지를 잘 시행할 수 있다면 이웃나라 백성들이 그 나라의 임금을 부모같이 우러러 볼 것이다. 
      그의 자제들을 거느리고 부모같은 그를 공격한 일은 이 세상에 사람이 생겨난 이래로 이루어 낸 적이 없었다. 

      ​이와 같이 된다면 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을 것이며, 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는 사람은 천명을 받은 사람이다.  
      그렇게 하고서도 천하의 왕이 되지 못한 사람은 아직 없었다 "라고 하였다. 】 

    
     
 

6.  孟子曰:「人皆有不忍人之心.  先王有不忍人之心, 斯有不忍人之政矣. 

     ​以不忍人之心, 行不忍人之政, 治天下可運之掌上.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 今人乍見孺子將入於井, 皆有怵惕惻隱之心.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 非所以要譽於鄉黨朋友也, 非惡其聲而然也.
     (맹자왈 : 「인개유불인인지심.  선왕유불인인지심, 사유불인인지정의.  

      이불인인지심, 행불인인지정, 치천하가운지장상.

      ​소이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 금인사견유자장입어정, 개유출척측은지심.

      ​비소이내교어유자지부모야, 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 비악기성이연야.


      [Mèngzǐ yuē :「rén jiē yǒu bùrěn rén zhī xīn. xiānwáng yǒu bùrěn rén zhī xīn, sī yǒu bùrěn rén zhī zhèng yǐ.

​      yǐ bùrěn rén zhī xīn,  xíng bùrěn rén zhī zhèng,  zhì tiānxià kě yùn zhī zhǎng shàng.

      ​suǒyǐ wèi rén jiē yǒu bùrěn rén zhī xīn zhě,  jīn rén zhà jiàn rúzǐ jiāng rù yú jǐng,  jiē yǒu chùtì cèyǐnzhīxīn. 

      fēi suǒyǐ nèi jiāo yú rúzǐ zhī fùmǔ yě,  fēi suǒyǐ yào yù yú xiāngdǎng péngyou yě, fēi ě qí shēng ér rán yě. 
         

     ​【'맹자'가 말하기를 : "사람에게는 모두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예전의 선왕들은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어서, 남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치를 하였다.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남을 차마 해치 못하는 정치를 행하게 되면,  

      천하를 다스리기가 손바닥 위에 놓고 움직이는 것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에게는 모두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 느닷없이 어떤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하는 것을 보게 되었을 때, 
      누구나 다 두렵고 놀라며 측은한 마음이 들게 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그 어린아이를 구해 준 인연으로 그의 부모와 교제하려 해서가 아니며,  

      아이를 구했다고 동네 사람들과 벗들로부터 칭찬을 받으려는 것도 아니며,  
      그 아이를 구하여 주지 않았을 때 잔인하다는 나쁜 소리를 듣기 싫어서 그러는 것도 아니다. 

             

由是觀之, 無惻隱之心, 非人也;無羞惡之心, 非人也;無辭讓之心, 非人也;無是非之心, 非人也.

惻隱之心, 仁之端也;羞惡之心, 義之端也;辭讓之心, 禮之端也;是非之心, 智之端也.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 自賊者也 ; 謂其君不能者, 賊其君者也'

​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火之始然, 泉之始達. 

     苟能充之, 足以保四海;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  
     (유시관지, 무측은지심, 비인야 ; 무수오지심, 비인야 ; 무사양지심, 비인야 ; 무시비지심, 비인야.

      ​측은지심, 인지단야 ; 수오지심, 의지단야 ; 사양지심, 예지단야 ; 시비지심, 지지단야.

​      인지유시사단야, 유기유사체야.  유시사단이자위불능자, 자적자야 ; 위기군불능자, 적기군자야.

      ​범유사단어아자, 지개확이충지의, 약화지시연, 천지시달. 구능충지, 족이보사해 ; 구불충지, 부족이사부모.」


      [yóu shì guān zhī,  wú cèyǐnzhīxīn,  fēirén yě ;  wú xiūèzhīxīn,  fēirén yě ;     

      wú círàngzhīxīn,  fēirén yě ;  wú shìfēizhīxīn,  fēirén yě. 

      cèyǐnzhīxīn, rén zhī duān yě ;  xiūèzhīxīn, yì zhī duān yě ;  

      círàngzhīxīn, lǐ zhī duān yě ;  shìfēizhīxīn, zhì zhī duān yě. 

      ​rén zhī yǒu shì sìduān yě,  yóu qí yǒu sì tǐ yě. yǒu shì sìduān ér zì wèi bùnéng zhě,  zì zéi zhě yě ;

      wèi qí jūn bùnéng zhě,  zéi qí jūn zhě yě.

      ​fán yǒu sìduān yú wǒ zhě,  zhī jiē kuò ér chōng zhī yǐ, ruò huǒ zhī shǐ rán, quán zhī shǐ dá. 

      ​gǒu néng chōng zhī,  zúyǐ bǎo sìhǎi ;  gǒu bù chōng zhī,  bù zúyǐ shì fùmǔ.」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측은해 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지 못함을 보고 부끄러워하고 착하지 못함을 보고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닌 것이다. 
      불쌍해 하는 마음은 仁의 실마리요, 옳지 못함을 보면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義의 실마리요, 
      겸손히 남에게 사양하는 마음은 禮의 실마리요,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은 智의 실마리이다. 
      사람이 네가지 마음씨를 가지고 있는 것은 그 사지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이 네가지 마음씨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仁義를 행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는,
      자기 자신을 해치는 자이며 ; 또 자기 임금이 仁義를 행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는, 자기 임금을 해치는 자이다. 
      무릇 나에게 있는 이 네가지 마음씨를 모두 넓혀 채울 줄 안다면, 마치 불이 처음 타오르고,  

      샘물이 처음 솟아 오르는 것처럼 처음은 미약하지만 결과는 대단할 것이다.   

      진실로 네가지 마음씨를 채울 수 있다면 온 천하를 보존하기에 충분하겠지만, 
      진실로 채우지 못한다면 제 부모조차도 섬길 수 없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7.  孟子曰:「矢人豈不仁於函人哉 ? 矢人唯恐不傷人, 函人唯恐傷人. 巫匠亦然,

     故術不可不慎也.  孔子曰:『里仁為美.  擇不處仁, 焉得智?』

     夫仁, 天之尊爵也, 人之安宅也. 莫之禦而不仁, 是不智也.  不仁, 不智, 無禮, 無義, 人役也. 

     人役而恥為役, 由弓人而恥為弓, 矢人而恥為矢也.  如恥之, 莫如為仁.​ 

     仁者如射, 射者正己而後發.  發而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

     (맹자왈 : 「시인기불인어함인재 ?  시인유공불상인, 함인유공상인.  무장역연, 고술불가불신야.

      ​공자왈 : 『리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 부인, 천지존작야, 인지안댁야. 막지어이불인, 시불지야.

      ​불인, 불지, 무례, 무의, 인역야.  인역이치위역,  유궁인이치위궁, 시인이치위시야. 여치지, 막여위인.

      ​인자여사, 사자정기이후발.  발이불중, 불원승기자, 반구제기이이의.」


      [Mèngzǐ yuē : 「shǐ rén qǐ bù rén yú hán rén zāi ?  shǐ rén wéikǒng bù shāng rén, 

      ​hán rén wéikǒng shāng rén.  wū jiàng yìrán,  gù shù bùkě bú shèn yě. 

      Kǒngzǐ yuē :『lǐ rén wéi měi.  zé bù chù rén, yān dé zhì ?』 ​​fū rén,  tiān zhī zūn jué yě,  rén zhī ān zhái yě. 

      mò zhī yù ér bù rén,  shì bú zhì yě.  bù rén, bù zhì, wú lǐ, wú yì,  rén yì yě.  rén yì ér chǐ wéi yì, 

      yóu gōng rén ér  chǐ wéi gōng,  shǐ rén ér chǐ wéi shǐ yě.  rú chǐ zhī,  mò rú wéi rén. 

      ​rén zhě rú shè,  shè zhě zhèng jǐ ér hòu fā.  fā ér bù zhòng,  bù yuàn shèng jǐ zhě, fǎnqiúzhūjǐ éryǐ yǐ.」
        

    【'맹자'가 말하기를 : " 화살을 만드는 사람이 어찌 갑옷을 만드는 사람보다 본성이 어질지 못하다고 하겠는가 ?

      ​화살을 만드는 사람은 오직 자기가 만든 화살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할까봐 걱정하고, 
      갑옷을 만드는 사람은 오직 자기가 만든 갑옷이 약해 사람이 상할까 걱정한다
      사람의 목숨을 비는 무당과 사람이 죽기를 바라며 관을 만드는 목수도 역시 그런 입장이다.   

      그러므로 생업으로 삼는 기술이나 직업은 신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마을에 어진 풍속을 아름답게 여겨서, 자기가 거주할 마을을 어진 곳에 골라 놓고, 

      그곳에 살지 아니하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는냐 ?'라고 하셨으니,  무릇 인이란, 하늘이 내려준 귀한 벼슬이며,

      사람에게는 편안한 집이거늘, 어질지 말라고 막는 것도 아닌데도 어질지 아니하니,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이다. 어질지 못하고, 지혜롭지 못하며, 禮가 없고, 義도 없으면,

      남에게 부림을 받게 된다. 남에게 부림을 받으면서 부림 받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활 만드는 사람이 활 만들기를 부끄러워하고, 화살 만드는 사람이 화살 만들기를 부끄러워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만일 이를 부끄러워한다면 仁을 행하는 것만 못하다.  仁이라는 것은 활 쏘기와 같으니,

      활쏘는 자는 자기 몸을 바르게 한 뒤에 쏘며, 쏜 것이 맞지 않더라도 자기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아니하고, 
      돌이켜 맞추지 못한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을 뿐이다 "라고 하였다.】 

     
     
 

8.  孟子曰:「子路, 人告之以有過則喜.  禹聞善言則拜.  大舜有大焉, 善與人同. 

     舍己從人, 樂取於人以為善.  自耕, 稼, 陶, 漁以至為帝無, 非取於人者. 

     取諸人以為善, 是與人為善者也. 故君子莫大乎與人為善.」
     (맹자왈 : 「자로, 인고지이유과즉희.  우문선언즉배.  대순유대언, 선여인동. 

      사기종인, 락취어인이위선.  자경, 가, 도, 어이지위재무, 비취어인자. 

      취제인이위선, 시여인위선자야.  고군자막대호여인위선. 」


      [Mèngzǐ yuē : 「Zǐlù,  rén gào zhī yǐ yǒu guò zé xǐ.  Yǔ wén shànyán zé bài.  
      dà Shùn yǒu dà yān,  shàn yǔ rén tóng.  shě jǐ cóng rén,  lè qǔ yú rén yǐwéi shàn.

      ​zì gēng, jià, táo, yú yǐzhì wèi dì wú,  fēi qǔ yú rén zhě.  

      ​qǔ zhū rén yǐwéi shàn,  shì yǔrénwéishàn zhě yě.  gù jūnzǐ mò dà hū yǔrénwéishàn.」
         

     【'맹자'가 말하기를 : " '자로'는 사람들이 자기에게 잘못이 있다고 일러주면 기뻐하였다.

      ​'우'임금은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하셨다. 위대한 '순'임금께서는 이들보다 더 훌륭하셨으니,  

      좋은 일을 사람들과 더불어 함께 하셨다.  자기의 不善을 버리고 사람들의 善을 따르시며,  

      남의 善을 취하여 자신의 善으로 만들기를 즐기셨다. 농사를 짓고, 곡물을 재배하고, 질그릇을 굽고,

      물고기 잡이에서부터 제왕이 되기까지 사람들에게서 선을 취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사람들에게서 善을 취하여 나의 善으로 만드는 것은, 남이 善을 행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군자에게는 사람들이 善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보다 큰 일은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9.  孟子曰:「伯夷, 非其君不事, 非其友不友.  不立於惡人之朝, 不與惡人言.  

