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Gallery

♠ 명화감상 Raffaello Sanzio(라파엘로 산치오) Italian artist. 라파엘로의 방(Stanze di Raffaello)

덕치/이두진 2020. 1. 25. 19:44



 


     http://blog.daum.net/ldj99956/2206   ← Click




♤ 라파엘로 산치오(산티)


라파엘로는 북부 이탈리아 공국 움브리아 우르비노 공작의 궁정화가 조반니 산티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11세 때 아버지마저 잃어 사제(司祭)인 숙부 밑에서 자랐다.
문화의 중심지였던 우르비노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받은 문화적 혜택과 매력적인 그의 성품 덕분에
라파엘로는 쉽게 높은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시인이며 화가였던 아버지에게서 그림을 배우다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동향인인 T.비테에게서 배웠고
움브리아파의 지도자인 피에트로 페루지노(Pietro Peruggino)의 그림공방에서 도제 수업을 받았다.


1500년 P.페루지노가 완성한 페루지아 어음교환소의 벽화 중 우의상(寓意像)은 당시 17세, 조수로서 그린 것이다.
1504년 예술의 중심지인 피렌체로 옮겨 예술적 전통에 고취되면서 F.바르톨로메오의 장대한 화면구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명암법과 바르톨로메오, 미켈란젤로의 조형법도 단시일에 익혀
페루지노의 영향을 탈피하고 피렌체파(派)의 화풍으로 발전하였다.
1508년 로마로 건너갔으며 1509년 로마교황 율리우스 2세를 위하여
바티칸궁전 내부에 있는 스탄체(Stanze) 서명실(署名室)의 벽화를 그렸다.


1511∼1514년에 제작한 바티칸궁전의 스탄차 데 엘리오도로의 벽화 《헬리오도로스의 추방》 《볼세나의 미사》
《성 베드로의 해방》 《로마에서 격퇴당하는 아틸라》 등에 나타나 있는데,
빛과 그늘을 양괴적(量塊的)으로 대치시킨 명암효과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활기를 띠었다.
1514∼1517년 바티칸궁전의 스탄차델 인첸디오의 벽화장식에도 종사하였으며,
1515년부터는 고대유적 발굴의 감독관이 되었다. 《산시스토의 성모》(드레스덴)는 이 무렵의 걸작으로
아카데믹한 형식주의가 싹트고 있으며 《산타 체칠리아》(볼로냐)에서 그 경향이 더욱 뚜렷하다.


1518년의 《레오 10세의 초상》에서는 군상(群像)을 훌륭한 솜씨로 처리하여 뛰어난 초상화가임을 증명하였다.
만년에 심혈을 기울인 《그리스도의 변용》(바티칸)을 완성하지 못한 채 37세로 요절하였으나,
천상의 신비스러운 광휘와 지상의 소란을 대조시켜 S자형의 분방한 구도로 동적 표현을 시도한 이 작품은
이미 고전양식을 해체한 것으로 바로크양식의 싹이 엿보인다.
라파엘로는 살아 있는 동안 예술가로서의 최고의 영예를 누렸다.



♤ 주요 작품

P.페루지노의 조수로 페루지아 어음교환소 벽화 중 우의상을 그림(1500)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1502~1503경)
초원의 성모(1506)
브리지워터의 성모(1507)
로마교황 율리우스 2세를 위해 바티칸궁전 내부 스탄체 서명실에 벽화를 그림(1509)
아테네학당(1511)
바티칸궁전 스탄차델 인첸디오의 벽화장식 작업(1514)
레오 10세의 초상(1518)


                                               라파엘로의 방(Stanze di Raffaello)

​              

 

 

 '라파엘로의 방(Stanze di Raffaello)'은 바티칸 궁전에 있는 '라파엘로(Raffaello)'의 작업장 이자

그의 프레스코화가 있는 방을 전시실로 꾸며놓은 곳으로 '콘스탄티누스 홀(Sala di Constantino)'

'엘리오두루스의 방(Stanza di Eliodoro)' '세냐투라의 방(Stanza della Segnatura)'

 '보르고의 화재의 방(Stanza dell'lncendio di Borgo)'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1.콘스탄티누스 홀(Sala di Constantino)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방(Sala di Constantino)'이라고 하며 이방은 기독교도들이 이교도들을 물리치고

승리를 얻는 모습관 관련된 각종 작품이 진열되어 있다. 

