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 (시경) 아(雅)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9편 민로5장(民勞五章)

덕치/이두진 2024. 1. 5. 19:22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9편 민로5장(民勞五章)

民亦勞止, 汔可小康. 惠此中國, 以綏四方. 無縱詭隨, 以謹無良.

式遏寇虐, 憯不畏明. 柔遠能邇, 以定我王.

民亦勞止, 汔可小休. 惠此中國, 以為民逑. 無縱詭隨, 以謹惛怓.

式遏寇虐, 無俾民憂. 無棄爾勞, 以為王休.

民亦勞止, 汔可小息. 惠此京師, 以綏四國. 無縱詭隨, 以謹罔極.

式遏寇虐, 無俾作慝. 敬慎威儀, 以近有德.

民亦勞止, 汔可小愒. 惠此中國, 俾民憂泄. 無縱詭隨, 以謹醜厲.

式遏寇虐, 無俾正敗. 戎雖小子, 而式弘大.

民亦勞止, 汔可小安. 惠此中國, 國無有殘. 無縱詭隨, 以謹繾綣.

式遏寇虐, 無俾正反. 王欲玉女, 是用大諫.

1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康하도다. 惠此中國하여 以綏四方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無良하도다. 式遏寇虐하여 憯不畏明하도다.

柔遠能邇하여 以定我王하도다. 0

민역로지하여 흘가소강하도다. 혜차중국하여 이수사방하도다.

무종궤수하여 이근무량하도다. 식알구학하여 참불외명하도다.

유원능이하여 이정아왕하도다. 賦也라

백성들의 삶이 실제로 너무 고통스러워,

다만 조금이라도 풍족할 수 있음을 구하도다.

나라 안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보호하며, 사방이 안정되어 생활이 편안하도다.

함부로 빼앗는 짓을 따르지 아니하여, 소인의 아부를 막기에 소홀함이 없도다.

약탈하고 포악한 짓은 응당 저지하여,

밝은 명을 두려워하지 아니함을 막아야 하도다.

멀리 있는 자를 편하게 대하고 가까운 자에게 잘하여,

이로써 우리의 왕을 안정시켜야 하도다.

賦也라. 汔은 幾也라. 中國은 京師也오 四方은 諸夏也니 京師는 諸夏之根本也라.

詭隨는 不顧是非而妄隨人也라. 謹은 歛束之意라. 憯은 曾也라.

明은 天之明命也라. 柔는 安也오 能은 順習也라.

부이다. 흘은 거의 이다. 중국은 경사이고, 사방은 제하니, 경사는 제하의 근본이다.

궤수는 시비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망령되이 사람을 따르는 것이다.

근은 거두어 묶는 뜻이다. 참은 일찍이다. 명은 하늘의 밝은 명이다.

유는 편안함이요, 능은 순하고 익숙한 것이다.

序說에 以此로 爲召穆公이 刺厲王之詩라하니 以今考之컨대 乃同列相戒之詞耳요

未必專爲刺王而發이라. 然이나 其憂時感事之意를 亦可見矣로다.

蘇氏曰人이 未有無故而妄從人者하니 維無良之人이 將悅其君而竊其權하야

以爲寇虐則爲之故로 無縱詭隨면 則無良之人이 肅而寇虐無畏之人止하나니

然後에 柔遠能邇而王室定矣라.

穆公의 名은 虎니 康公之後요 厲王의 名은 胡니 成王七世孫也라.

서설(『시경』을 순서대로 묶어서 설명한 말)에 이것으로써 소목공이 여왕을 풍자한

시라 하니 지금 상고해보건대 이에 동렬끼리 서로 경계한 말이고,

오로지 왕을 풍자하여 발표한 것은 아니니라.

그러나 그 때를 근심하고 하는 일들을 느낀 뜻을 또한 가히 볼 수 있음이라.

소씨가 말하기를 : " 사람이 아무 까닭없이 망령되이 사람을 따르는 자가 있지

아니하니, 오직 어질지 못한 사람이 장차 그 인군을 기쁘게 하여 그 권력을

도적질하여 구학이 되면 그런 짓을 하기 때문에 속임수를 따르지 아니하면

어질지 못한 사람이 엄숙해지고 구학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 그치나니,

그런 뒤에 먼데 있는 사람을 편안히 해주고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길들여 왕실이 안정되니라.