     立於惡人之朝, 與惡人言, 如以朝衣朝冠坐於塗炭.   推惡惡之心, 思與鄉人立, 其冠不正,

     望望然去之, 若將浼焉.  是故諸侯雖有善其辭命而至者, 不受也.  不受也者, 是亦不屑就已.
     (맹자왈 : 「백이, 비기군불사, 비기우불우.  불입어악인지조, 불여악인언.   

      입어악인지조, 여악인언, 여이조의조관좌어도탄.  추악오지심, 사여향인립, 기관부정,

      망망연거지, 약장매언. 시고제후수유선기사명이지자, 불수야.  불수야자, 시역불설취이. 
      [Mèngzǐ yuē : 「Bóyí,  fēi qí jūn bú shì,  fēi qí yǒu bù yǒu. bú lì yú èrén zhī cháo,  bù yú èrén yán.  
       lì yú èrén zhī cháo,  yú èrén yán,  rú yǐ cháo yī cháo guàn zuò yú tú tàn.

       ​tuī wù è zhī xīn,  sī yǔ xiāngrén lì,  qí guàn bú zhèng, wàngwàng rán qù zhī,  ruò jiāng měi yān. 

      ​ shì gù zhūhóu suī yǒu shàn qí cí mìng ér zhì zhě,  bú shòu yě. bú shòu yě zhě,  shì yì búxiè jiù yǐ.
        

     【'맹자'가 말하기를 : "'백이'는 섬길 만한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않았고, 벗할 만한 사람이 아니면 벗하지 않았다.

      ​악한 사람이 다스리는 조정에는 서지 않았으며, 악한 사람과는 더불어 말을 하지 않았다.   

      악한 사람이 다스리는 조정에서 벼슬하거나, 악한 사람과 더불어 말하는 것을,  

      마치 조회할 때 입는 의관을 입고 조관을 쓴 채 진흙탕과 잿더미 위에 앉은 것같이 여겼다.
      악한 것을 미워하는 마음을 헤아려, 마을사람과 더불어 서 있을 때에 그 사람의 관이 반듯하지 않으면

      마치 그가 자신을 더럽히기라도 할 것처럼 생각하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휑하니 떠나가 버렸다. 

      이 때문에 제후들이 비록 초청하는 말을 정중하게 하여 찾아오는 경우가 있어도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이다.
      받아 들이지 않는 것은 이 또한 나아가서 벼슬하는 것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柳下惠, 不羞汙君不, 卑小官.  進不隱賢, 必以其道.  遺佚而不怨, 阨窮而不憫.

     ​故曰:『爾為爾, 我為我, 雖袒裼裸裎於我側, 爾焉能浼我哉?』 

     故由由然與之偕而不自失焉, 援而止之而止.  援而止之而止者, 是亦不屑去已.」

     孟子曰:「伯夷隘, 柳下惠不恭.  隘與不恭, 君子不由也.」
     (유하혜, 불수오군불, 비소관.  진불은현, 필이기도.  유일이불원, 액궁이불민.

      ​고왈 : 『이위이, 아위아, 수단석라정어아측, 이언능매아재 ?』

      ​고유유연여지해이불자실언, 원이지지이지.  원이지지이지자, 시역불설거이.

      ​맹자왈 : 「백이애, 유하혜불공. 애여불공, 군자불유야.」
         

      [Liǔxiàhuì,  bù xiū wū jūn bù,  bēi xiǎo guān.  jìn bù yǐn xián,  bì yǐ qí dào. 

      ​yí yì ér bù yuàn, è qióng ér bù mǐn. 

      gù yuē : 『ěr wé ěr,  wǒ wé wǒ, suī tǎntìluǒchéng yú wǒ cè, ěr yān néng měi wǒ zāi?』 

      gù yóu yóu rán yǔ zhī xié ér bù zì shī yān,  yuán ér zhǐ zhī ér zhǐ. 

      yuán ér zhǐ zhī ér zhǐ zhě,  shì yì búxiè qù yǐ.」

      ​Mèngzǐ yuē : 「Bóyí ài,  Liǔxiàhuì bù gōng.  ài yǔ bù gōng,  jūnzǐ bù yóu yě.」
        

    【'유하혜'는 청렴결백하지 못한 임금한테 벼슬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작은 벼슬을 하찮게 여기지도 않았다. 나아가서 벼슬을 하면 자기의 현명함을 숨기지 않고,       

      반드시 자기의 방법대로 하였다.  버림을 받아도 원망하지 아니하며, 곤란을 당해도 근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 '너는 너고 나는 나인데, 네가 비록 내 곁에서 웃통을 벗거나 알몸을 내보인들,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느냐 ?'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바르지 않은 사람과 함께 있어도 항상 여유만만하면서도, 그 스스로 올바름을 잃지 않았다.  
      그는 조정을 떠나려 하다가도 만류하면서 머물러 있게 하면 머물러 있었다.
      만류하면서 머물러 있게 하면 머물러 있는 것은 역시 물러나는 것을 하찮게 여겼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 " '백이'는 도량이 넓지 못하고, '유하혜'는 공손하지 못하였다. 
      도량이 넓지 못하고 공손한 마음이 없으면 군자가 따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二 篇.    公 孫 丑.   上     

 

 [fú, pèi] : 발끈할 ; 불, 발.  1. 발끈하다(불,발) 2. 색을 칠하다(불,발) 3. 새벽(불,발). 
 [qià] : 흡족할 ; 흡/. 강 이름 ; 합.  1. 넉넉하게 하다 3. 젖다 4. 광범위하다 5. 부합하다.
 [zī] : 호미 ; 자.    1. 호미 2. 괭이 3. 뚜껑이 있는 솥 .
 吠[fèi] : 짖을 ; 폐.    1. (개가)짖다 2. 욕하다. 
 鸡鸣狗吠[jīmínggǒufèi (계명구폐)] : 사람들이 매우 가까이 많이 모여 지냄을 이르는 말.
 [qiáo] : 파리할 ; 초.    1. 수척하다, 야위어 쇠약하다 3. 시달리다 4. 애태우다.
 [cuì] :  파리할 ; 췌, 취.  1. 시들다, 생기를 잃다 3. 야위어 수척하다 4. 근심하다 5. 괴로워하다.
 [yǒu] : 검푸른빛 ; 유.    1. 검푸른빛 2. 검푸르다 3. 칠하다. 
 [fū] : 살갗 ; 부.  1. 피부 2. 겉껍질 3. 제육 4. 깔개  5. 길이  6. 천박하다 8. 떨어지다 9. 벗기다.
 [náo] : 어지러울 ; 요./ 돌 ; 효. 1. 휘다 3. 굽히다 4. 요란하다 5. 흔들리다  a. 구르다.
 [tà] : 때릴 ; 달.     1. 때리다 2. 매질하다 3. 종아리 치다 4. 빠르다. 
 [zhuì] : 두려워할 ; 췌./ 꿈틀거릴 ; 천.  1. 두려워 벌벌 떨다  a. (벌레가)꿈틀거리다 (천).   
 [jué] : 넘어질, 일어설 ; 궐./ 뛰어 일어날 ; 궤.  1. 뛰다 3. 거꾸러뜨리다  4. 밟다 5. 차다. 
 [něi] : 주릴 ; 뇌.    1. 주리다 2. 굶기다 3. 썩다 4. 굶주림. 
 [yà] : 뽑을 ; 알.     1. (고갱이를)뽑다 2. 빼다. 
 揠苗助长[yàmiáozhùzhǎng(알묘조장)] : 전국 시대 송나라에 어떤 사람이 벼이삭이 너무 더디게    

              자란다고 조금씩 손으로 이삭을 뽑아서 빨리 자라게 하였다.   
 [yún] : 김맬 ; 운.    1. 김매다 2. 제거하다 3.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 
 [qí] : 기린 ; 기.     1. (수컷)기린 2. 태평성대에 나타나는 신령(神靈)한 짐승 .
 [lín] : 기린 ; 린, 인.     1. 기린, 암키린 2. 큰 사슴의 수컷 3. 빛나는 모양 .
 垤[dié] : 개밋둑 ; 질.  1. 개밋둑(개미가 파낸 흙가루가 땅 위에 두둑하게 쌓인 것) 2. 작은 산 .
 [shàn] : 넉넉할 ; 섬.     1. 넉넉하다 2. 진휼하다 4. 구제하다 5. 돕다, 6. (재물을)보태다 .
 [shī] : 젖을 ; 습./ 나라 이름 ; 합./ 물 이름 ; 답.  1. 축축하다 3. 마르다 4. 낮추다 5.습기 7. 물기.
 [dài] : 미칠 ; 태.      1. 미치다, 닿다 2. 이르다, 도달하다 3. 바라다 4. 원하다(願--) .
 [móu, jiū, liǎo, miào, miù, mù] : 얽을 ; 무./ 사당치레 ; 목./  틀릴 ; 류(유)./  목맬 ; 규.  
 [yǒu] : 들창 ; 유.     1. 들창(-窓: 들어서 여는 창) 2. 성(姓)의 하나 3. 깨우치다. 
 [niè] : 서자, 재앙 ; 얼.  1. 첩의 소생 2. 재앙 3. 천민 4. 움돋이  5. 불효 6. 업, 과보 7. 불길한.
 廛[chán] : 가게 ; 전.  1. 가게 2. 전방(廛房) 3. 터 4. 집터 5. 밭 6. 묶음 7. 묶다 .
 怵[chù] : 두려워할 ; 출./ 꾈 ; 술.  1. 슬퍼하다 3. 달리다, 분주하다  a. 꾀다 (술) b. 유혹하다 (술). 
 [tì] : 두려워할 ; 척.  1. 근심, 걱정하다 3. 삼가다 4. 신속하다  5. 깜짝 놀라다 6. 사랑하는 모양. 
 恻隐之心[cèyǐnzhīxīn(측은지심)] : 불쌍히 여기는 마음. 인의예지(仁義禮智) 가운데 "인"에서 우러나온다.
 羞惡之心[xiūèzhīxīn (수오지심)] :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착하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인의예지 가운데 "의"에서 우러나온다.
 辭讓之心[círàngzhīxīn(사양지심)] : 겸손히 남에게 사양하는 마음.  인의예지 가운데 "예"에서 우러나온다.
 是非之心[shìfēizhīxīn(시비지심)] : 옳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인의예지 가운데 "지"에서 우러나온다.
 [měi] : 더럽힐 ; 매.      1. 더럽히다 2. 명예 등이 손상되다 3. 의뢰하다 4. 편히 흐르다.
 [xiè] : 가루, 달갑게 여길 ; 설.   1. 문득 3. 모두 4. 애쓰다 7. 업신여기다 10. 부수다. 
 [è] : 막힐 ; 액./ 길 험할 ; 애.  1. 막아서 지키다 3. 제압하다 4. 고생하다  5. 곤궁하다  a.  좁다.
 [xí, tì, xī ] : 웃통 벗을 ; 석./ 포대기 ; 체. 1. 웃통을 벗다 2. 웃통을 벗어 어깨를 드러내다. 
 [xié] : 함께 ; 해.      1. 함께 2. 두루 3. 맞다, 적합하다 4. 굳세다 5. 두루 미치다. 

 

 

 

 

            第 二 篇.   公 孫 丑(공손추). 下              

 

 

10.  孟子曰:「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   三里之城, 七里之郭, 環而攻之而不勝.

      ​夫環而攻之, 必有得天時者矣;然而不勝者, 是天時不如地利也.

      城非不高也, 池非不深也, 兵革非不堅利也, 米粟非不多也;委而去之, 是地利不如人和也.
      (맹자왈 : 「천시불여지리, 지리불여인화.  삼리지성, 칠리지곽, 환이공지이불승.

