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強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장욕흡지, 필고장지 ;
장욕약지, 필고강지 ;
장욕폐지, 필고흥지 ;
장욕탈지, 필고요지.
시위미명.)
[장차 상대를 움츠리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펼칠 수 있게 해 주고 ;
장차 상대를 약화시키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해 주며 ;
장차 상대를 없애버릴 생각이면, 반드시 먼저 흥성하게 해 주고 ;
장차 상대를 빼앗으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
이것을 드러나지 않은 깊은 지혜라고 한다. ]
♠ 내가 의무감과 신념에 의해 행동하고 있는 한,
어떠한 욕을 먹더라도 아무렇지가 않다.
해가 되기보다는 오히려 유익이 되기 때문이다.
- 원스턴 처칠 -
資料 編輯者 德庤 / 李 斗 振 .
'한문 격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람 있는 삶.《戰國策》 (0) | 2020.01.06 |
---|---|
♠ 仁의 실마리《孟子》 (0) | 2020.01.06 |
♠ 처신(處身)《 孟子 》 (0) | 2020.01.06 |
♠ 배려하는 삶.《 戰國策 》 (0) | 2020.01.06 |
♠ 잃어버린 마음을 찾아《 孟子 》 (0) | 2020.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