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雅. 白華之什(백화지십) 제1편 백화(白華)
毛公이 以南陔以下三篇으로 無辭라.
故로 升魚麗하야 以足鹿鳴什數하고 而附笙詩三篇於其後하야
因以南有嘉魚로 爲次什之首하니 今悉依儀禮正之하노라.
모공은 남해 이하 세 편으로 가사가 없다.
그러므로 어리편을 끌어 올려서 녹명의 열 수를 채우고 생시 세 편을 그 뒤에 부쳐서
남유가어편으로 다음 십 편의 머리를 삼았으니 지금 다 의례에 의거하여 바로 잡았다.
笙詩也라. 說見上下篇이라.
생시라. 설명이 상하편에 보인다..
『毛詩序』
白華는 孝子之潔白也라.
백화는 효자의 결백함을 읊은 詩이다.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文 飜譯者 德庤 / 李 斗振
'詩經 (시경) 아(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雅. 白華之什(백화지십) 3편 어리6장(魚麗六章) (1) | 2023.10.17 |
---|---|
小雅. 白華之什(백화지십) 제2편 화서(華黍) (0) | 2023.10.17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10편 남해(南陔) (0) | 2023.10.17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9편 체두4장(杕杜四章) (0) | 2023.10.17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8편 출거6장(出車六章) (1)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