       ​부환이공지, 필유득천시자의 ; 연이불승자, 시천시불여지리야.

       ​성비불고야, 지비불심야, 병혁비불견리야, 미속비불다야 ; 위이거지, 시지리불여인화야.
          

       [Mèngzǐ yuē : 「tiānshí bùrú dìlì,  dìlì bùrú rénhé. sānlǐ zhī chéng,  qīlǐ zhī guō, 

       huán ér gōng zhī ér bú shèng.  fū huán ér gōng zhī,  bì yǒu dé tiānshí zhě yǐ ;   

       rán'ér bú shèng zhě,  shì tiānshí bùrú dìlì yě.  ​chéng fēi bù gāo yě, chí fēi bù shēn yě, 

       bīng gé fēi bù jiān lì yě, mǐ sù fēi bù duō yě ;   wěi ér qù zhī,  shì dìlì bùrú rénhé yě.
         

      【'맹자'가 말하기를 : " 천시(하늘이 내려준 좋은 시기)라도 지리(농작물을 심기에 유리한 토지)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  3리쯤 되는 성과 7리쯤 되는 외곽을 에워싸고 공격하나 이기지 못할 때가 있다.

       ​무릇 에워싸고 공격하다 보면 반드시 천시를 활용하였겠지만, 그런데도 이기지 못하는 것은

       천시가 지리만 못해서이다.  성이 높지 않은 것도 아니고, 해자가 깊지 않은 것도 아니며,    

       병기와 갑옷이 견고하고 날카롭지 않은 것도 아니고,  식량이 많지 않은 것도 아닌데도,  

       적이 쳐들어 오면 이를 모두 내던지고 도망치는 경우도 있으니, 이것은 지리가 인화만 못해서이다. 
  
      故曰:域民不以封疆之界, 固國不以山谿之險, 威天下不以兵革之利. 得道者多助. 失道者寡助.

      寡助之至, 親戚畔之;多助之至, 天下順之.

      以天下之所順, 攻親戚之所畔;故君子有不戰, 戰必勝矣.」

​      (고왈 : 역민불이봉강지계, 고국불이산계지험, 위천하불이병혁지리.  득도자다조. 실도자과조.

       ​과조지지, 친척반지 ; 다조지지, 천하순지.  이천하지소순, 공친척지소반 ; 고군자유불전, 전필승의.」 


       [gù yuē : yuē mín bù yǐ fēng jiāng zhī jiè,  gù guó bù yǐ shān xī zhī xiǎn, wēi tiānxià bù yǐ bīng gé zhī lì.

       dé dào zhě duō zhù.  shī dào zhě guǎ zhù.  guǎ zhù zhī zhì,  qīnqi pàn zhī ; 

       duō zhù  zhī zhì,  tiānxià shùn zhī.  yǐ tiānxià zhī suǒ shùn,  gōng qīnqi zhī suǒ pàn ;

       gù jūnzǐ yǒu bú zhàn,  zhàn bì shèng yǐ.」
         

      【그러므로 말하기를 : '백성을 경계 짓는 것은 국경으로 되는 것이 아니며, 

       ​국방을 굳게 하는 것은 산천의 험준함으로 되는 것이 아니며, 
       천하를 위압하는 것은 병기와 갑옷의 날카로움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한 것이다. 
       道를 얻은 사람에게는 도와주는 이가 많고, 道를 잃은 사람에게는 도와주는 사람이 적다. 
       돕는 사람이 적어지면 친척도 배반하고, 돕는 사람이 많아지면 온 세상 사람들이 순종하게 된다.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순종하도록 만든 그 힘으로 친척조차 배반하는 자를 공격하는 것이니 ; 

       그러므로 군자는 싸우지 아니하지만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 "라고 하였다.】 

11.  孟子將朝王, 王使人來曰:「寡人如就見者也, 有寒疾, 不可以風.  

      朝將視朝, 不識可使寡人得見乎?」 對曰:「不幸而有疾, 不能造朝.」
      (맹자장조왕, 왕사인래왈 : 「과인여취견자야, 유한질, 불가이풍.    

       조장시조, 불식가사과인득견호 ?」 대왈 : 「불행이유질, 불능조조.」


       [Mèngzǐ jiāng cháo wáng,  wáng shǐ rén lái yuē :「guǎrén rú jiù jiàn zhě yě,  yǒu hán jí,  bùkěyǐ fēng. 

       cháo jiāng shì cháo, bù shí kě shǐ guǎrén dé jiàn hū ?」duì yuē : 「búxìng ér yǒu jí, bùnéng zào cháo.」 

         

     【'맹자'가 조정에 나아가 왕을 배알하려 하였는데, 왕이 사람을 보내와 말하기를 :

       ​"과인이 가서 뵈어야 할 것이나 감기가 들어서 찬바람을 쐴 수 없습니다. 
       아침에 조회를 볼 예정인데, 과인으로 하여금 뵐 수 있게 해 주시겠습니까?"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불행히도 병이 나서 조회에 나아갈 수가 없습니다 "라고 하였다.】 

 

      明日, 出吊於東郭氏, 公孫丑曰:「昔者辭以病, 今日吊, 或者不可乎!」    

      曰:「昔者疾, 今日愈, 如之何不吊?」 王使人問疾, 醫來.  孟仲子對曰:

     「昔者有王命, 有采薪之憂, 不能造朝. 今病小愈, 趨造於朝, 我不識能至否乎?」

      使數人要於路, 曰:「請必無歸, 而造於朝!」 不得已而之景丑氏宿焉. 

      (명일, 출조어동곽씨, 공손추왈 : 「석자사이병, 금일조, 혹자불가호 !」  

       왈 : 「석자질, 금일유, 여지하불조 ?」 왕사인문질, 의래.  맹중자대왈 :

      「석자유왕명, 유채신지우, 불능조조.   금병소유, 추조어조, 아불식능지부호? 」

       ​사수인요어로, 왈 : 「청필무귀, 이조어조 !」 부득이이지경추씨숙언.
         

       [míngrì, chū diào yú Dōngguō shì, Gōngsūnchǒu yuē :「xī zhě cí yǐ bìng,  jīnrì diào,  huòzhě bùkě hū !」

       yuē : 「xī zhě jí,  jīnrì yù,  rú zhī hé bú diào ?」wáng shǐ rén wèn jí,  yī lái. 

       Mèngzhòngzǐ duì yuē :「xī zhě yǒu wáng mìng, yǒu cǎi xīn zhī yōu, bùnéng zào cháo.  

       jīn bìng xiǎo yù,  qū zào yú cháo,  wǒ bù shí néng zhì fǒu hū ? 」

       ​shǐ shù rén yào yú lù,  yuē : 「qǐng bì wú guī,  ér zào yú cháo !」 bùdéyǐ ér zhī Jǐngchǒu shì sù yān.

  
         

     【이튿날 '맹자'가 '동곽'씨를 조문하려 하였다.   

       '공손추'가 말하기를 : "어제 병을 핑계로 조회를 사양하시고 오늘 조문을 하심은 옳지 않습니다."라고 하자.
       '맹자'가 말하기를 : "어제 아프던 병이 오늘 다 나았는데, 어찌 조문을 못 간단 말인가 ?" 하고 조문을 갔다. 
       왕이 사람을 시켜 문병하고 의원을 보내왔는데, '맹중자'가 응대하여 말하기를 :
       "어제 임금님의 분부가 있으셨는데 병환이 있어 조회에 나가지 못하셨는데. 
       이제 병이 조금 나아서 조정에 나가신다고 재촉하여 가셨는데, 벌써 도착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는 사람들을 길목에 세워두고 '맹자'를 만나면 "집으로 돌아오지 마시고 반드시 조정에 나가십시오."

       라고 말하게 하였다. '맹자'는 어쩔 수 없이 '경추'씨 집으로 가서 하룻밤을 묵었다.】

      景子曰:「內則父子, 外則君臣, 人之大倫也.  父子主恩, 君臣主敬. 丑見王之敬子也,

      未見所以敬王也.」  曰:「惡!是何言也!齊人無以仁義與王言者, 豈以仁義為不美也?

      其心曰『是何足與言仁義也』 云爾, 則不敬莫大乎是.

      我非堯舜之道, 不敢以陳於王前, 故齊人莫如我敬王也.」
      (경자왈 : 「내즉부자, 외즉군신, 인지대륜야.  부자주은, 군신주경. 추견왕지경자야,

       미견소이경왕야.」 왈 : 「오 ! 시하언야 ! 제인무이인의여왕언자, 기이인의위불미야 ?

       ​기심왈 『시하족여언인의야』 운이, 즉불경막대호시. 

       ​아비요순지도, 불감이진어왕전, 고제인막여아경왕야.」

       ​[Jǐngzǐ yuē : 「nèi zé fùzǐ,  wài zé jūnchén,  rén zhī dà lún yě.  fùzǐ zhǔ ēn,
        jūnchén zhǔ jìng.  chǒu jiàn wáng zhī jìng zǐ yě,  wèi jiàn suǒyǐ jìng wáng yě.」

       ​yuē : 「wù ! shì hé yán yě !  Qí rén wú yǐ rényì yǔ wáng yán zhě,  qǐ yǐ rényì wéi bù měi yě ?

      qí xīn yuē 『shì hé zú yǔ yán rényì yě』 yún ěr,  zé bù jìng mòdà hū shì.  

       ​wǒ fēi YáoShùn zhī dào,  bùgǎn yǐ chén yú wáng qián, gù Qí rén mò rú wǒ jìng wáng yě.」

  

     ​【'경자'가 말하기를 : "집안에서는 부모와 자식, 밖에서는 임금과 신하, 이것이 사람에게 가장 큰 윤리입니다. 

       부모와 자식은 은혜를 주로 하고 임금과 신하는 공경을 주로 합니다.
       저는 왕이 선생을 공경하는 것은 보았으나, 선생이 왕을 공경하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라고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 "아니!  이게 무슨 말이오 ! 제나라 사람들 중에 인의를 가지고 왕과 말하는 사람이 없는데,

       이는 어찌 인의가 훌륭하지 않게 여겨서 그렇게 한 것이겠소 ? 
       그네들이 생각하기를 '이 임금이 어찌 함께 인의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인가 ?'라고 할텐데,  

       그렇게 말한다면 이보다 더 큰 不敬은 없는 것이오. 나는 요순의 도가 아니면 감히 왕 앞에 늘어놓지 않으니,  

       그러므로 제나라 사람들 중에는 나보다 왕을 더 공경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오. "라고 하였다.
   
      景子曰:「否, 非此之謂也.  禮曰:『父召, 無諾;君命召, 不俟駕.』    

      固將朝也, 聞王命而遂不果, 宜與夫禮若不相似然.」
      (경자왈 : 「부, 비차지위야.  예왈 : 『부소, 무락 ; 군명소, 불사가.』    

       고장조야, 문왕명이수불과, 의여부례약불상사연.」
        

       [Jǐngzǐ yuē : 「fǒu,  fēi cǐ zhī wèi yě.   lǐ yuē : 『fù zhào,  wú nuò ; jūn mìng zhào,  bù sì jià.』 
       gù jiāng cháo yě,  wén wáng mìng ér suì bù guǒ,  yí yǔ fū lǐ ruò bù xiāng sì rán.」
         

     【'경자'가 말하기를 : "아닙니다. 그것을 말씀드린 것이 아닙니다. 
      《예기禮記》에 이르기를 : '아버지가 부르면 느리게 대답하지 않고,  

       임금이 명하여 부르면 수레에 멍에 매기를 기다리지 않고 간다 '라고 하였는데, 
       본래 조정에 나가려고 하시다가 왕명을 듣고 그만 두셨으니,  

       이것은 마땅히 《예기》에 나오는 말 과는 서로 같지 않은 듯 합니다."라고 하였다.  

