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9편 체두4장(杕杜四章)
有杕之杜, 有睆其實. 王事靡盬, 繼嗣我日.
日月陽止, 女心傷止, 征夫遑止.
有杕之杜, 其葉萋萋. 王事靡盬, 我心傷悲.
卉木萋止, 女心悲止, 征夫歸止.
陟彼北山, 言采其杞. 王事靡盬, 憂我父母.
檀車幝幝, 四牡痯痯, 征夫不遠.
匪載匪來, 憂心孔疚. 期逝不至, 而多為恤.
卜筮偕止, 會言近止, 征夫邇止.
1장. 有杕之杜여 有睆其實이로다. 王事靡盬라 繼嗣我日이로다.
日月陽止라 女心傷止니 征夫遑止로다.
유체지두여 유환기실이로다. 왕사미고라 계사아일이로다.
일월양지라 여심상지니 정부황지로다. 賦也라
홀로 우뚝 서있는 아가위나무여, 가지에 열매가 주렁주렁 달려 있도다.
나라의 일을 견고하게 아니할 수 없는지라, 우리의 군역하는 날이 계속 이어지도다.
세월의 따뜻한 기운이 끝나고, 여자의 마음 아프기에 이르니,
출정한 사람의 바쁨도 끝나리로다.
賦也라. 睆은 實貌라. 嗣는 續也라. 陽은 十月也라. 遑은 暇也라. 此는 勞還役之詩라.
故로 追述其未還之時에 室家, 感於時物之變하고 而思之하야 曰特生之杜여 有睆其實하니,
則秋冬之交矣요 而征夫以王事로 出하야 乃以日繼日하야 而無休息之期라가
至于十月에 可以歸어늘 而猶不至라. 故로 女心悲傷而曰征夫亦可以暇矣니,
曷爲而不歸哉리오 하니라. 或曰興也라 하니 下章倣此라.
부라. 환은 실한(열매가 맺힌) 모양이다. 사는 계속함이다. 양은 시월이다. 황은 여가다.
이는 부역에서 돌아오는 때에 위로하는 시다. 그러므로 돌아오지 않았을 때에
식구들이 때와 물건이 변하는 것을 느끼고 생각하여 이르기를
우뚝 솟아난 아가위여, 그 열매가 주렁주렁하니 가을과 겨울이 바뀌는 때이고,
출정한 지아비가 왕의 일로서 나아가 이에 날로써 날을 이어 쉴 기약이 없다가
시월에 이르렀으니 돌아올 때인대도 아직 이르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자 마음이 슬프고 상하여 말하기를 : " 출정한 남편 또한 여유가 있을 것인대
어찌하여 돌아오지 않는가."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 흥기한 시라 하니, 아래장도 이와 같도다..
2장. 有杕之杜여 其葉萋萋로다. 王事靡盬라 我心傷悲호라.
卉木萋止라 女心悲止니 征夫歸止로다.
유체지두여 기엽처처로다. 왕사미고라 아심상비호라.
훼목처지라 여심비지니 정부귀지로다. 賦也라
홀로 우뚝 서있는 아가위나무여, 그 잎사귀가 무성하도다.
나라의 일을 견고하게 하지 아니할 수 없으니, 내 마음이 속상하고 아프노라.
초목의 무성함이 끝나는 지라, 여자의 마음 아프기에 이르니,
출정한 남편이 돌아오리로다.
賦也라. 萋萋는 盛貌니 春將莫之時也라. 歸止는 可以歸也라.
부라. 처처는 성한 모양이니 봄이 장차 저물어지는 때다. 귀지는 가히 돌아옴이다.
3장. 陟彼北山하여 言采其杞하라. 王事靡盬하니 憂我父母로다.
檀車幝幝하고 四牡痯痯하니 征夫不遠이로다.
척피북산하여 언채기기하라. 왕사미고하니 우아부모로다.
단거천천하고 사모관관하니 정부불원이로다. 賦也라
저 북산에 올라가 그 구기자를 뜯노라.
나라의 일을 견고하게 하지 아니할 수 없으니. 우리 부모님이 근심하시도다.
박달나무 수레는 부서지고, 네 마리 수컷 말도 병들고 지쳤으니
출정한 남편도 돌아올 날이 멀지 않음이로다.
賦也라. 檀은 木堅하니 宜爲車라. 幝幝은 敝貌라. 痯痯은 罷貌라.
登山采杞則春已暮而杞可食矣라. 蓋託以望其君子而念其以王事로 詒父母之憂也라.
然이나 檀車之堅而敝矣요 四牡之壯而罷矣니 則征夫之歸도 亦不遠矣라.
부라. 박달나무는 나무가 단단하니 수레를 만드는데 마땅하니라. 천천은 헤진 모양이고,
관관은 피곤한 모양이라. 산에 올라가 구기자를 뜯는다는 것은 봄이 이미 저물어
구기자잎을 가히 먹을 수 있음이라. 대개 의탁하여 써 그 군자를 바라면서도 그 왕사로써
부모에게 근심을 끼쳤음을 생각함이라. 그러나 박달나무 수레가 견고함에도 헤졌고,
네 마리 말이 건장한데도 피곤해졌으니 출정 간 남편이 돌아옴도 또한 멀지 않음이라.
※ 구기자(枸杞子)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 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노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높은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 중
나이 어린 소녀가 회초리를 들고서 이빨이 다 빠지고 흰 수염이 난 노인을 쫓아다니는
이상한 광경을 보고 소녀에게 호통을 치니 소녀는 자기가 300살이요,
그 노인은 나의 증손자라 하였다.
