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風. 정풍(鄭風) 5편 청인3장(淸人三章)
清人在彭, 駟介旁旁, 二矛重英, 河上乎翱翔.
清人在消, 駟介麃麃, 二矛重喬, 河上乎逍遙.
清人在軸, 駟介陶陶, 左旋右抽, 中軍作好.
1장. 淸人在彭하니 駟介旁旁이로다, 二矛重英으로 河上乎翶翔이로다.
청인재팽하니 사개방방이로다, 이모중영으로 하상호고상이로다. 賦也라
청읍 사람이 팽 땅에 있으니 갑옷 입힌 네 마리 말이 쉬지 않고 달리도다.
두 자루 창에 붉은 장식깃을 거듭 매달고 하수 위를 선회하며 날도다.
賦也라. 淸은 邑名이니 淸人은 淸邑之人也라. 彭은 河上地名이라.
駟介는 四馬而被甲也라. 旁旁은 馳驅不息之貌라 二矛는 酋矛, 夷矛也라.
英은 以朱羽로 爲矛飾也라. 酋矛는 長二丈이오 夷矛는 長二丈四尺이니
竝建於車上이면 則其英이 重疊而見翶翔遊戱之貌라.
鄭文公이 惡高克하여 使將淸邑之兵으로 禦狄于河上할새 久而不召어늘
師散而歸에 鄭人이 爲之賦此詩라. 言其師出之久에 無事而不得歸하고
但相與遊戱如此하니 其勢必至於潰散而後已爾라.
부이다. 청은 고을 이름이니, 청인은 청읍 사람이다. 팽은 하수 가의 지명이다.
사개는 네 마리 말에 갑옷을 입힌 것이다. 방방은 달리고 몰면서 쉬지 않는 모양이다.
두 창은 추모와 이모이다. 영은 붉은 깃으로 창을 꾸민 것이다.
추모는 길이가 두 길이고, 이모는 길이가 두 길 네 척이니, 나란히 수레 위에 세우면
그 꾸민 깃이 중첩되어 펄펄 나르며 놀고 희롱하는 모양이 보인다.
정 문공이 고극을 미워하여 장차 청읍의 군사로 하여금 적(하북쪽에 있음)을
하수 가에서 막을 때에 오래 되어도 부르지 않거늘 군사가 흩어지고 돌아감에
정나라 사람이 이 시를 지어, '그 군사가 나간 지 오래됨에 일이 없는데도
돌아오지 않고 다만 서로 더불어 놀고 희롱함이 이와 같으니
그 형세가 반드시 무너지고 흩어진 뒤에나 그만둘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2장. 淸人在消하니 駟介麃麃로다, 二矛重喬로 河上乎逍遙로다.
청인재소하니 사개표표로다, 이모중교로 하상호소요로다. 賦也라
청읍 사람이 소 땅에 있으니, 갑옷 입힌 네 마리 말이 굳세고 굳세도다.
두 자루 창에 거듭 달린 고리로 하수 위를 슬슬 거닐며 노닐도다.
賦也라. 消는 亦河上地名이라. 麃麃는 武貌라. 矛之上句曰喬니 所以懸英也라.
英弊而盡하니 所存者 喬而已라.
부이다. 소는 또한 하수 가의 지명이다. 표표는 굳센 모양이다.
창 위의 고리를 교라 하니, 꾸민 것을 매다는 곳이다.
창의 꾸민 장식이 해지고 다하여 남은 것은 고리뿐이다.
3장. 淸人在軸하니 駟介陶陶로다, 左旋右抽어늘 中軍作好로다.
청인재축하니 사개도도로다, 좌선우추어늘 중군작호로다. 賦也라
청읍 사람이 축 땅에 있으니, 갑옷 입힌 네 마리 말이 유유자적하도다.
좌측에서는 수레를 돌리고, 오른쪽에서는 칼을 뽑아들거늘
장군이 좋은 용모를 보이도다.
賦也라 軸은 亦河上地名이라. 陶陶는 樂而自適之貌라.
左는 謂御在將軍之左하여 執轡而御馬者也라.
旋은 還車也라 右는 謂勇力之士 在將軍之右하여 執兵以擊刺者也라. 抽는 拔刃也라.
中軍은 謂將在鼓下居車之中하니 卽高克也라. 好는 謂容好也라 .