 

     曰:「豈謂是與?   曾子曰『晉楚之富, 不可及也.  彼以其富, 我以吾仁;

     彼以其爵, 我以吾義, 吾何慊乎哉?』 夫豈不義而曾子言之? 是或一道也.  天下有達尊三:

     爵一, 齒一, 德一.  朝廷莫如爵, 鄉黨莫如齒, 輔世長民莫如德.  惡得有其一, 以慢其二哉?

     故將大有為之君, 必有所不召之臣.  欲有謀焉, 則就之. 其尊德樂道, 不如是不足與有為也.
     (왈 : 「기위시여 ?  증자왈 :『진초지부, 불가급야.  피이기부, 아이오인 ;  

      ​피이기작, 아이오의, 오하겸호재 ?』 부기불의이증자언지 ? 시혹일도야.  천하유달존삼 :

      작일, 치일, 덕일.  조정막여작, 향당막여치, 보세장민막여덕. 오득유기일, 이만기이재 ? 

      ​고장대유위지군, 필유소불소지신.  욕유모언, 즉취지.  기존덕락도, 불여시부족여유위야.
          

      [yuē : 「qǐ wèi shì yǔ ?  Zēngzǐ yuē : 『Jìn Chǔ zhī fù,  bùkě jí yě.  bǐ yǐ qí fù,  wǒ yǐ wú rén ; 

      ​bǐ yǐ qí jué,  wǒ yǐ wú yì,  wú hé qiàn hū zāi ?』 fū qǐ bú yì ér Zēngzǐ yán zhī ?   shì huò yí dào yě.

     tiānxià yǒu dá zūn sān : jué yī,  chǐ yī,  dé yī. cháotíng mò rú jué,  xiāngdǎng mò rú chǐ,

      ​fǔ shì cháng mín mò rú dé.  wū de yǒu qíyī,  yǐ màn qí'èr zāi ?

      ​gù jiāng dà yǒu wéi zhī jūn, bì yǒu suǒ bù zhào zhī chén.  yù yǒu móu yān, zé jiù zhī.

      qí zūn dé lè dào,  bùrú shì bùzú yǔ yǒu wéi yě. 

       
    【'맹자'가 말하기를 : "내가 어찌 이것을 말한 것이겠소 ? 
      '증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진(晉)나라와 초나라의 富에 내가 비할 수는 없으나, 

      그들이 富를 내세우면 나는 나의 仁으로 하고, 그들이 벼슬을 내세우면 나는 나의義로써 할 것이니 

     내가 무엇이 부족한가 ?'라고 하셨는데, 어찌 불의를 '증자'께서 말씀 하셨겠소 ? 
      '증자'의 말에는 혹 다른 한가지의 이치가 있을 것이오. 세상에는 보편적으로 존중하는게 세 가지가 있으니 : 

      벼슬이 그 하나고, 나이가 그 하나며, 덕이 그 하나인 것이오.  조정에서는 벼슬이 으뜸이요,

      향당에서는 나이가 으뜸이요, 세상을 돕고 백성들을 지도하는 데는 덕이 가장 으뜸이니, 
      어찌 그 중 하나(벼슬)를 가지고, 그 둘(나이와 덕) 가진 사람을 소홀하게 할 수 있단 말이오 ? 
      그러므로 장차 큰 일을 하려는 임금은 반드시 불러서 볼 수 없는 신하가 있기 마련이어서,   

      그와 의논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임금이 직접 찾아갔던 것이오. 덕있는 사람을 높이고  

      도를 즐기는 것이 이 정도가 되지 아니하면 더불어 큰 일을 하기에는 부족한 것이오.  

              

     故湯之於伊尹, 學焉而後臣之, 故不勞而王;桓公之於管仲, 學焉而後臣之, 故不勞而霸今.

     ​天下地醜德齊, 莫能相尚.  無他, 好臣其所教, 而不好臣其所受教. 

     湯之於伊尹, 桓公之於管仲, 則不敢召.  管仲且猶不可召, 而況不為管仲者乎?」 
     (고탕지어이윤, 학언이후신지, 고불로이왕 ; 환공지어관중, 학언이후신지, 고불로이패금.

      ​천하지추덕제, 막능상상.  무타, 호신기소교, 이불호신기소수교.

      ​탕지어이윤, 환공지어관중, 즉불감소.  관중차유불가소, 이황불위관중자호 ?」
      

      [gù Tāng zhī yú Yī yǐn,  xué yān ér hòu chén zhī,  gù bù láo ér wáng ; 
      Huángōng zhī yú Guǎnzhòng,  xué yān ér hòu chén zhī,  gù bù láo ér bà jīn.

      ​tiānxià de chǒu dé qí, mò néng xiāng shàng. wú tā, hǎo chén qí suǒ jiāo, ér bùhǎo chén qí suǒ shòu jiāo. 

      ​Tāng zhī yú Yī yǐn,  Huángōng zhī yú Guǎnzhòng,  zé bùgǎn zhào. 

      ​Guǎnzhòng qiě yóu bù kě zhào,  érkuàng bú wèi Guǎnzhòng zhě hū ?」


    【고로 '탕'임금은 '이윤'에게 먼저 배운 뒤에 신하를 삼았기 때문에 고생하지 아니하고 왕노릇을 하셨던 것이며 ; 
      '환공'은 '관중'에게 먼저 배운 뒤에 신하를 삼았기 때문에 힘들이지 아니하고 覇者가 된 것이오.
      지금 천하의 임금들을 보면 차지한 영토도 비슷하고 덕도 서로 비슷해서 누가 더 뛰어나다 할 수 없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자기가 가르칠 사람을 신하로 삼기 좋아하고,        

      자기가 가르침을 받아야 할 사람을 신하로 삼기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오.
      '탕'임금은 '이윤'을, '환공'은 '관중'을 감히 불러 오지 못하였는데. '관중'조차도 오히려 부를 수 없었거늘, 

      하물며 '관중'의 道를 행하지 않는 나를 부를 수 있단 말이오 ?"라고 하였다.】 


     

12.  陳臻問曰 :「前日於齊, 王餽兼金一百而不受; 於宋, 餽七十鎰而受;於薛, 餽五十鎰而受.

      ​前日之不受是, 則今日之受非也;今日之受是, 則前日之不受非也.  夫子必居一於此矣.」
      (진진문왈 : 「전일어제, 왕궤겸금일백이불수 ; 어송, 궤칠십일이수 ; 어설, 궤오십일이수.

       ​전일지불수시, 즉금일지수비야 ; 금일지수시, 즉전일지불수비야.  부자필거일어차의.」


       [Chénzhēn wèn yuē : 「qiánrì yú Qí,  wáng kuì jiān jīn yìbǎi ér bù shòu ; yú Sòng,  kuì qīshí yì ér shòu ;

        yú Xuē,  kuì wǔshí yì ér shòu.  qiánrì zhī bù shòu shì,  zé jīnrì zhī shòu fēi yě ; 

       ​ jīnrì zhī shòu shì,  zé qiánrì zhī bù shòu  fēi yě.  fūzǐ bì jū yī yú cǐ yǐ.」


      【'진진'이 묻기를 : "전에 제나라에서는 왕이 좋은 황금 100일(1일= 20냥)을 주어도 받지 않으시더니, 

       ​송나라에서는 70일을 주는 것을 받으시고, 설나라에서는 50일을 받으셨습니다. 
       지난번에 받지 않으신 것이 옳으면, 이번에 받으신 것이 잘못이며, 

       ​이번에 받으신 것이 옳으면 지난번에 받지 않은 것이 잘못일 것입니다. 
       선생님께서는 반드시 이 두 가지 중에 한가지에 해당할 것입니다."라고 하자.
          

      孟子曰 :「皆是也.  當在宋也, 予將有遠行.  行者必以贐,  辭曰:『餽贐.』 予何為不受? 

      ​當在薛也, 予有戒心.  辭曰:『聞戒.』 故為兵餽之, 予何為不受?

      若於齊, 則未有處也.  無處而餽之, 是貨之也.  焉有君子而可以貨取乎?」 
      (맹자왈 : 「개시야.  당재송야, 여장유원행.  행자필이신, 사왈 : 『궤신.』 여하위불수 ? 

       ​당재설야, 여유계심.  사왈 : 『문계.』 고위병궤지, 여하위불수 ?

       ​약어제, 즉미유처야.  무처이궤지, 시화지야.  언유군자이가이화취호 ?」


       [Mèngzǐ yuē : 「jiē shì yě.  dāng zài Sòng yě,  yǔ jiāng yǒu yuǎnxíng.   

       xíngzhě bì yǐ jìn,  cí yuē : 『kuì jìn.』 yǔ hé wéi bù shòu ? 

       ​dāng zài Xuē yě,  yǔ yǒu jiè xīn. cí yuē : 『wén jiè.』 gù wéi bīng kuì zhī,  yǔ hé wéi bù shòu ?

       ​ruò yú Qí,  zé wèi yǒu chù yě.  wú chù ér kuì zhī,  shì huò zhī yě.  yān yǒu jūnzǐ ér kěyǐ huò qǔ hū ?」


      【'맹자'가 대답하기를 : "모두 다 옳다.  송나라에 있을 때에는 내가 장차 먼 길을 떠나려고 하였다.  

       ​길을 떠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노자를 보태 주는 것이 예인데, 임금께서 : '노자로 드립니다 '라고 말하니,

       내가 어찌 받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설나라에서는 내가 경호를 받을 마음이 있었는데,
       임금이 말하기를 : '경호를 받으신다고 들었기에 호위병을 두는 데에 쓰시라고 드립니다'라고 하니 

       내 어찌 받지 않을 수 있겠느냐?  제나라에서는 해당되는 명분이 없었는데, 

       명분이 없이 주면 이는 뇌물이 되는 것이다.  어찌 군자로써 뇌물에 매수되겠는가 ?"라고 하였다.  


 

13.  孟子之平陸.  謂其大夫曰:「子之持戟之士, 一日而三失伍, 則去之否乎?」曰:「不待三.」

      曰:「然則子之失伍也亦多矣.  凶年饑歲, 子之民, 老羸轉於溝壑, 壯者散而之四方者,

      幾千人矣.」  曰:「此非距心之所得為也.」
      (맹자지평륙.  위기대부왈 : 「자지지극지사, 일일이삼실오, 즉거지부호 ?」 왈 : 「불대삼.」

       왈 : 「연즉자지실오야역다의. 흉년기세, 자지민, 로리전어구학, 장자산이지사방자,

       기천인의.」 왈 : 「차비거심지소득위야.」

 ​

       ​[Mèngzǐ zhī Pínglù.   wèi qí dàfū yuē : 「zǐ zhī chí jǐ zhī shì,  yírì ér sān shī wǔ, zé qù zhī fǒu hū ?」

       ​yuē : 「bù dài sān.」  yuē : 「ránzé zǐ zhī shī wǔ yě yì duō yǐ. xiōngnián jī suì,  zǐ zhī mín, 

       lǎo léi zhuǎn yú gōu hè, zhuàng zhě sǎn ér zhī sìfāng zhě,  jǐ qiān rén yǐ.」

       yuē : 「cǐ fēi Jùxīn zhī suǒ dé wéi yě.」
            

      【'맹자'가 "평륙"에 가서, 그 고을을 다스리는 대부(공거심)에게 묻기를 :
        "그대의 군사 중에 창을 잡은 자가 하루에 세번 자기의 대오를 이탈하면 제거하겠는가 ? 

        ​제거하지 않겠는가 ?"라고 하자. 
        대부가 대답하기를 : "세 번까지 기다리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맹자'가 다시 묻기를 : "그렇다면 그대 또한 대오를 이탈한 적이 많다. 
        흉년으로 기근이 든 해에 그대의 백성들 가운데 노약자들의 시체가 산골짜기에 나뒹굴고,

        장정들은 흩어져 사방으로 떠나간 자가 몇 천 명인가 ?"라고 하자. 
        대부가 대답하기를 : " 이는 이 '거심'이 어떻게 해 볼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라고 하였다. 

