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 (시경) 아(雅) 113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2편 사모5장(四牡五章)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2편 사모5장(四牡五章) 四牡騑騑, 周道倭遲. 豈不懷歸, 王事靡盬, 我心傷悲. 四牡騑騑, 嘽嘽駱馬. 豈不懷歸, 王事靡盬, 不遑啟處. 翩翩者鵻, 載飛載下, 集于苞栩. 王事靡盬, 不遑將父. 翩翩者鵻, 載飛載止, 集于苞杞. 王事靡盬, 不遑將母. 駕彼四駱, 載驟駸駸. 豈不懷歸, 是用作歌. 將母來諗. 1장. 四牡騑騑하나 周道倭遲로다. 豈不懷歸리오마는 王事靡盬라 我心傷悲호라. 사모비비하나 주도위지로다. 기불회귀리오마는 왕사미고라 아심상비호라. 賦也라 네 필의 준마가 쉬지 않고 달리나, 넓고 큰 길이 멀고도 멀도다. 어찌 고향으로 돌아감을 생각지 않으리오마는, 군왕의 임무를 견고히 하지 않을 수 없는지라, 내 마음속의 슬픔을 금할 수 없노라. 賦也라. 騑騑는 行不止之貌라. 周道는 大路也라..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1편 녹명3장(鹿鳴三章)

小雅. 鹿鳴之什(녹명지십) 제1편 녹명3장(鹿鳴三章) 呦呦鹿鳴, 食野之苹. 我有嘉賓, 鼓瑟吹笙. 吹笙鼓簧, 承筐是將. 人之好我, 示我周行. 呦呦鹿鳴, 食野之蒿. 我有嘉賓, 德音孔昭. 視民不恌, 君子是則是傚. 我有旨酒, 嘉賓式燕以敖. 呦呦鹿鳴, 食野之芩. 我有嘉賓, 鼓瑟鼓琴. 鼓瑟鼓琴, 和樂且湛. 我有旨酒, 以嘉樂嘉賓之心. 1장. 呦呦鹿鳴이여 食野之苹이로다. 我有嘉賓하야 鼓瑟吹笙호라. 吹笙鼓簧하여 承筐是將하니. 人之好我가 示我周行이었다. 興也라 유유녹명이여 식야지평이로다. 아유가빈하야 고슬취생호라. 취생고황하야 승광시장하니. 인지호아가 시아주행이엇다. 興也라 부드러운 울음소리를 내는 한 무리의 사슴이여, 저 들판에서 쑥을 뜯어 먹고 있도다. 나에게는 훌륭한 손님들이 있으니, 거문고를 타고 생황을 불며 악곡..

詩經 小雅 序文(시경 소아 서문)

詩經 小雅 序文(시경 소아 서문) 雅者는 正也니 正樂之歌也라. 其篇本有大小之殊요 而先儒說에도 又各有正變之別이라. 以今考之컨댄 正小雅는 燕饗之樂也요, 正大雅는 會朝之樂과 受釐陳戒之辭也라. 故로 或歡欣和說하야 以盡群下之情하고 或恭敬齊莊하야 以發先王之德하니 詞氣不同하며 音節亦異하야 多周公制作時所定也라. 及其變也는 則事未必同而各以其聲附之니라. 其次序時世는 則有不可考者矣니라. ‘아’라는 것은 바르다는 것이니 음악의 노래를 바르게 함이다. 그 책이 본래 대소의 다름이 있고(곧 小雅와 大雅), 선유의 말에도 또한 각각 정과 변의 구별을 두었다. 이제 상고하건대 바른 소아는 잔치하고 제향하는데 올리는 음악이고, 바른 대아는 (신하들이) 모이고 조회할 때에 올리는 음악과 음복을 받으면서 경계를 아뢰는 내용이다. 그러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