 

 

 

기독교를 국교화한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일생을 그린 프레스코화 '밀비오 다리의 전투(Battaglia del ponte Milvio) ' 와 '십자가 형상'은 라파엘로(Raffaello)가 밑그림을 담당한 작품이라고 한다. 이작품은 라파엘로(Raffaello)가 생전에 완성하지 못해 그의 제자들이 뒤를 이어 완성했다고 한다.

 

2.엘리오두루스의 방(Stanza di Eliodoro)

 

 

바티칸 '엘리오두루스의 방(Stanza di Eliodoro)' 는 '사원에서 추방당하는 엘리오두르스(The Expulsion of Heliodorus from the Temple)'라는 그림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곳엔 빛에 의한 극적인 명암처리가 돋보이는 프레스코화 '성 베드로의 해방(The Liberation of St Peter)' 이라는 걸작이 있다.중앙에는 천사가 잠들어 있는 베드로를 인도하는 모습이며 오른쪽에는 그를 감옥에서 빼내어 인도하는 모습 그리고 왼쪽에서 깜짝 놀란 병상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참고로 이 그림에서 그려진 배드로의 얼굴은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얼굴이라고 한다.

  그 당시 교황의 권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미루워 짐작할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3.세냐투라의 방(Stanza della Segnatura)

  

 

 

과거 교황들이 서류를 결재하던 곳으로 하때는 교회 재판소로 사용하가도 한 '서명의 방' 이라고 불리우고 있는

'세냐투라방(Stanza della Segnatura)'은 르레상스 전성기 시절에 그려져 있는 프레스코화를 감상할수 있다. 

 

이 방의 대표작은 우리들에게 너무도 잘 알려져 있는 라파엘로(Raffaello)의 '성사에 대한 토론(Disputa del Sacramento)' 이란 작품과 '아테네 학당(The Shool of Athens)' 이란 작품이다.

이중 '아테네 학당(The Shool of Athens)' 라는 작품은 작품속의 인물들은 실제 생존했던

사상가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현실주의자로 묘사되어 땅을 가리키고 있으며 '프라톤'은 이상주의자로 하늘을 가리키며

'소크라테스'는 손가락으로 자신의 주장들을 일일이 헤아리고 있다.

그리고 '알키비아데스(혹은 알렉산드로스 대왕)'는 그 말에 매료되어 듣고 있다.

뒷 모습으로 지구의를 들고 있는 사람이 '톨레마이오스'이고

턱수염에 별자리 본을 들고 있는 사람이 '자라투스트라'이다. 

 

소크라테스 가 설명하는데 딴짓하는 파란 옷의 인물이 '에스키네스(Aeschines)'

무슨 책을 보고 있는 왼쪽 아래 사람이 '피타고라스'  '자라투스트라' 와 '프톨레마이오스'

아래로 컴퍼스를 들고 기하학을 가르치는 사람이 '유클리드'이다.  

 

불편하게 앉아 책상에서 뭔가 쓰고 있는 것이 '헤라클레이토스', 넘어져 있는 반라의사람이 '디오게네스'이다.

그리고 '자라투스트라'와 '프톨레마이오스' 오른쪽에 얼굴만 나오는 '라파엘로' 자신이 있는데,

자신이 이 위대한 사람들과 함께 한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이 표현된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

 

이 작품은 고대 문명의 부활을 꿈꾸며 인간과 예술과 과학을 찬미한 르레상스의 정신이 그대로 느껴지는 듯한

그런 작품이다.

 

4.보르고의 화재의 방(Stanza dell'lncendio di Borgo)

 

 

 

 '보르고의 화재의방(Stanza dell'lncendio di Borgo)'에는 네점의 역사화 역시 라파엘로(Raffaello)의 제자들에 의해 완성되었는데 그 중 화재를 신앙의 힘으로 진화하던 교황 레오 4세의 일화를 보고 그렸다는 '보르고의 화재(Stanza dell'lncendio di Borgo)' 는 라파엘로(Raffaello)가 직접 구상을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