 

      曰:「今有受人之牛羊而為之牧之者, 則必為之求牧與芻矣. 求牧與芻而不得, 則反諸其人乎?

      抑亦立而視其死與?」  曰:「此則距心之罪也.」

      他日, 見於王曰:「王之為都者, 臣知五人焉.  知其罪者, 惟孔距心.  為王誦之.」

      王曰:「此則寡人之罪也.」

      (왈 : 「금유수인지우양이위지목지자, 즉필위지구목여추의.  구목여추이불득, 즉반제기인호 ?

       억역입이시기사여 ?」 왈 : 「차즉거심지죄야.」

       ​타일, 견어왕왈 : 「왕지위도자, 신지오인언.  지기죄자, 유공거심.  위왕송지.」

       ​왕왈 : 「차즉과인지죄야.」
            

       [yuē : 「jīn yǒu shòu rén zhī niúyáng ér wéi zhī mù zhī zhě, zé bì wéi zhī qiú mù yǔ chú yǐ.  
       qiú mù yǔ chú ér bùdé,  zé fǎn zhū qí rén hū ?  yì yì lì ér shì qí sǐ yǔ ?」

       ​yuē : 「cǐ zé Jùxīn zhī zuì yě.」 tā rì, jiàn yú wáng yuē : 「wáng zhī wéi dōu zhě, chén zhī wǔ rén yān. 

       zhī qí zuì zhě,  wéi kǒngjùxīn.  wèi wáng sòng zhī.」  wáng yuē : 「cǐ zé guǎrén zhī zuì yě.」


      【'맹자' 묻기를 : "지금 남의 소와 양을 맡아 기르는 자가 있다면, 그 자는 반드시 소와 양을 위해

       목장과 꼴을 구할 것이다. 그런데 목장과 꼴을 구하다가 얻지 못하면 소와 양을 그 주인에게 돌려보내겠는가 ? 

       아니면 우두커니 서서 죽어 가는 것을 보고 있겠는가 ?"라고 하자. 

       ​대부가 대답하기를 : " 이는 이 '거심'의 죄입니다."라고 하였다. 
       '맹자'께서 며칠 후에 왕을 뵙고 말하기를 : " 왕의 도읍을 다스리는 자를 신이 다섯 명을 알고 있사온데, 

       ​자기의 죄를 아는 자는 오직 '공거심' 뿐이며, 이는 왕을 위하여 말씀을 드리는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 " 이는 과인의 죄입니다. "라고 하였다.】

 

 

14.  孟子謂蚔鼃曰:「子之辭靈丘而請士師, 似也, 為其可以言也.  今既數月矣, 未可以言與?」

       蚔鼃諫於王而不用, 致為臣而去.  齊人曰:「所以為蚔, 則善矣;所以自為, 則吾不知也.」

       公都子以告.  曰:「吾聞之也:有官守者, 不得其職則去;有言責者, 不得其言則去.

       我無官守, 我無言責也, 則吾進退, 豈不綽綽然有餘裕哉?」
       (맹자위지와왈 : 「자지사령구이청사사, 사야, 위기가이언야.  금기수월이, 미가이언여 ?」

        지와간어왕이불용, 치위신이거.  제인왈 : 「소이위지, 즉선의 ; 소이자위, 즉오불지야.」

        ​공도자이고. 왈 : 「오문지야 : 유관수자, 불득기직즉거 ; 유언책자, 부득기언즉거.

        ​아무관수, 아무언책야, 즉오진퇴, 기불작작연유여유재 ?」

       ​[Mèngzǐ wèi Qíwā yuē : 「zǐ zhī cí Língqiū ér qǐng shì shī,  sì yě,  wèi qí kěyǐ yán yě. 

        ​jīn jì shù yuè yǐ,  wèi kěyǐ yán yǔ ?」 Qíwā jiàn yú wáng ér búyòng,  zhì wèi chén ér qù.

        ​Qírén yuē : 「suǒyǐ wèi Qí,  zé shàn yǐ ;  suǒyǐ zì wéi,  zé wú bùzhī yě.」 Gōngdūzǐ yǐ gào. 

        yuē : 「wú wén zhī yě : yǒu guān shǒu zhě, bùdé qí zhí zé qù ;  yǒu yánzé zhě,  bùdé qí yán zé qù.

        ​wǒ wú guān shǒu, wǒ wú  yánzé yě,  zé wú jìntuì, qǐbù chuòchuò rán yǒuyú yù zāi ?」


      【'맹자'가 '지와'에게 이르기를 : "그대가 "영구"현의 수령 자리를 사양하고 사사자리를 청한 것이

        ​이치에 그럴 듯함은 그 자리가 간언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그대가 그 자리를 맡은 지도

        이미 여러 달이나 되었는데 아직도 간언할 기회가 없었단 말인가?" 라고 하자. 
        '지와'가 왕에게 간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자리를 내놓고 떠났다. 
        제나라 사람이 말하기를 : "'지와'를 위하여 말해 준 것은 좋지만, '맹자' 자신을 위한 처신이 옳은지는

        나도 모르겠다 "라고 하였다.  '공도자'가 이 말을 '맹자'에게 고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 "내가 듣기로는 관직을 맡고 있는 자가 그 직책을 수행할 수 없으면 물러나고, 

        ​간언할 책임을 가진 자는 그 간언이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물러나야 한다. 나는 맡고 있는 직책도 없고

        간언할 책임도 없으니, 곧 나의 나아가고 물러남이 어찌 여유만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다.】

   
   

15.  孟子為卿於齊, 出吊於滕, 王使蓋大夫王驩為輔行. 

      王驩朝暮見, 反齊滕之路, 未嘗與之言行事也.

      ​公孫丑曰:「齊卿之位, 不為小矣;齊滕之路, 不為近矣.  反之而未嘗與言行事, 何也? 」

      曰:「夫既或治之, 予何言哉?」
      (맹자위경어제, 출조어등, 왕사합대부왕환위보행.  왕환조모견, 반제등지로, 미상여지언행사야.

       ​공손추왈 : 「제경지위, 불위소의 ; 제등지로, 불위근의.  반지이미상여언행사, 하야 ?」

       ​왈 : 「부기혹치지, 여하언재 ?」
            

       [Mèngzǐ wèi qīng yú Qí,  chū diào yú Téng,  wáng shǐ Gě dàfū Wánghuān wéifǔ xíng.  
       Wánghuān zhāomù jiàn,  jiàn Qí Téng zhī lù,  wèicháng yǔ zhī yánxíng shì yě.

       ​Gōngsūnchǒu yuē : 「Qí qīng zhī wèi,  bú wéi xiǎo yǐ ; Qí Téng zhī lù,  bú wéi jìn yǐ. 

       fǎn zhī ér wèicháng yǔ  yánxíng shì,  hé yě ?」  yuē : 「fū jì huò zhì zhī,  yǔ hé yán zāi ?」
         

      【'맹자'께서 제나라의 경(卿)이 되어서 등나라에 조문을 가게 되었는데, 

       왕이 "합"지역의 대부 '왕환'을 유사(담당자)로 따라가게 하였다.
       '왕환'이 아침 저녁으로 '맹자'를 뵈었는데도, 제나라에서 등나라까지의 길을 다녀 돌아오는 동안에,

       그와 더불어 조문사 대하여 한 말씀도 하지 아니하셨다. 
       '공손추'가 묻기를 : "제나라 경의 지위가 작지 않으며, 제나라와 등나라의 길이 가깝지 않습니다. 

       갔다가 되돌아 오는 동안 더불어 조문사 일에 대하여 한 말씀도 하지 않으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이미 담당자가 조문사에 관한 일을 맡아 처리하고 있는데, 

       ​내가 무슨 말을 하겠느냐 ?"라고 하였다.】


   

16.  孟子自齊葬於魯, 反於齊, 止於嬴.

      ​充虞請曰:「前日不知虞之不肖, 使虞敦匠事.  嚴, 虞不敢請.  今願竊有請也, 木若以美然.」
       (맹자자제장어노, 반어제, 지어영.

       ​충우청왈 : 「전일불지우지불초, 사우돈장사. 엄, 우불감청. 금원절유청야, 목약이미연.」
            

       [Mèngzǐ zì Qí zàng yú Lǔ,  fǎn yú  Qí,  zhǐ yú Yíng.

       ​Chōngyú qǐng yuē : 「qiánrì bùzhī yú zhī búxiào,  shǐ yú dūn jiàng shì. yán,  yú bùgǎn qǐng. 

       jīn yuàn qiè yǒu qǐng yě,  mù ruò yǐ měi rán.」
            

     【'맹자'가 제나라에서 노나라로 가서 어머니의 장사를 치르고  제나라로 다시 돌아오면서 "영"땅에 머물렀다. 
       '충우'가 청하여 말하기를 : " 지난 장례에서 저의 불초함을 모르시고 저에게 관 만드는 일을 돌보게 하셨는데, 

       ​그때는 틈이 없어서  제가 감히 여쭙지 못하고, 오늘에야 솔직하게 어렵사리 여쭙습니다만,

       장례에 쓴 관목이 너무 훌륭한듯 하였습니다."라고 하자.

 

      曰:「古者棺槨無度, 中古棺七寸, 槨稱之.  自天子達於庶人.  非直為觀美也, 然後盡於人心.

      ​不得, 不可以為悅;無財, 不可以為悅.  得之為有財, 古之人皆用之, 吾何為獨不然?

      且比化者, 無使土親膚, 於人心獨無恔乎? 吾聞之君子:不以天下儉其親.」
      (왈 : 「고자관곽무도, 중고관칠촌, 곽칭지.  자천자달어서인.  비직위관미야, 연후진어인심.

       ​부득, 불가이위열 ; 무재, 불가이위열.  득지위유재, 고지인개용지, 오하위독불연 ?

       ​차비화자, 무사토친부, 어인심독무교호 ? 오문지군자 : 불이천하검기친.」


       [yuē : 「gǔ zhě guānguǒ wú dù,  zhōnggǔ guān qīcùn,  guǒ chèng zhī. zì tiānzǐ dá yú shùrén. 

       fēi zhí wèi guān měi yě,  rán hòu jìn yú rénxīn.  bùdé,  bù kěyǐ wéi yuè ;  wú cái,  bù kěyǐ wéi yuè. 

       dé zhī wèi yǒu cái,  gǔ zhī rén jiē yòng zhī,  wú hé wéi dú bùrán ? 