소녀는 구기자를 먹어서 그렇다 대답하고 구기자 먹는 법을 관리에게 일러주니
"구기자는 1월에 뿌리를 캐서 2월에 달여 먹고 3월에는 줄기를 잘라서 4월에 달여 먹고
5월에 잎을 따서 6월에 차로 끓여 마시고 7월에는 꽃을 따서 8월에 달여 먹으며
9월에는 붉게 익은 열매를 따서 말렸다가 두고두고 다려 먹는데,
이와같이 구기자는 1년 내내 먹을 수 있습니다"하였다.
관리가 집으로 돌아와 구기자를 먹어보니 정말로 들은 대로 효험이 있었다고 한다.
구기자는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가 유정(遺精)하고,
임신을 못 시킬 때 사용한다.
음혈이 허약해져 얼굴이 누렇고 머리털이 희어지며 잠을 못 이룰 때나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폐기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도 사용한다. 봄에 나는 순은 뜯어서 나물로 무쳐먹기도 한다.
위 시구에서 때는 늦봄이기에 구기자를 뜯는 것은 그 줄기와 잎을 뜯는 것으로,
부역 나가 지친 남편이 돌아오면 원기회복을 위해 달여 주기 위해서임을 알 수 있다.
4장. 匪載匪來하니 憂心孔疚어늘. 期逝不至니 而多為恤이로다.
卜筮偕止하여 會言近止하니 征夫邇止로다.
비재비래하니 우심공구어늘. 기서불지니 이다위휼이로다.
복서해지하여 회언근지하니 정부이지로다. 賦也라
약속한 문서도 없고 사람들도 돌아오지 않으니, 근심하는 마음이 심히 병 되거늘
돌아올 날이 이미 지났는데도 돌아오지 아니하니, 이로써 더욱 마음이 슬프도다.
거북껍질과 시초로 점을 치니, 모두 돌아갈 날이 그리 오래지 않을 것이라 하니
출정한 남편도 돌아올 날이 가까우리라.
賦也라. 載는 裝이오 疚는 病이오 逝는 往이오 恤은 憂요 偕는 俱요 會는 合也라.
言征夫, 不裝載而來歸하니 固已使我로 念之而甚病矣라.
況歸期已過에도 而猶不至하니 則使我로 多爲憂恤이 宜如何哉아.
故로 且卜且筮에 相襲俱作하야 合言於繇而皆曰近矣라 하니 則征夫도 其亦邇而將至矣리라.
范氏曰以卜筮終之는 言思之切而無所不爲也라.
부라. 재는 행장이고, 구는 병이고, 서는 감이고, 휼은 근심이고, 해는 함께이고, 회는 합함이다.
출정 간 남편이 행장하여 돌아오지 아니하니 진실로 이미 나로 하여금 생각하여 심히 병 됨이다.
하물며 돌아오기로 기약함이 이미 지남에도 오히려 이르지 아니하니
곧 나로 하여금 많이 근심함이 마땅히 어떠할 것인가. 그러므로 또한 복점도 치고
또한 서점도 침에 서로 거듭 함께 지어서 말이 점사에 합하여 모두가 가까워졌다 하니
출정 간 남편도 또한 가까운 시기에 장차 이르리라 말한 것이다.
범씨가 말하기를 : " 복서로써 마친 것은 남편 생각이 간절하여 하지 않는 바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鄭氏曰遣將帥及戍役에 同歌同時는 欲其同心也오 反而勞之에 異歌異日은 殊尊卑也라.
記에 曰賜君子小人에 不同日은 此其義也라.
王氏曰出而用兵則均服同食은 一衆心也오. 入而振旅則殊尊卑 辨貴賤은 定衆志也라.
范氏曰出車는 勞率라. 故로 美其功이오 杕杜는 勞衆이라. 故로 極其情이니
先王以己之心으로 爲人之心이라. 故로 能曲盡其情하야 使民忘其死以忠於上也라.
정씨가 말하기를 : " 장수와 수자리 역군을 보낼 때에 노래를 함께 하고
때를 함께 하는 것은 그 마음을 함께 하고자 함이오,
돌아와 위로할 때에 노래를 달리하고 날짜를 달리하는 것은 높고 낮음을 분별하는 것이다.
『戰記』에 이르기를 : ' 군자와 소인에게 하사함에 날짜를 같이 하지 않는다.'함은
이러한 뜻이다.
왕씨가 말하기를 : " 출정하여 군사를 쓰는 데는 옷도 균등하고 음식도 같음은
모든 사람의 마음을 하나로 함이고, 들어와서 軍旅를 끝내면 높고 낮음을 다르게 하고
귀천을 분별함은 여러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려는 것이다.
범씨가 말하기를 : " 출거장은 장수를 위로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그 공을 찬미하였고,
체두장은 군사들을 위로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그 인정을 지극히 했으니,
선왕이 자기의 마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마음을 삼았다.
그러므로 그 정을 곡진히 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그 죽음을 잊고 윗사람에게 충성하게 한 것이다.
(『주역』 重澤兌卦 단전에 “順乎天而應乎人하야 說以先民하면 民忘其勞하고 說以犯難하면
民忘其死하나니 說之大, 民勸矣哉라” 함).
杕杜四章 章七句라
『毛詩序』
杕杜는 勞還役也라.
체두는 군역에서 돌아옴을 위로한 詩이다.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文 飜譯者 德庤 / 李 斗振
'詩經 (시경) 아(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雅. 白華之什(백화지십) 제1편 백화(白華) (0) | 2023.10.17 |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10편 남해(南陔) (0) | 2023.10.17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8편 출거6장(出車六章) (1) | 2023.10.05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7편 채미6장(采薇六章) (1) | 2023.10.05 |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6편 천보6장(天保六章) (1) | 2023.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