목공의 이름은 虎니 강공의 (16세) 후손이고,

여왕의 이름은 胡니 성왕의 7세 후손이다.

※ 대동(大同)과 소강(小康)

예로부터 이상형의 사회를 일컬을 때 대동(大同)세상 혹은 대동(大同)사회라 하고,

이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사회를 소강사회, 혹은 소강세상이라고 한다.

최근 중국 정권이 자신들이 실현한 현 사회를 소강사회로 평가하고 있는데,

대동과 소강에 관한 개념은 『禮記』 「禮運」편에서 孔子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大道之行也에 天下爲公하여 選賢與能하여 講信修睦하니라.

故로 人이 不獨親其親하며 不獨子其子하야 使老로 有所終하며 壯有所用하며

幼有所長하며 矜寡孤獨廢疾者를 皆有所養하며 男有分이오

女有歸하며 貨惡其棄於地也나 不必藏於己하며

力惡其不出於身也나 不必爲己라.

是故로 謀閉而不興하며 盜竊亂賊而不作이라. 故로 外戶而不閉하니 是謂大同이니라”

큰 도가 행해짐에 천하가 공변(公平無私)되어 어진 자와 능력 있는 자를 발탁하여

믿음을 익히고 화목함을 닦았느니라. 그러므로 사람들이 오직 그 어버이만을

어버이로 여기지 아니했으며, 오직 그 자식만을 자식으로 여기지 아니하여

늙은이로 하여금 마치는 바를 두게 하였으며, 장정은 적재적소에 쓰는 바가 있었으며,

어린이는 궁핍에 시달리지 않고 무럭무럭 자라며,

과부와 고아와 독거노인과 장애자들을 불쌍히 여겨 다 부양하는 바가 있었으며,

남자는 직분이 있었고, 여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신랑감을 구해 시집감이 있었으며,

재물이 헛되이 낭비되는 것을 미워하였으나 반드시 자기 것으로 쌓아두지

아니했으며, 힘이란 것이 그 몸에서 나오지 않는(곧 다른 사람의 힘을 빌리는) 것을

미워하였으나 반드시 자기만을 위하여 쓰지는 않았느니라.

이런 까닭으로 모사가 단절되어 일어나지 아니했으며

도둑과 난적들이 일어나지 아니했느니라.

그러므로 바깥문이 있으면서도 닫지 아니했으니 이를 일러 대동이라 하니라.

“今大道旣隱하야 天下爲家하며 各親其親하며 各子其子하며 貨力爲己하며

大人은 世及以爲禮하며 城郭溝池를 以爲固하며 禮義를 以爲紀하야 以正君臣하며

以篤父子하며 以睦兄弟하며 以和夫婦하며 以設制度하며 以立田里하며

以賢勇知하며 以功爲己니라. 故로 謀用是作하고 而兵由此起하나니라.

禹湯文武成王周公이 由此其選也시니 此六君子者 未有不謹於禮者也라.

以著其義하며 以考其信하며 著有過하며 刑仁講讓하야 示民有常하시니

如有不由此者면 在勢者라도 去하고 衆以爲殃이라하나니 是謂小康이니라”

이제 대도가 이미 숨어버려 천하가 가문(國家, 百乘之家, 千乘之家, 萬乘之家)만을

위하며, 각자가 그 어버이만을 어버이로 여기며, 각자가 그 자식만을 자식으로

여기며, 재물과 힘은 자기만을(사사로운 이익만을) 위하며,

대인은 세대로 미치는 것(세습)을 예로써 하며, 성곽과 해자(垓子)를 견고하게 하며,

예의를 벼리로 삼아 군신(과의 관계)을 바로하며, 부자(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며,

형제(간의 사이)를 화목케 하며, 부부(의 관계)를 화하게 하며,

제도를 설정하며, 전리(일정 마을마다 정전법에 의한 토지 배분관계)를 제우며,

용맹과 지혜를 어질게 여기며, 공은 자기를 위한 것으로 쓰느니라.

그러므로 모사가 이로써 일어나고, 병란이 이에서 일어나느니라.