       ​qiě bǐ huà zhě,  wú shǐ tǔ qīn fū,  yú rénxīn dú wú jiǎo hū ? wú wén zhī jūnzǐ :  bù yǐ tiānxià jiǎn qí qīn.」


      【'맹자'가 말하기를 : "옛날에는 관곽을 만드는데 일정한 규격이 없었으나, 중고 시대에는 속 널(棺)은 7치 이고,

       겉 널(槨)은 그에 걸맞게 하였다. 이는 천자부터 일반 서민까지 통용하였으며,

       한갓 보기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여야 자식의 마음이 흡족했기 때문이다. 
       제도 때문에 할 수 없어도 마음이 흡족할 수 없고,  또 이렇게 할 만한 재물이 없으면 흡족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제도상으로도 할 수 있고, 또 관곽을 쓸만한 재산이 있으면, 옛 사람들은 모두 그렇게 장만해서 썼는데,

       나라고 해서 어찌 홀로 그렇게 하지 않겠는가 ?
       또 죽은 사람을 위해서라도 흙이 시신의 살갗에 닿지 않게 하면, 자식의 마음이 어찌 흡족하지 않겠는가 ? 
       내가 듣기로 군자는 천하 때문에 자기 어버이에게 야박하게 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

   

  

17.  沈同以其私問曰:「燕可伐與?」

      ​孟子曰:「可.  子噲不得與人燕, 子之不得受燕於子噲.  有仕於此, 而子悅之,

      ​不告於王而私與之吾子之祿爵;夫士也, 亦無王命而私受之於子, 則可乎? 何以異於是?」
       (심동이기사문왈 : 「연가벌여 ?」

       ​맹자왈 : 「가.  자쾌불득여인연, 자지불득수연어자쾌.  유사어차, 이자열지, 

       ​불고어왕이사여지오자지록작 ; 부사야, 역무왕명이사애지어자, 즉가호? 가이이어시?」


       [Shěntóng yǐ qí sī wèn yuē : 「Yān kè fá yǔ ?」

       ​Mèngzǐ yuē : 「kě.  Zǐkuài bùdé yǔ rén Yān,  zǐ zhī bùdé shòu Yān yú Zǐkuài. 

       yǒu shì yú cǐ,  ér zǐ yuè zhī,  bù gào yú wáng ér sī yǔ zhī wú zǐ zhī lù jué ;

       fū shì yě, yì wú wáng mìng ér sī shòu zhī yú zǐ, zé kě hū ? héyǐ yì yú shì ? 」


     【제나라 대신인 '심동'이 사사로이 묻기를 : "연나라를 정벌해도 됩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그러하오. 연나라 왕 '자쾌'도 제 맘대로 다른 사람에게 연나라를 내어 줄 수 없으며, 

       ​연나라의 재상인 '자지'도 연나라를 '자쾌'에게서 받을 수가 없소. 여기 어떤 벼슬아치가 있는데,

       그대가 그를 좋아한다고 해서 임금에게 아뢰지도 아니하고 사사로이 그대의 녹과 벼슬을 그 사람에게 주고 ;

       ​무릇 그 선비 또한 왕명이 없이 사사로이 그대에게서 벼슬을 받는다면 옳겠소 ? 

       '자쾌'와 '자지'의 일이 이와 무엇이 다르겠소 ?"라고 하였다.】

 

      齊人伐燕.  或問曰:「勸齊伐燕, 有諸?」

      曰:「未也.  沈同問『燕可伐與』? 吾應之曰 『可』, 彼然而伐之也. 

      彼如曰 『孰可以伐之』? 則將應之曰:『為天吏, 則可以伐之.』​

      今有殺人者, 或問之曰『人可殺與』? 則將應之曰『可』.  彼如曰『孰可以殺之』?

      則將應之曰:『為士師, 則可以殺之.』 今以燕伐燕, 何為勸之哉?」

      (제인벌연.  혹문왈 : 「권제벌연, 유제 ?」

       ​왈 : 「미야.  심동문『연가벌여』?  오응지왈 『가』, 피연이벌지야. 

       피여왈 『숙가이벌지』? 즉장응지왈 : 『 위천리, 즉가이벌지.』

       ​금유살인자, 혹문지왈『인가살여』?  즉장응지왈『가』.   피여왈『숙가이살지』?  

       ​즉장응지왈 : 『위사사, 즉가이살지.』 금이연벌연, 하위권지재 ?」
            

       [Qí rén fá Yān.  huò wèn yuē : 「quàn Qí fá Yān,  yǒu zhū ?」

       ​yuē : 「wèi yě.  Shěntóng wèn『Yān kě fá yǔ』?  wú yīng zhī yuē 『kě』,  bǐ rán'ér fá zhī yě. 

       bǐ rú yuē 『shú kěyǐ fá zhī』?  zé jiāng yīng zhī yuē : 『wéi tiān lì,  zé kěyǐ fá zhī.』 

       ​jīn yǒu shārénzhě,  huò wèn zhī yuē『rén kě shā yǔ』?  zé jiāng yīng zhī yuē『kě』

       bǐ rú yuē『shú kěyǐ shā zhī』?  zé jiāng yīng zhī yuē : 『wéi shì shī,  zé kěyǐ shā zhī.』 

       jīn yǐ Yān fá Yān,  hé wéi quàn zhī zāi ?」 
           

     【제나라가 연나라를 정벌하였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 "선생께서 제나라에게 연나라를 치라고

       ​권하셨다고 하는데,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 없다.  '심동'이 연나라를 정벌해도 되느냐고 묻기에, 내가 가능하다고 대답했더니, 

       그들이 스스로 그렇다고 여겨서 정벌한 것이다. 그가 만약 '누가 정벌할 수 있을까요 ?'라고 물었다면, 

       나는 장차 말하기를 : '하늘의 위임을 받은 자만이 정벌할 수 있을 것이오'라고 했을 것이다. 

       지금 여기에 사람을 죽인 자가 있는데, 어떤 사람이 나에게 '이 살인자를 죽여도 됩니까 ?'하고 물으면

       나는 마땅히 '된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가 만약 나에게 '누가 그를 죽일 수 있습니까 ?'라고 묻는다면,

       나는 마땅히 '법관(士師)이라야 죽일 수 있습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연나라와 다름없는 나라가 연나라를 정벌한 셈이니, 어찌 내가 권하였겠는가?"라고 하였다.】


   

18.  燕人畔.  王曰:「吾甚慚於孟子.」  陳賈曰:「王無患焉.  王自以為與周公, 孰仁且智?」

      王曰:「惡!是何言也?」 曰:「周公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  知而使之, 是不仁也;

      不知而使之, 是不智也.  仁智, 周公未之盡也, 而況於王乎?賈請見而解之.」

      (연인반 왕왈 : 오심참어맹자. 진가왈 : 왕무환언 왕자이위여주공, 숙인차지 ? 

       왕왈 : 「오 ! 시하언야 ?」 왈 : 「주공사관숙감은, 관숙이은반.  지이사지, 시불인야 ;

       불지이사지, 시불지야.  인지, 주공미지진야, 이황어왕호 ? 가청견이해지.」 

 

       [Yān rén pàn.  wáng yuē : 「wú shèn cán yú Mèngzǐ.」

       ChénJiǎ yuē : 「wáng wú huàn yān.  wáng zì yǐwéi yǔ Zhōugōng,  shú rén qiě zhì ?」​

       wáng yuē  : 「wù !  shì hé yán yě ?」 yuē : 「Zhōugōng shǐ Guǎnshū jiān Yīn,  Guǎnshū yǐ Yīn pàn.   

       ​zhī ér shǐ zhī, shì bù rén yě ;  bù zhī ér shǐ zhī,  shì bù zhì yě. 

       ​rén zhì,  Zhōugōng wèi zhī jìn yě,  érkuàng yú wáng hū ?  Jiǎ qǐng jiàn ér jiě zhī.」


      【연나라 사람들이 제나라의 통치에 반기를 들었다.  

       제나라 왕이 말하기를 :  " 내가 '맹자'에게 매우 부끄럽다."라고 하였다. 
       '진가'가 묻기를 : " 왕께서는 근심하지 마십시오. 왕께서 '주공'과 비교하신다면 누가 더 어질고,

       지혜롭다고 생각하십니까 ?"라고 하자.  왕이 대답하기를 :  "아니! 그게 무슨 말인가 !"라고 하였다. 
       '진가'가 말하기를 : " 은나라가 멸망한 뒤에 '주공'이 자기 형 '관숙'을 시켜서 은나라의 유민을 감독하게

       하였는데, '관숙'이 은나라에서 반기를 들었습니다. 이렇게 될 것을 알고도 시켰다면 이것은 어질지 못함이요, 

       알지 못하고 썼으면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입니다. 어짐과 지혜는 '주공'조차도 다하지 못하셨는데,

       하물며 왕께서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  제가 '맹자'를 만나 뵙고 해명해 드리겠습니다."라고 하였다. 】

 

      見孟子, 問曰:「周公何人也?」 曰:「古聖人也.」

      曰:「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也, 有諸?」  曰:「然.」

     ​ 曰:「周公知其將畔而使之與?」   曰:「不知也.」
      (견맹자, 문왈 : 「주공하인야 ?」  왈 : 「고성인야.」

       ​왈 : 「사관숙감은, 관숙이은반야, 유제 ?」  왈 : 「연.」

       ​왈 : 「주공지기장반이사지여 ?」  왈 : 「부지야.」  
           

       [jiàn Mèngzǐ,  wèn yuē : 「Zhōugōng hé rén yě ?」   yuē : 「gǔ shèngrén yě.」

       ​yuē : 「shǐ  Guǎnshū  jiān Yīn,  Guǎnshū yǐ Yīn pàn yě,  yǒu zhū ?」   yuē : 「rán.」

       ​yuē : 「Zhōugōng zhī qí jiāng pàn ér shǐ zhī yǔ ?」 yuē : 「bùzhī yě.」  
           

     【'진가'가 '맹자'를 뵙고 묻기를 :  "'주공'은 어떤 사람입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옛 성인이시다."라고 하였다. 
       '진가'가 묻기를 : "'관숙'에게 은나라를 감독하게 했는데 '관숙'이 은나라 유민을 반기하였다는데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그렇다."라고 하였다.

       '진가'가 묻기를 : "'주공'은 '관숙'이 반기를 들 것을 알고 썼을까요 ?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 알지 못하셨다. "라고 하였다.  

 

     「然則聖人且有過與?」 曰:「周公, 弟也;管叔, 兄也.  周公之過, 不亦宜乎?

      ​且古之君子, 過則改之;今之君子, 過則順之.  古之君子, 其過也, 如日月之食, 民皆見之;

      及其更也, 民皆仰之. 今之君子, 豈徒順之, 又從為之辭.」
      (「연즉성인차유과여 ?」 왈 :「주공, 제야 ; 관숙, 형야.  주공지과, 불역의호 ? 

       차고지군자, 과즉개지 ; 금지군자, 과즉순지.  고지군자, 기과야, 여일월지식, 민혼견지 ;

       급기경야, 민개앙지.   금지군자, 기도순지, 우종위지사.」


       (「ránzé shèngrén qiě yǒu guò yǔ ?」 yuē : 「Zhōugōng, dì yě ;  Guǎnshū, xiōng yě. 

       Zhōugōng zhī guò,  bù yì yí hū ?  qiě gǔ zhī jūnzǐ,  guò zé gǎi zhī ;  jīn zhī jūnzǐ,  guò zé shùn zhī.

​       gǔ zhī jūnzǐ,  qí guò yě,  rú rì yuè zhī shí,  mín jiē jiàn zhī ; 

       ​ jí qí gèng yě,   mín jiē yǎng zhī.  jīn zhī jūnzǐ,  qǐ tú shùn zhī,  yòu cóng wéi zhī cí.」


      【 '진가'가 묻기를 : "그렇다면 성인도 허물이 있습니까?"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주공'은 아우요, '관숙'은 형이니, '주공'의 허물은 있을 수 있는 일이 아니었겠는가 ?  
       또 옛날의 군자는 허물이 있으면 고쳤는데,  요즘의 군자는 허물이 있어도 그대로 밀고 나간다.
       옛날의 군자는 그 허물이 일식이나 월식 같아서 백성들 모두가 그것을 보았고,

       그 허물을 고치게 되면 백성들 모두가 그를 우러러 보았는데, 요즘의 군자는 어찌 된 탓인지 허물이 있어도

       그대로 밀고 나갈 뿐만 아니라 변명까지 하는구나."라고 하였다.】


   

19.  孟子致為臣而歸.  王就見孟子,  曰:「前日願見而不可得, 得侍, 同朝甚喜. 

      今又棄寡人而歸, 不識可以繼此而得見乎?」 對曰:「不敢請耳, 固所願也.」
      (맹자치위신이귀.  왕취견맹자,  왈 : 「전일원견이불가득, 득시, 동조심희. 

