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 (시경) 풍(風,國風)

패풍 제17편 정녀3장(靜女三章)

덕치/이두진 2020. 1. 25. 10:31




     패풍 제17편 정녀3장(靜女三章)



靜女其姝, 俟我於城隅. 愛而不見, 搔首踟躕.
靜女其孌, 貽我彤管. 彤管有煒, 說懌女美.
自牧歸荑, 洵美且異. 匪女之爲美, 美人之貽.



1장) 靜女其姝하니 俟我於城隅러니 愛而不見하여 搔首踟躕호라.
(정녀기주하니 사아어성우러니 애이불견하여 소수지주호라. 賦也라.)
[아름답고 정숙한 아가씨 성 모퉁이에서 나를 기다리네. 사랑하는데도 만나지 못하니 머리 긁적이며 서성거리네.]
* 姝 : 예쁠 주.    踟 : 머뭇거릴 지.    躕 : 머뭇거릴 주.    搔 긁을 소.


賦也라. 靜者는 閒雅之意라 姝는 美色也라 城隅는 幽僻之處라 不見者는 期而不至也라.
踟躕는 猶躑躅也라 此는 淫奔期會之詩也라.
[부라. 정은 한가롭고 우아한 뜻이라. 주는 아름다운 빛이라. 성우는 그윽하고 궁벽한 곳이라.
보지 못한다는 것은 기약만 하고 이르지 않음이라. 지주는 머뭇거림과 같음이라.
이것은 음분한 사람끼리 만나기로 약속한 시라.]
* 躑 : 머뭇거릴 척.    躅 : 머뭇거릴 촉.



2장) 靜女其孌하니 貽我彤管이로다 彤管有煒하니 說懌女美호라.
(정녀기연하니 이아동관이로다 동관유위하니 열역미녀호라. 賦也라.)
[예쁘고 정숙한 아가씨 나에게 붉은 피리를 주도다. 붉은 피리 빛나니 그녀의 아름다움이 좋기 때문이라네.]
* 彤 : 붉을 동.   煒 : 빨갈 위, 빛 휘.    懌 : 기뻐할 역.


賦也라. 孌은 好貌니 於是則見之矣라 彤管은 未詳何物이니 蓋相贈以結殷勤之意耳라.
煒는 赤貌라 言旣得此物而又悅懌此女之美也라.
[부라. 연은 좋은 모양이니 이에 곧 보게 된 것이라. 동관은 무슨 물건인지 상세하지 못하니 대개 서로 주어서
은근한 뜻을 맺음이라. 위는 붉은 모양이라. 이미 이 물건을 얻고 또 이 여자의 아름다움을 기뻐함이라.]


  
3장) 自牧歸荑하니 洵美且異로다 匪女之爲美라 美人之貽니라.
(자목귀제하니 순미차이로다 비녀지위미라 미인지이니라. 賦也라.)
[들판에서 띠 싹을 가져와 선물하니, 예쁘고 특이하도다. 띠 싹이 고와서가 아니라 고운 님의 선물이라 좋은거라네.]
* 荑 : 삘기(띠의 애순) 제.    洵 : 진실로 순.


賦也라. 牧은 外野也라 歸는 亦貽也라 荑는 芽之始生者라 洵은 信也라 女는 指荑而言也라.
言靜女又贈我以荑하니 而其荑亦美且異라 然이나 非此荑之爲美요 特以美人之所贈이라.
故로 其物도 亦美耳라.
[부라. 목은 바깥 들판이라. 귀는 또한 줌이라. 제는 싹이 처음 나온 것이라. 순은 진실로라.
여는 삘기를 가리켜 말함이라. 정녀가 또한 나에게 삘기를 주니 그 삘기가 또한 아름답고 또한 기이하니라.
그러나 이 삘기가 아름다운 것이 아니고 특별히 미인이 주었기 때문이라. 그러므로 그 물건도 또한 아름다우니라.]

  
『毛詩序』
靜女는 刺時也니 衛君無道하고 夫人無德이라.
[靜女를 당시에 위나라 군주가 무도하고 부인이 덕이 없음을 풍자한 詩라고 했다.]


靜女三章에 章은 四句라.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2 0 0 0 .   .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