우임금 ․ 탕임금 ․ 문왕 ․ 무왕 ․ 성왕 ․ 주공이 이로 말미암아 가려졌으니

이 여섯 군자가 예를 삼가지 아니한 자가 있지 아니하였느니라.

(예로써) 그 의를 드러냈으며 (예로써) 그 믿음을 살폈으며,

허물있음을 드러냈으며 인을 법으로 삼고 사양함을 익혀서 백성들에서 떳떳함이

있음을 보여주었으니 만일에 이로 말미암지 않는 자가 있다면 세력이 있는 자라도

제거되고 백성들이 재앙으로 삼았다 하니 이를 일러 소강이라 하니라.

또 대동에 관한 개념은 『書經』洪範(홍범)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七稽疑는 擇建立卜筮人하고사 乃命卜筮니라.

曰雨와 曰霽와 曰蒙과 曰驛과 曰克이며 曰貞과 曰悔니라.

凡七은 卜五오 占用二니 衍忒하나니라.

立時人하야 作卜筮호대 三人이 占이어든 則從二人之言이니라.

汝則有大疑어든 謀及乃心하며 謀及卿士하며 謀及庶人하며 謀及卜筮하라.

汝則從하며 龜從하며 筮從하며 卿士從하며 庶民從이면 是之謂大同이니

身其康彊하며 子孫이 其逢吉하리라.”

七계의는 복서(卜筮)하는 사람을 택하여 세우고 이에 복서를 명하니라.

가로대 雨(비)와 가로대 霽(개임)와 가로대 蒙(흐림)과 가로대 驛(비가 오락가람함)과

가로대 克(소나기)이며 가로대 貞(주역 대성괘의 내괘)과 가로대

悔(주역 대성괘의 외괘)니라. 무릇 칠은 복(卜)이 다섯 가지(雨霽蒙驛克)요,

점에 두 가지(貞悔)를 쓰니 어긋난 것을(過差)미루느니라.

이 사람을 세워서 복서를 하되 세 사람이 점치거든 곧 두 사람의 말을 따를지니라.

네가 곧 큰 의문이 있거든 꾀함을 네 마음에 미치며, 꾀함을 경사에 미치며,

꾀함을 서민에 미치며, 꾀함을 복서에 미쳐라. 네가 곧 따르며, 거북이 따르며,

筮가 따르며, 경사가 따르며, 서민도 따르면,

이를 일러 대동(大同)이니 몸이 그 건강하며 자손이 그 길을 만나리라.

2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休하도다. 惠此中國하여 以為民逑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惛怓하도다. 式遏寇虐하여 無俾民憂하도다.

無棄爾勞하여 以為王休하도다.

민역노지하여 흘가소휴하도다. 혜차중국하여 이위민구하도다.

무종궤수하여 이근혼노하도다. 식알구학하여 무비민우하도다.

무기이로하여 이위왕휴하도다. 賦也라

백성들의 삶이 실제로 너무 고통스러워, 다만 조금이라도 쉴 수 있음을 구하도다.

나라 안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보호하여,

이로써 백성들의 마음이 모아지게 해야 하도다.

함부로 빼앗는 짓을 따르지 아니하여,

이로써 어리석게 떠드는 사람을 경계해야 하도다.

약탈하고 포악한 짓은 응당 저지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근심이 없게 해야 하도다.

그대가 수고해야 함을 잊지 아니하여,

이로써 나라를 평안하게 하고 왕을 쉬게 하도다.

賦也라. 逑는 聚也라. 惛怓는 猶讙譁也라.

勞는 猶功也니 言無棄爾之前功也라. 休는 美也라.

부이다. 구는 모임이다. 혼노는 시끄럽게 떠드는 것과 같다.

노는 공로와 같으니 네가 앞서 세운 공을 버리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다.

휴는 아름다움이다.

3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息하도다. 惠此京師하여 以綏四國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罔極하도다. 式遏寇虐하여 無俾作慝하도다.

敬慎威儀하여 以近有德하도다.

민역로지하여 흘가소식하도다. 혜차경사하여 이유사국하도다.

무종궤수하여 이근망극하도다. 식알구학하여 무비작특하도다.