東萊呂氏曰言師久而不歸에 無所聊賴하여 姑遊戱以自樂하니 必潰之勢也라.
不言已潰而言將潰하니 其詞深이오 其情危矣로다.
부이다. 축은 또한 하수 위의 지명이라.
도도는 즐거워하면서 스스로 맞추는 모양이다.
좌는 말 모는 이가 장군의 왼쪽에 있으면서 고삐를 잡고 말을 모는 것이라.
선은 수레를 돌림이라. 우는 용맹하고 힘있는 군사가 장군의 오른쪽에 있으면서
병기를 잡고서 치고 찌르는 것이라. 추는 칼을 뽑음이라.
중군은 장수가 북 아래 수레 한 가운데에 있음을 이름이니 곧 고극이라.
호는 용모가 좋음을 이름이라. 동래여씨 가로대, “군사가 오래되었음에도
돌아가지 못하고 힘입을 바가 없어서 한갓 유희하면서 스스로 달래니 틀림없이
무너질 판이라는 말이라. 이미 무너졌다고 말하지 아니하고
장차 무너진다고 말했으니, 그 말이 깊고 그 뜻은 위태롭도다.”
事見春秋라. 胡氏曰人君이 擅一國之名寵이니 生殺予奪이 惟我所制耳라.
使高克으로 不臣之罪已著면 按而誅之可也, 情狀未明이면 黜而退之可也.
愛惜其才 以禮馭之도 亦可也. 烏可假以兵權으로 委諸竟上하야
坐視其離散而莫之䘏乎아 春秋書曰鄭棄其師라 하니 其責之深矣로다.
일이 『춘추』에 나타난다. 호씨 가로대 인군이 한 나라의 명예와 은총을 오로지 하니
생살여탈이 오직 나의 짓는 바이라. 고극으로 하여금 신하노릇을 제대로 못하는
죄가 나타나면 생각하건대 베는 것이 가하고, 정상이 분명하지 않으면 쫓아내서
물러나게 하는 것이 가하고, 그 재주가 애석하면 예로써 막는 것도 또한 가하거늘
어찌 (정 문공은) 가히 거짓 병권으로써 저 경계 위에 맡겨두어
그 떠나고 흩어짐을 좌시하면서 구원해주지 않으랴.
『춘추』와 『서경』에 정나라가 그 군사를 버렸다 하니 그 책임이 깊도다.
淸人三章에니 章四句라
『毛詩序』
淸人은 刺文公也라. 高克이 好利而不顧其君하니
文公이 惡而欲遠之로되 不能일세.
使高克將兵而禦狄于竟하여 陳其師族하여 翺翶詳河上이러니
久而不召한대 衆散而歸하니 高克奔陳이라.
公子素岳高克進之下以禮하고 文公退之不利道하여 危國亡師之本이라.
故로 作是詩也라.
청인은 문공을 풍자한 詩이다.
고극이 이익을 좋아하고 그 군주를 돌보지 않으니 문공이 그를 미워하여
멀리하려 하였으나 할 수가 없었다.
이에 고극으로 하여금 군사를 거느리고 국경에서 오랑캐를 막게하여
군사들을 전열하고 하수가에서 하는 일 없이 시간만 보내며 오래도록
부르지 아니하자군사들이 해산하여 돌아가니 고극은 진(陳)나라로 도망하였다.
공자 소는 고극이 조정에 나아가기를 예로서 하지 않고 문공이 퇴출하기를 도로써
하지 아니하여나라를 위태롭게 하고 군대를 망하게 하는 근본이 됨을 미워하였다.
그러므로 이 詩를 지은 것이다.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文 飜譯者 德庤 / 李 斗振
'詩經 (시경) 풍(風,國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風. 정풍(鄭風) 7편 준대로2장(遵大路二章) (0) | 2021.06.20 |
---|---|
國風. 정풍(鄭風) 6편 고구3장(羔裘三章) (0) | 2021.06.20 |
國風. 정풍(鄭風) 4편 대숙우전3장(大叔于田三章) (0) | 2021.06.20 |
國風. 정풍(鄭風) 3편 숙우전3장(叔于田三章) (0) | 2021.06.20 |
國風. 정풍(鄭風) 2편 장중자3장(將仲子三章)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