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 (시경) 풍(風,國風)

國風. 정풍(鄭風) 7편 준대로2장(遵大路二章)

덕치/이두진 2021. 6. 20. 13:41

 

  國風. 정풍(鄭風) 7편 준대로2장(遵大路二章)

 

 

  遵大路兮, 摻執子之袪兮.  無我惡兮, 不寁故也.

 

  遵大路兮, 摻執子之手兮.  無我魗兮, 不寁好也.

 

 

1장. 遵大路兮하여 摻執子之袪兮호라. 無我惡兮어든 不寁故也니라.

 

        준대로혜하여 삼집자지거혜로라. 무아오혜어든 불삼고야니라. 賦也라

 

        큰 길을 따라 나서 그대 소매 붙잡노라.

        나를 미워하지 말지어다, 옛정을  빨리 끊지 못하니라.

 

賦也라. 遵은 循이오 摻은 擥이오 袪는 袂요 寁은 速이오 故는 舊也라 .

淫婦 爲人所棄라. 故로 於其去也에 擥其袪而留之曰子無惡我而不留라.  

故舊不可以遽絶也라하니라.

宋玉賦에 有遵大路兮 攬子袪之句라하니 亦男女相說之詞也라.

 

부이다. 준은 따름이고, 삼은 잡음이고, 거는 소매이고, 삼은 빠름이고, 고는 옛이라. 

음탕한 지어미가 남한테 버림당한 바가 되니라.

그러므로 그 떠나감에 그 소매를 덥썩 잡고 만류하면서 말하기를, '그대는 나를

미워하여 머무르지 못하게 하지 말라. 옛 정은 갑자기 끊지 못한다.'고 한 것이다.

 『송옥부』에 ‘遵大路兮 攬子袪之’라는 글귀가 있으니

또한 남녀가 서로 기뻐하면서 하는 말이라.

   

 

2장. 遵大路兮하여 摻執子之手兮호라. 無我魗兮어다 不寁好也니라.

 

       준대로혜하여 삼집자지수혜호라 무아수혜어다 불삼호야니라. 賦也라

 

       큰 길을 따라 나서 그대의 손을 덥석 잡노라. 나를 추하다고 하지 말지어다. 

       좋아하는 이는 빨리 버리지 못하니라.

 

賦也라. 魗는 與醜로 同이라. 欲其不以己爲醜而棄之也라. 好는 情好也라.

 

부이다. 추는 ‘추할 추’와 같음이라.

그 자기가 추하다고 버리지 않도록 하고자 함이라. 호는 정들고 좋아함이다.

   

 遵大路二章이니 章四句라

 

   

 『毛詩序』

 遵大路는 思君子也라.

 莊公失道하여 君子去之하니 國人思望焉하니라.

 준대로는 군자를 그리워한 詩이다.

 장공이 도리를 잃어 군자들이 떠나가니 백성들이 군자를 그리워한 것이다.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文 飜譯者    德庤 / 李 斗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