경신위의하여 이근유덕하도다. 賦也라

백성들의 삶이 실제로 너무 고통스러워,

다만 조금이라도 휴식할 수 있음을 구하도다.

도읍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보호하며, 이로써 사방의 나라들이 편안하도다.

재물을 함부로 빼앗고 부정한 짓을 따르지 아니하여,

이로써 악인들의 망극한 짓을 막는도다.

약탈하고 포악한 짓은 응당 저지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근심과 슬퍼함이 더함을 막는도다.

먼저 세운 공을 버리지 않고 더욱 노력하여, 이로써 덕이 있는 자를 가까이 하도다.

賦也라. 罔極은 爲惡無窮極之人也라. 有德은 有德之人也라.

부이다. 망극은 악한 짓을 함이 끝이 없는 사람이다. 유덕은 덕 있는 사람이다.

4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愒하도다. 惠此中國하여 俾民憂泄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醜厲하도다. 式遏寇虐하여 無俾正敗하도다.

戎雖小子하여 而式弘大하도다.

민역로지하여 흘가소게하도다. 혜차중국하여 비민우예하도다.

무종궤수하여 이근추려하도다. 식알구학하여 무비정패하도다.

융수소자하여 이식홍대하도다. 賦也라

백성들의 삶이 실제로 너무 고통스러워,

다만 조금이라도 쉬게할 수 있음을 구하도다.

나라 안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보호하여, 이로써 백성들의 근심을 제거해야 하도다.

재물을 함부로 빼앗고 부정한 짓을 따르지 아니하여,

이로써 경계심을 갖도록 반복하도다.

약탈하고 포악한 짓은 응당 저지하여, 사악함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하도다.

그대는 비록 작은 사람이나, 그대가 하는 일은 본보기가 되어 넓고 크도다.

賦也라. 愒는 息이오 泄는 去요 厲는 惡也라. 正敗는 正道敗壞也라.

戎은 汝也니 言汝須小子나 而其所爲는 甚廣大하야 不可不謹也라.

부이다. 게는 쉼이요, 예는 버림이요, 려는 악이다. 정패는 정도가 패하여 무너짐이다.

융은 너이고, 네 비록 소자이나 네가 하는 바는 심히 광대하여 삼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한 것이다.

5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安하도다. 惠此中國하여 國無有殘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繾綣하도다. 式遏寇虐하여 無俾正反하도다.

王欲玉女하여 是用大諫하도다.

민역로지하여 흘가소안하도다. 혜차중국하여 국무유잔하도다.

무종궤수하여 이근견권하도다. 식알구학하여 무비정반하도다.

왕욕옥여하여 시용대간하도다. 賦也라

백성들의 삶이 실제로 너무 고통스러워,

다만 조금이라도 편안할 수 있음을 구하도다.

나라 안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보호하여,

나라를 미워함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도다.

재물을 함부로 빼앗고 부정한 짓을 따르지 아니하여,

이로써 아부하는 자를 경계해야 하도다.

약탈하고 포악한 짓은 응당 저지하여,

올바른 행동이 나쁜 방향으로 변하지 못하게 하도다.

왕이 그대를 훌륭하게 만들고자 하여, 이에 크게 간하는도다.

賦也라. 繾綣은 小人之固結其君者也라. 正反은 反於正也라.

玉은 寶愛之意니 言王欲以女爲玉而寶愛之라.

故로 我用王之意하야 大諫正於女라하니 蓋託爲王意以相戒也라.

부이다. 견권은 소인으로 그 인군과 굳게 결탁한 자이다.

정반은 바름(正道)에 반함이다.  옥은 보배로 여기고 사랑하는 뜻이니,

왕이 너를 옥처럼 보배롭게 여기고 사랑하려 함이다.

그러므로 내가 왕의 뜻을 헤아려서 크게 간하여 너에게 바르게 하라고 말했으니

대체로 왕의 뜻이 그러할 것이라고 의탁하여서 서로 경계한 것이다.

民勞五章 章十句라

『毛詩序』

民勞는 召穆公이 刺厲王也라.

민로는 소목공이 려왕을 풍자한 詩이다.

原 文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筆寫本 】

​,原 文 飜 譯 者 德庤 / 李 斗 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