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0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10편 판8장(板八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10편 판8장(板八章) ​ ​ ​ 上帝板板, 下民卒癉. 出話不然, 為猶不遠. 靡聖管管, 不實於亶. 猶之未遠, 是用大諫. ​ 天之方難, 無然憲憲. 天之方蹶, 無然泄泄. 辭之輯矣, 民之洽矣. 辭之懌矣, 民之莫矣. ​ 我雖異事, 及爾同僚. 我即而謀, 聽我囂囂. 我言維服, 勿以為笑. 先民有言, 詢于芻蕘. ​ 天之方虐, 無然謔謔. 老夫灌灌, 小子蹻蹻. 匪我言耄, 爾用憂謔. 多將熇熇, 不可救藥. ​ 天之方懠, 無為夸毗. 威儀卒迷, 善人載尸. 民之方殿屎, 則莫我敢葵. 喪亂蔑資, 曾莫惠我師. ​ 天之牖民, 如壎如篪. 如璋如圭, 如取如攜. 攜無日益, 牖民孔易. 民之多辟, 無自立辟. ​ 价人維藩, 大師維垣, 大邦維屏, 大宗維翰, 懷德維寧, 宗子維城. 無俾城壞, 無獨斯畏. ​ 敬天之怒, 無敢戲豫..

第 六十一. 儒林列傳(유림열전)

第 六十一. 儒林列傳(유림열전) ​ ​ ​太史公曰:余讀功令,至於廣厲學官之路,未嘗不廢書而嘆也. 曰:嗟乎!夫周室衰而關雎作,幽厲微而禮樂壞,諸侯恣行,政由彊國. [태사공이 말한다. “ 내가 공령(功令)1)을 읽다가 학관(學官)2)의 장려책에 이르면 책을 덮고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아 슬프도다! 주나라 왕실이 쇠퇴하자 관저(關雎)3)가 지어졌고, 주나라의 유왕(幽王)4), 여왕(厲王)5)의 통치가 쇠락해지자 예악이 붕괴되었으며 제후들은 방자하게 행동했고, 정령(政令)은 강한 제후국에 의해서 좌지우지되었다.] ​ 故孔子閔王路廢而邪道興, 於是論次詩書, 修起禮樂. 適齊聞韶, 三月不知肉味. 自衛返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 [그래서 공자는 왕도가 무너지고 사도(邪道)가 흥하는 것을 보고 슬퍼하여 《시경》과 《서경..

61.儒林列傳 2024.01.09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9편 민로5장(民勞五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9편 민로5장(民勞五章) ​ ​ ​ 民亦勞止, 汔可小康. 惠此中國, 以綏四方. 無縱詭隨, 以謹無良. 式遏寇虐, 憯不畏明. 柔遠能邇, 以定我王. ​ 民亦勞止, 汔可小休. 惠此中國, 以為民逑. 無縱詭隨, 以謹惛怓. 式遏寇虐, 無俾民憂. 無棄爾勞, 以為王休. ​ 民亦勞止, 汔可小息. 惠此京師, 以綏四國. 無縱詭隨, 以謹罔極. 式遏寇虐, 無俾作慝. 敬慎威儀, 以近有德. ​ 民亦勞止, 汔可小愒. 惠此中國, 俾民憂泄. 無縱詭隨, 以謹醜厲. 式遏寇虐, 無俾正敗. 戎雖小子, 而式弘大. ​ 民亦勞止, 汔可小安. 惠此中國, 國無有殘. 無縱詭隨, 以謹繾綣. 式遏寇虐, 無俾正反. 王欲玉女, 是用大諫. ​ ​ ​ 1장. 民亦勞止하여 汔可小康하도다. 惠此中國하여 以綏四方하도다. 無縱詭隨하여 以謹無良하..

​第 六十. 汲鄭列傳(급 정열전)

​第 六十. 汲鄭列傳(급 정열전) ​ ​ ​汲黯字長孺,濮陽人也. 其先有寵於古之衛君. 至黯七世,世為卿大夫. 黯以父任,孝景時為太子洗馬,以莊見憚. 孝景帝崩,太子即位,黯為謁者. [급암(汲黯)의 자는 장유(長孺)이고 복양(濮陽) 사람이다. 옛날 위(衛)나라 군주의 총애를 받았던 선조의 7대 손으로 대대로 경대부를 지냈다. 금압은 부친의 일을 이어받아 효경제(孝景帝) 때 태자 세마(洗馬)가 되었다. 급암은 태도가 엄숙하여 다른 사람이 꺼릴 정도였다. 효경제가 죽고 태자가 즉위하니 급암은 알자(謁者)가 되었다.] ​ 東越相攻,上使黯往視之. 不至,至吳而還,報曰:「越人相攻,固其俗然, 不足以辱天子之使.」 河內失火,延燒千餘家,上使黯往視之. 還報曰:「家人失火,屋比延燒,不足憂也. 臣過河南,河南貧人傷水旱萬餘家, 或父子相食,臣謹以..

60.汲鄭列傳 2024.01.05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8편 권아10장(卷阿十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8편 권아10장(卷阿十章) ​ ​ ​ 有卷者阿, 飄風自南. 豈弟君子, 來游來歌, 以矢其音. ​ 伴奐爾游矣, 優游爾休矣. 豈弟君子, 俾爾彌爾性, 似先公酋矣. ​ 爾土宇昄章, 亦孔之厚矣. 豈弟君子, 俾爾彌爾性, 百神爾主矣. ​ 爾受命長矣, 茀祿爾康矣. 豈弟君子, 俾爾彌爾性, 純嘏爾常矣. ​ 有馮有翼, 有孝有德, 以引以翼. 豈弟君子, 四方為則. ​ 顒顒卬卬, 如圭如璋, 令聞令望. 豈弟君子, 四方為綱. ​ 鳳凰于飛, 翽翽其羽, 亦集爰止. 藹藹王多吉士, 維君子使, 媚于天子. ​ 鳳凰于飛, 翽翽其羽, 亦傅于天. 藹藹王多吉人, 維君子命, 媚于庶人. ​ 鳳凰鳴矣, 于彼高岡. 梧桐生矣, 于彼朝陽. 菶菶萋萋, 雝雝喈喈. ​ 君子之車, 既庶且多. 君子之馬, 既閑且馳. 矢詩不多, 維以遂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