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90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6편 양사1장(良耜一章)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6편 양사1장(良耜一章) ​ ​ ​ 畟畟良耜, 俶載南畝. 播厥百殼, 實函斯活. 或來瞻女, 載筐及筥, 其饟伊黍. 其笠伊糾, 其鎛斯趙, 以薅荼蓼. 荼蓼朽止, 黍稷茂止. 穫之挃挃, 積之栗栗. 其崇如墉, 其比如櫛. 以開百室. 百室盈止, 婦子寧止. 殺時犉牡, 有捄其角. 以似以續, 續古之人. ​ ​ 畟畟良耜하니 俶載南畝하도다. 播厥百殼하니 實函斯活하도다. 或來瞻女에 載筐及筥하고 其饟伊黍로다. ​ 측측양사하니 숙재남묘하도다. 파궐백곡하니 실함사활하도다. 혹래첨녀에 재광급거하고 기향이서로다. ​ 날카로운 보습 날로 땅을 일구기 시작하니, 먼저 남쪽 경지로 가서 일하는도다. 온갖 곡식의 씨앗을 밭이랑에 골고루 뿌리니, 낟알이 실하고 생기가 왕성하도다. 어떤 이가 밥을 보내고 그대를 보러..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5편 재삼1장(載芟一章)​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5편 재삼1장(載芟一章) ​ ​ ​ 載芟載柞, 其耕澤澤. 千耦其耘, 徂隰徂畛. 侯主侯伯, 侯亞侯旅, 侯彊侯以. 有嗿其饁, 思媚其婦, 有依其士. 有略其耜, 俶載南畝. 播厥百殼, 實函斯活. 驛驛其達, 有厭其傑. 厭厭其苗, 綿綿其麃. 載穫濟濟, 有實其積, 萬億及秭. 為酒為醴, 烝畀祖妣, 以洽百禮. 有飶其香, 邦家之光. 有椒其馨, 胡考之寧. 匪且有且, 匪今斯今, 振古如茲. ​ 載芟載柞하며 其耕澤澤하도다. 千耦其耘하여 徂隰徂畛하도다. 侯主侯伯하고 侯亞侯旅하니 侯彊侯以로다. ​ 풀을 베어 내고 또 나무를 베어 내며, 밭머리의 거친 땅을 순식간에 갈았도다. 천 짝(2,000명)의 농부들로 그 곳을 제초하여, 새로 개간한 밭과 언덕 밭으로 모두 나아갔도다. 집주인이 장자를 데리고 오고..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4편 소비1장(小毖一章)​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4편 소비1장(小毖一章) ​ ​ ​ 予其懲 . 而毖後患. 莫予荓蜂. 自求辛螫. 肇允彼桃蟲. 拚飛維鳥. 未堪家多難. 予又集于蓼. ​ ​ ​ 予其懲이로다. 而毖後患이로다. 莫予荓蜂이로다. 自求辛螫이로다. 肇允彼桃蟲이로다. 拚飛維鳥로다. 未堪家多難이로다. 予又集于蓼로다. ​ 여기징이로다. 이비후환이로다. 막여병봉이로다. 자구신석이로다. 조윤피도충이로다. 번비유조로다. 미감가다난이로다. 여우집우료로다. 賦也라 ​ 나는 반드시 교훈을 받아들여 깊이 새길 것이로다. 후환을 삼가는 신조로 삼을 것이로다. 다시는 작은 풀과 작은 벌을 가볍게 여기지 아니할 것이로다. 그것은 스스로를 괴롭히는 독충을 구하는 것과 같도다. 이제야 비로소 작은 뱁새를 신임하게 되었도다. 잠깐 사이에 곧 흉악..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3편 경지1장(敬之一章)

周頌. 閔予小子之什(민여소자지십) 제3편 경지1장(敬之一章) ​ ​ ​ 敬之敬之, 天維顯思, 命不易哉. 無曰高高在上, 陟降厥士, 日監在茲. 維予小子, 不聰敬止. 日就月將, 學有緝熙于光明. 佛時仔肩, 示我顯德行. ​ ​ ​ 敬之敬之어다 天維顯思하니 命不易哉하도다. 無曰高高在上이나 陟降厥士하여 日監在茲로다. ​ 경지경지어다 천유현사하니 명불이재하도다. 무왈고고재상이니 척강궐사하여 일감재자로다. ​ 경계하고 경계하여 명심할지어다. 하늘이 이렇게 분명하게 판단하시니, 천명이 바뀌지 않게 해야 하도다. 하늘은 높이 위에 있으며 말이 없으나, 조정이 아첨하는 자는 내치고 어진 자를 임용하여, 시시각각 감시하여 매우 작은 것도 밝게 아시도다. ​ 賦也라. 顯은 明也라. 思는 語辭也라. 士는 事也라. 成王이 受群臣之戒..

牧 民 心 書 券 4. 第 4 篇 애민(愛民) 육조(六條)

牧 民 心 書 券 4 第 4 篇 애민(愛民) 육조(六條) 제 1 장 養老(양로) (어른을 공경하라 ) ​ ★ 養老之禮廢 而民不與孝 爲民牧者 不可以不擧也. (양노지예폐 이민불여효 위민목자 불가이불거야. ) 양로의 예를 폐지하면 백성이 효도할 줄 모르게 되니 수령이 된 자는 이를 거행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 ['효도하면서 우애가 좋지 않은 자는 있어도 우애가 좋은 자로서 효도하지 않는 자는 없다. 그러므로 선왕의 제도에, 우애는 향당(鄕黨)에서 통하고, 우애는 길에서도 통하고, 우애는 군영(軍營)에서도 통하니, 우애의 교화는 국가의 정책인 양로(養老)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유우씨(有虞氏) 1) 이래로 양로의 예를 폐한 일이 없었는데, 사람들은 비용이 많이 든다 하여 노인 공양을 소홀히 한다. 예법에 ..

牧民心書 4 篇 202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