       ​금우기과인이귀, 불식가이계차이득견호 ?」  대왈 : 「불감청이, 고소원야.」


       [Mèngzǐ zhì wèi chén ér guī.  wáng jiù jiàn Mèngzǐ,  

       yuē : 「qiánrì yuàn jiàn ér bùkě de,  děi shì,  shì cháo shèn xǐ. jīn yòu qì guǎrén ér guī, 

       ​bù shí kěyǐ jì cǐ ér dé jiàn hū ?」  duì yuē : 「bùgǎn qǐng ěr,  gù suǒ yuàn yě.」
            

     【'맹자'가 경의 자리를 내놓고 물러나려고 하였다.  

       ​그러자 왕이 '맹자'를 찾아와서 묻기를 : "전에는 뵙고 싶어도 뵙지 못하다가 겨우 모시게 되어서

       온 조정이 매우 기뻤습니다. 그런데 이제 다시 과인을 버리고 돌아가시려고 하니

       이 다음에 계속해서 뵐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감히 청하지는 못하지만, 진실로 다시 뵙기를 원하는 바입니다."라고 하였다.

 

      他日, 王謂時子曰:「我欲中國而授孟子室, 養弟子以萬鍾, 使諸大夫國人皆有所矜式. 

      子盍為我言之?」 時子因陳子而以告孟子, 陳子以時子之言告孟子. 

      孟子曰:「然.  夫時子惡知其不可也? 如使予欲富, 辭十萬而受萬, 是為欲富乎?」 
       (타일, 왕위시자왈 : 「아욕중국이수맹자실, 양제자이만종, 사제대부국인개유소긍식. 

       자합위아언지 ?」 시자인진자이이고맹자, 진자이시자지언고맹자.

​       맹자왈 :  부시자악지기불가야 ? 여사여욕부, 사십만이수만, 시위욕부호 ? 


       [tā rì,  wáng wèi Shízǐ yuē : 「wǒ yù zhōng guó ér shòu Mèngzǐ shì, yǎng dìzǐ yǐ wàn zhōng,

       shǐ zhū dàfū guórén jiē yǒu suǒ jīn shì. zǐ hé wèi wǒ yán zhī ?」 Shízǐ yīn Ché zǐ ér yǐ gào Mèngzǐ,  

       Chénzǐ yǐ Shízǐ zhī yán gào Mèngzǐ.  Mèngzǐ yuē : 「rán.  fú Shízǐ wū zhī qí bùkě yě ? 

      ​ rú shǐ yǔ yù fù,  cí shíwàn ér shòu wàn,  shì wéi yù fù hū ? 」 


     【그 후에 왕이 '시자'에게 말하기를 :  "내가 나라의 한가운데에 '맹자'의 집을 마련해 주고,

       만종의 녹을 주어 그가 제자를 양성하여, '맹자'로 하여금 여러 대부들과 나라 사람들이 모두 공경하고

       본받을 수 있게 하고 싶은데, 그대가 나를 위하여 '맹자'에게 대신 말을 전해주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시자'가 '맹자'의 제자인 '진자'(진진)를 통하여 '맹자'에게 전달해 달라고 부탁하자, 

       진자'가 '시자'의 말을 '맹자'에게 고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 "그렇다. 저 '시자'가 어찌 그것이 불가능한 줄을 알겠느냐 ?  ​

       ​만일 내가 부자가 되고 싶었다면 객경이 되었을 때 받던 10만 종의 녹을 사양하고 1만을 받았겠느냐 ? 

       ​이것이 부자가 되고 싶어하는 자의 짓이겠느냐 ?라고 하였다.

            

      季孫曰:『異哉子叔疑!使己為政, 不用, 則亦已矣, 又使其子弟為卿. 人亦孰不欲富貴?

      而獨於富貴之中, 有私龍斷焉.』  古之為市也以, 其所有易其所無者, 有司者治之耳. 

      ​有賤丈夫焉, 必求龍斷而登之以, 左右望而罔市利. 

      人皆以為賤, 故從而征之.  征商, 自此賤丈夫始矣.
      (계손왈 : 『이재자숙의 ! 사기위정, 불용, 즉역이의, 우사기자제위경. 인역숙불욕부귀 ?

       이독어부귀지중, 유사용단언.』 고지위시야이, 기소유역기소무자, 유사자치지이.  

       ​유천장부언, 필구용단이등지이,  좌우망이망시리.

       ​인개이위천, 고종이정지.  정상, 자차천장부시의.)
       

       [Jìsūn yuē : 『yì zāi Zǐshūyí !  shǐ jǐ wéi zhèng,  búyòng,  zé yì yǐ yǐ,  yòu shǐ qí zǐdì wéi qīng. 

       rén yì shú bù yù fùguì ?  ér dú yú fùguì zhī zhōng,  yǒu sī lóng duàn yān.』

       ​gǔ zhī wéi shì yě yǐ,  qí suǒyǒu yì qí suǒ wú zhě,  yǒusī zhě zhì zhī ěr. 

       ​yǒu jiàn zhàngfu yān,  bì qiú lóngduàn ér dēng zhī yǐ,   zuǒyòu wàng ér wǎng shì lì.

       ​rén jiē yǐwéi jiàn,  gù cóng'ér zhēng zhī.  zhēng shāng,  zìcǐ jiàn zhàngfu shǐ yǐ.]


     【'계손'이 말하기를 : '참 이상하구나 '자숙의'여 !  임금이 자기에게 정사를 맡겼다가 말을 들어주지 않으면

       벼슬을 그만 둘 것이지, 또  자기의 자식을 경이 되게 하는구나. 사람마다 누구인들 부귀를 바라지 않겠는가 ? 

       ​자숙의는 유독 부귀하면서도 또 사사로이 부귀를 농단(壟斷 : 이익을 독점하다)하려 하는구나 '라고 하였다. 
       예전의 시장거래는 자기가 가진 것과 자기가 없는 것을 바꾸는 것으로, 유사(책임자)는 세금을 걷지 않고

       분쟁을 조정하는 일만 하였다. 그런데 어떤 야비한 사람이 시장 옆의 높은 언덕을 찾아 올라가서

       좌우로 교역 상황을 살펴가며 시장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그를 야비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그 사내에게 세금을 부과하게 되었는데. 상인에게 세금을 거두게 된 것이

       이 야비한 사람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20.  孟子去齊, 宿於晝.  有欲為王留行者, 坐而言.  不應, 隱几而臥. 

      客不悅曰:「弟子齊宿而後敢言, 夫子臥而不聽, 請勿復敢見矣.」 

      曰:「坐!我明語子.  昔者魯繆公無人乎子思之側, 則不能安子思;泄柳、申詳,

      無人乎繆之側, 則不能安其身. 子為長者慮, 而不及子思, 子絕長者乎? 長者絕子乎?」) 

​       (맹자거제, 숙어주.  유욕위왕유행자, 좌이언.  불응, 은궤이와.

       객불열왈 : 「제자제숙이후감언, 부자와이불청, 청물복감견의.」

       ​왈 : 「좌 ! 아명어자.  석자로목공무인호자사지측, 즉불능안자사 ;  설유, 신상,

       무인호목공지측, 즉불능안기신. 자위장자려, 이불급자사, 자절장자호 ? 장자절자호 ? 」] 


       [Mèngzǐ qù Qí,  sù yú Zhòu.  yǒu yù wèi wáng liú xíngzhě,  zuò ér yán.  bùyīng,  yǐn jǐ ér wò.

       ​kè búyuè yuē : 「dìzǐ qí sù ér hòu gǎn yán,  fūzǐ wò ér bù tīng, qǐng wù fù gǎn jiàn yǐ.」

       ​yuē : 「zuò ! wǒ míng yǔ zǐ.  xī zhě Lǔ Miàogōng wú rén hū Zǐsī zhī cè, zé bùnéng ān Zǐsī  ; 

       ​Xièliǔ,  Shēnxiáng,  wú rén hū Miàogōng zhī cè,  zé bùnéng ān qí shēn.

       ​zǐ wèi zhǎngzhě lǜ,  ér bùjí Zǐsī,  zǐ jué zhǎngzhě hū ?  zhǎngzhě jué zǐ hū ? 」


     【'맹자' 제나라를 떠나서 "주" 땅에서 묵게 되었다. 왕을 위하여 '맹자'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려는 사람이

       찾아와서 앉아 말을 하였다.  '맹자'는 그 말에 응대하지 않고 안석에 기대어 누워 있었다. 
       손님이 불쾌해 하며 말하기를 : " 제가 정성껏 재계를 한 뒤에 찾아와서 감히 말씀드렸는데,

       선생님께서는 누워 계시면서 들어주지 않으시니, 다시는 찾아뵙지 말아야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 " 앉으시오. 내가 분명히 그대에게 말하리다. 예전에 노나라 '목공'은 '자사'의 곁에

       자기 성의를 전달할 사람이 없으면, '자사'가 떠나갈까 염려하여 '자사'를 편안하게 해주지 못했고 ; 

       ​'설류'와 '신상'은 '목공'의 곁에 제대로 보좌해 줄 현명한 사람이 없으면 자기 몸을 편안히 하지 않았소.
       그런데 그대는 長者인 나를 위해 염려해 준다면서, '목공'이 '자사'를 존중한 것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니, 

       그대가 나를 거절한 것이겠소 ?  내가 그대를 거절한 것이겠소 ?"라고 하였다.】

         
  

21.  孟子去齊.  尹士語人曰:「不識王之不可以為湯武, 則是不明也; 識其不可, 然且至,

     則是干澤也. 千里而見王, 不遇故去.  三宿而後出晝, 是何濡滯也? 士則茲不悅.」
      (맹자거제.  윤사어인왈 :「불식왕지불가이위탕무, 즉시불명야 ; 식기불가, 연차지,

       즉시간택야. 천리이견왕, 불우고거.  삼숙이후출주, 시하유체야 ?  사즉자불열.」


       [Mèngzǐ qù Qí.  Yǐnshì yǔ rén yuē : 「bù shí wáng zhī bùkě yǐ wéi Tāng Wǔ, zé shì bùmíng yě ; 

       ​shí qí bùkě,  rán qiě zhì,  zéshì gàn zé yě.  qiānlǐ ér jiàn wáng,  bù yù gù qù.

       ​sān sù ér hòu chū Zhòu,  shì hé rú zhì yě ?  shì zé zī búyuè.」


     【'맹자'께서 제나라를 떠났다. '윤사'가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 "왕이 '탕'왕이나 '무왕'같이 성군이 될 수

       없다는 걸 모르고 왔다면, 이것은 현명하지 못한 것이며, 성군이 될 수 없을 줄 알고도 왔다면

       이것은 혜택(벼슬)을 구하려 한 것이다. 맹자는 천리 길을 와서 왕을 만나보고 뜻이 같지 않아 떠나가면서도,
       사흘이나 묵고 난 뒤에 "주"땅을 떠났으니 왜 그리 지체하였는가 ? 나는 그 행동이 불쾌하다."라고 하였다.】
   
      高子以告.  曰:「夫尹士惡知予哉? 千里而見王, 是予所欲也;不遇故去, 豈予所欲哉 ? 

      予不得已也.  予三宿而出晝, 於予心油以為速. 王庶幾改之.  王如改諸, 則必反予. 

      夫出晝而王不予追也, 予然後浩然有歸志.  予雖然, 豈舍王哉? 王由足用為善.

      王如用予, 則豈徒齊民安, 天下之民舉安.  王庶幾改之, 予日望之. 予豈若是小丈夫然哉?

      諫於其君而不受, 則怒, 悻悻然見於其面.  去則窮日之力而後宿哉?」

      尹士聞之曰:「士誠小人也.」
      (고자이고.  왈 : 「부윤사오지여재 ? 천리이견왕, 시여소욕야 ; 불우고거, 기여소욕재 ?  

       ​여부득이야.  여삼숙이출주, 어여심유이위속.  왕서기개지.  왕여개제, 즉필반여. 

       부출주이왕불여추야, 여연후호연유귀지. 여수연, 기사왕재 ?  왕유족용위선. 

       왕여용여, 즉기도제민안, 천하지민거안.  왕서기개지, 여일망지.  여기약시소장부연재 ?

       ​간어기군이불수, 즉노, 행행연견어기면.  거즉궁일지력이후숙재 ?」 윤사문지왈 : 「사성소인야.」


       [Gāozǐ yǐ gào.  yuē : 「fū Yǐnshì wū zhī yǔ zāi ?  qiānlǐ ér jiàn wáng,  shì yǔ suǒ yù yě ; 

       bù yù gù qù,  qǐ yǔ suǒ yù zāi ?  yǔ bùdéyǐ yě.   yǔ sānxiǔ ér chū Zhòu,  yú yǔ xīn yóu yǐwéi sù.

       ​wáng shùjī gǎi zhī.  wáng rú gǎi zhū,  zé bì fǎn yǔ.  fū chū Zhòu ér wáng bù yǔ zhuī yě, 

       yǔ ránhòu hàorán yǒu guī zhì.  yǔ suīrán,  qǐ shě wáng zāi ?  wáng yóu zú yòng wéi shàn.  

       wáng rú yòng yǔ,  zé qǐ tú Qí mín ān,  tiānxià zhī mín jǔ ān.  wáng shùjī gǎi zhī,  yǔ rì wàng zhī. 

       ​yǔ qǐ ruò shì xiǎo zhàngfu rán zāi ?  jiàn yú qí jūn ér bù shòu,  zé nù, xìngxìng rán jiàn yú qí miàn. 

       qù zé qióng rì zhī lì ér hòu sù zāi ?」  Yǐnshì wén zhī yuē : 「shì chéng xiǎorén yě.」


     【'고자'가 이 말을 '맹자'께 고하였다.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 그 '윤사'가 어떻게 나를 알겠는가 ? 

       천리길을 와서 왕을 만나보는 것은 내가 원해서 였지만, 뜻이 같지 못해서 떠나 가는 것이 어찌 내가 원하던

       바 였겠느냐 ?  내가 마지못해 떠나는 것이다.  내가 사흘을 머물고 "주"땅을 떠났으나,

       내 마음에는 오히려  빨랐다는 생각이 든다. 그때 나는 왕이 혹시라도 마음을 바꾸시길 바랐으며,

       왕이 만일 마음을 바꾸신다면 반드시 나를 되돌리게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주"땅에서 떠날 때까지 왕이 나를 뒤쫓아 오지 않았으므로, 내가 그런 뒤에야 호연하게 고향으로

       돌아갈 뜻을 가졌던 것이다.  내 비록 그러하지만, 어찌 그가 훌륭한 임금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버리겠는가?

       왕은 좋은 정치를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왕이 만일 나를 써 준다면 어찌 제나라 백성만을 편안하게 하겠는가 ? 

    ​   온 천하의 백성이 다 편안하여 질 것이다.  왕이 혹시라도 마음을 바꾸시기를 나는 날마다 바라고 있다. 

       내 어찌 이 소인배 같이 굴겠는가 ?  임금에게 간하였다가 받아주지 않는다고 곧 화를 내며

       씩씩거리는 빛을 그 얼굴에 나타내고 그 나라를 떠나면서, 하루 종일 온 힘을 다하여 간 후에

       유숙하는 것 같은 짓을 할 수 있겠느냐 ?"라고 하였다. 
       '윤사'가 이 말을 듣고 말하기를 :  " 나는 확실히 소인배로다 "라고 하였다.】

   
  

22.  孟子去齊. 充虞路問曰:「夫子若有不豫色然. 前日虞聞諸夫子曰:『君子不怨天, 不尤人.』」

      ​曰:「彼一時, 此一時也.  五百年必有王者興, 其間必有名世者.  由周而來, 七百有餘歲矣. 

      以其數則過矣, 以其時考之則可矣. 夫天, 未欲平治天下也;

       如欲平治天下, 當今之世, 舍我其誰也? 吾何為不豫哉?」

       (맹자거제.  충우로문왈 : 「부자약유불예색연.  전일우문제부자왈 : 『군자불원천, 불우인.』」

       ​왈 : 「피일시, 차일시야.  오백년필유왕자흥, 기간필유명세자.  유주이래, 칠백유여세의. 

       이기수즉과의, 이기시고지즉가의. 부천, 미욕평치천하야 ;

       여욕평치천하, 당금지세, 사아기수야 ? 오하위불예재 ?」

       [Mèngzǐ qù Qí.  Chōngyú lù wèn yuē : 「fūzǐ ruò yǒu bú yù sè rán. qiánrì Yú wén zhū fūzǐ yuē :

      『jūnzǐ bù yuàn tiān,  bù yóu rén.』」

       ​yuē : 「bǐ yìshí,  cǐ yìshí yě.  wǔbǎinián bì yǒu wángzhě xīng, qí jiān bì yǒumíng shì zhě. 

 

       yóu Zhōu ér lái,  qībǎi yǒu yú suì yǐ.  yǐ qí shù zé guò yǐ,  yǐ qíshí kǎo zhī zé kě yǐ.

       ​fū tiān, wèi yù píngzhì tiānxià yě ; rú yù píngzhì tiānxià, dāng jīn zhī shì,  

       shě wǒ qí shéi yě ? wú hé wéi bú yù zāi ?」

 

      【'맹자'가 제나라를 떠날 때 '충우'가 길에서 묻기를 : "선생님께 유쾌하지 않은 기색이 있는 듯 하십니다.  

       전날에 제가 선생님께서 말하신 : '군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아니하며,

       사람을 탓하지 아니한다'라는 말씀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라고 하자. 
       
'맹자'가 말하기를 : "저 때도 한 때이며, 이때도 한 때이다.  대체로 500년에 반드시 王者가 일어 나고, 

       그때에는 반드시 세상에 이름을 떨치는 賢者가 있게 마련이다.

       ​주나라 '문', '무'왕 이래로 700여 년이 지났다. 그 햇수로 떠져보면 성인이 날 때가 지났으니,

       그 때라고 생각한다면 지금을 그 때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무릇 하늘이 세상을 태평하게 다스리려고 하지 않는 것이니, 만일 세상을 태평하게 다스리고자 한다면,

       지금 이 세상에서 나 외에 누가 이 대임을 맡으랴 ? 내 어찌하여 기뻐하지 않겠는가 ?"라고 하였다. 】

 

23.  孟子去齊, 居休.  公孫丑問曰:「仕而不受祿, 古之道乎?」

      ​曰:「非也.  於崇, 吾得見王.  退而有去志, 不欲變, 故不受也. 

      繼而有師命, 不可以請. 久於齊, 非我志也.」
      (맹자거제, 거휴.  공손추문왈 : 「사이불수록, 고지도호 ?」

       왈 : 「비야. 어숭, 오득견왕.  퇴이유거지, 불욕변, 고불수야.​

       ​계이유사명, 불가이청.  구어제, 비아지야.」
            

       [Mèngzǐ qù Qí,  jū Xiū.  Gōngsūnchǒu wèn yuē : 「shì ér bù shòu lù,  gǔ zhī dào hū ?」

       ​yuē : 「fēi yě.  yú Chóng,  wú dé jiàn wáng.  tuì ér yǒu qù zhì,  bù yù biàn,  gù bù shòu yě.  

       jì'ér yǒu shī mìng,  bùkěyǐ qǐng.  jiǔ yú Qí,  fēi wǒ zhì yě.」
          

      【'맹자'께서 제나라를 떠나 "휴"땅에 머물고 있었다.
       '공손추'가 묻기를 : "벼슬을 하고 녹을 받지 않는 것이 예전의 법도입니까 ?"라고 하자. 
       '맹자'가 대답하기를 : " 아니다.  "숭" 땅에서 내가 처음 제나라 왕을 만나 뵙고 나오면서부터

       떠날 뜻을 가지게 되었다, 그 뜻을 바꾸고 싶지 않았으므로 녹을 받지 않은 것이다.

​       그런데 계속 군사 동원령이 있는 바람에 떠나겠다고 청하지 못하였을 뿐이었다. 

       제나라에 오래 머무는 것은 나의 뜻이 아니었다."라고 하였다. 】

  

    

         二 篇      公 孫 丑.  下   

 

[diào] : 이를 ; 적./ 조상할 ; 조.    1. 이르다, 도달하다 2. 다다르다 3. 와서 닿다

               a. 조상하다 (조) b. 조문하다 (조) c. 문안하다 위문하다.

[qiàn] : 찐덥지 않을 ; 겸./ 혐의 ; 혐./ 만족스러울 ; 협.  1. 찐덥지 않다 2. 마음에 차지 않다

               3. 앙심을 품다 4. 불만스럽다 5. 가난 6. 의심하다(혐) c. 꺼리다.
[zhēn] : 이를 ; 진.   1. 도달하다 2. 파급되다 3. 집합하다 4. 거듭하다 5. 첨가하다 .

[kuì] : 보낼, 드릴 : 궤.     1. (음식을)보내다 2. (음식을)권하다(勸) 3. 먹이다 4. 식사

              5. 선사(膳賜: 보내준 음식이나 물품). 
[jìn] : 전별할 ; 신.      1. 전별하다(餞別: 잔치를 베풀어 작별하다) 2. 예물 3. 보배 

            4. 노자(路資) 5. 노수(路需). 
[léi] : 파리할 ; 리, 이.     1. 파리하다 2. 고달프다 3. 지치다 4. 엎지르다 5. 괴로워하다.
[hè] : 골 ; 학.     1. 골, 산골짜기 2. 도랑, 개천 3. 구렁 4. 해자(垓子) 5. 석굴, 암굴 . 

[qí] : 청개구리 ; 기./ 개미알 ; 지.     1. 청개구리 a. 개미알 (지) b. 등에(지). 
[wā] : 개구리 ; 와./ 비로소 ; 왜./ 목멜 ; 화.    1. 개구리 2. 두꺼비 3. 음란한 소리 

             a. 비로소 (왜) b. 처음, 시초  c. 목메다 (화) d. 막히다. 
[chuò] : 너그러울 ; 작.     1. 너그럽다 2. 유순하다 3. 얌전하다 4. 많다 5. 더디다.
[huān] : 기뻐할 ; 환./ 말 이름 ; 환.     1. 기뻐하다 2. 즐거워하다 3. 사이좋게 지내다.
[yíng] : 찰 ; 영.   1. 차다 2. 남다 4. 나타나다 5. 펴다 6. 끝 7. 풀다 8. 이기다 9. 바구니.
[jiǎo, xiáo] : 쾌할 ; 교./ 쾌할 ; 효.   1. 쾌하다 2. 유쾌하다 3. 기분 좋다 a. 쾌하다 (효) .
[cán] : 부끄러워할 ; 참.      1. 부끄러워하다 2. 부끄럽다 3. 부끄러움 4. 수치. 
[jǐ, jī] : 안석 ; 궤. /몇 ; 기.    1. 안석(案席: 벽에 세워 놓고 앉을 때 몸을 기대는 방석) 
[Miào, móu, jiū, liǎo, miù, mù ] : 얽을 ; 무./ 사당치레 ; 목./ 틀릴 ; 류./ 목맬 ; 규./ 

        꿈틀거릴 ; 료.    1. 얽다 2. 묶다 3. 삼(參) 열 단 a. 사당치레 (목) 
         b. 깊이 생각하는 모양. c. 성(姓)의 하나 d. 틀리다 (류).
[xiè] : 샐 ; 설./ 흩어질 ; 예.     1. 새다, 알려지다 2. 싸다, 설사하다 3. 일어나다, 발생 

             4. 없애다, 줄다 5. 아뢰다 6. 섞다 7. 통하다 8 깔보다.
[xìng] : 성낼 ; 행.     1. 성내다 2. 고집스럽다 3. 강직하다 4. 발끈하다.

 

 

 

※  原 文 .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