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90

第 五十九. 循吏列傳(순리열전)

第 五十九. 循吏列傳(순리열전) ​ ​ 太史公曰 法令所以導民也,刑罰所以禁姦也. 文武不備,良民懼然身修者,官未曾亂也. 奉職循理,亦可以為治,何必威嚴哉? [태사공이 말한다. 법령은 백성들을 이끌기 위한 것이고 형벌은 백성들이 간악해지는 것을 금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고 법령과 형벌이 갖춰지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선량한 백성들은 마음속으로 두려워하면서 자신의 몸을 스스로 갈고 닦기 때문에 몸가짐이 단정한 관리들은 기강을 문란하게 무너뜨리지 않는 법이다. 직분에 충실하고 도리에 따르는 것도 또한 다스림의 수단으로 삼을 수 있는데 어찌 반드시 엄한 형벌과 법만 내세워서야 되겠는가? ] 孫叔敖者,楚之處士也. 虞丘相進之於楚莊王,以自代也. 三月為楚相,施教導民,上下和合,世俗盛美,政緩禁止,吏無姦邪,盜賊不起. ​秋冬則勸民山採,..

59.循吏列傳 2024.01.04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7편 형작삼장(泂酌三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7편 형작삼장(泂酌三章) ​ ​ 泂酌彼行潦, 挹彼注茲, 可以餴饎. 豈弟君子, 民之父母. ​ 泂酌彼行潦, 挹彼注茲, 可以濯罍. 豈弟君子, 民之攸歸. ​ 洞酌彼行潦, 挹彼注茲, 可以濯溉. 豈弟君子, 民之攸塈. ​ ​ ​ 1장. 泂酌彼行潦하여 挹彼注茲하니 可以餴饎로다. 豈弟君子여 民之父母하도다. ​ 형작피행료하여 읍피주자하니 가이분치로다. 개제군자여 민지부모하도다. 興也라 ​ 저 멀리 길가의 웅덩이에 고인 물을 떠서, 그 뜬 물을 항아리에 가득 담았으니, 선밥도 찌고 술밥도 찔 수 있도다. 인품과 덕성이 고상한 군자여, 백성들이 부모같이 따르고 좋아하도다. ​ 興也라. 泂은 遠也라. 行潦는 流潦也라. 餴은 烝米一熟而以水沃之하야 乃再烝也라. 饎는 酒食也라. 君子는 指王也라. 舊說에 ..

第 五十八. 淮南衡山列傳(회남 형산열전) ​

​ 第 五十八. 淮南衡山列傳(회남 형산열전) ​ ​ ​淮南厲王長者,高祖少子也,其母故趙王張敖美人. 高祖八年,從東垣過趙,趙王獻之美人. 厲王母得幸焉,有身. 趙王敖弗敢內宮,為筑外宮而捨之. 及貫高等謀反柏人事發覺,并逮治王,盡收捕王母兄弟美人,系之河內. [회남려왕(淮南厲王) 유장(劉長)은 한고조 유방의 작은 아들이다. 그 모친은 조왕 장오(張敖)의 미인(美人)이었다. 고조 8년(기원전 199년), 동원으로 나아가 조(趙)나라 땅을 지나가게 된 고조에게 조왕이 미인을 바쳤다. 려왕(厲王)의 모친이 고조의 총애를 입어 임신을 하자, 조왕 장오(張敖)는 감히 미인을 궁궐로 들이지 못하고 그녀를 위해 외궁을 짓고 그곳에 기거하게 했다. 이윽고 관고(貫高) 등이 모반해 박인(柏人)에서 고조를 살해할 사건이 발각되어 조왕도 체포..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6편 공류6장(公劉六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6편 공류6장(公劉六章) ​ ​ 篤公劉, 匪居匪康, 迺埸迺疆, 迺積迺倉. 迺裹餱糧, 于橐于囊, 思輯用光. 弓矢斯張, 干戈戚揚, 爰方啟行. ​ 篤公劉, 于胥斯原, 既庶既繁, 既順迺宣, 而無永歎. 陟則在巘, 復降在原. 何以舟之, 維玉及瑤, 鞞琫容刀. ​ 篤公劉, 逝彼百泉, 瞻彼溥原. 迺陟南岡, 乃覯于京. 京師之野, 于時處處, 于時廬旅, 于時言言, 于時語語. ​ 篤公劉, 于京斯依. 蹌蹌濟濟, 俾筵俾几. 既登乃依. 乃造其曹, 執豕于牢, 酌之用匏. 食之飲之, 君之宗之. ​ 篤公劉, 既溥既長, 既景迺岡, 相其陰陽, 觀其流泉, 其軍三單. 度其隰原, 徹田為糧. 度其夕陽, 豳居允荒. ​ 篤公劉, 于豳斯館. 涉渭為亂, 取厲取鍛. 止基迺理, 爰眾爰有. 夾其皇㵎, 遡其過㵎. 止旅迺密, 芮鞫之即. ..

第 五十七. 司馬相如列傳(사마상여열전)

第 五十七. 司馬相如列傳(사마상여열전) ​ ​ ​司馬相如者,蜀郡成都人也,字長卿. 少時好讀書,學擊劍,故其親名之曰犬子. 相如既學,慕藺相如之為人,更名相如. 以貲為郎,事孝景帝,為武騎常侍,非其好也. [사마상여는 촉군(蜀郡) 성도(成都) 사람으로 자는 장경(長卿)이다. 어렸을 때부터 독서를 좋아하고 검술을 배웠음으로 그의 부모는 그의 이름을 견자(犬子)라고 지었다. 공부를 마친 상여는 전국 때 명재상 인상여의 사람됨을 흠모하여 이름을 상여로 바꾸었다. 재물을 바쳐 랑(郞)이 되어 효경제(孝景帝)를 모시다가 직책이 무기상시로 올랐으나 상여는 그 직책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 會景帝不好辭賦,是時梁孝王來朝,從游說之士齊人鄒陽、淮陰枚乘、 吳莊忌夫子之徒,相如見而說之,因病免,客游梁. 梁孝王令與諸生同舍,相如得與諸生游士居數歲,乃..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5편 가락4장(假樂四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5편 가락4장(假樂四章) ​ ​ ​ 假樂君子, 顯顯令德. 宜民宜人, 受祿于天. 保右命之, 自天申之. ​ 干祿百福, 子孫千億. 穆穆皇皇, 宜君宜王. 不愆不忘, 率由舊章. ​ 威儀抑抑, 德音秩秩. 無怨無惡, 率由群匹. 受福無疆, 四方之綱. ​ 之綱之紀, 燕及朋友. 百辟卿士, 媚于天子. 不解于位, 民之攸塈. ​ ​ 1장. 假樂君子여 顯顯令德이로다. 宜民宜人하니 受祿于天이로다. 保右命之하고 自天申之하도다. ​ 가락군자여 현현영덕이로다. 의민의인하니 수록우천이로다. 보우명지하고 자천신지하도다. 賦也라 ​ 풍채가 멋지고 즐거운 주나라 왕이여, 백성들이 흠모하고 우러르는 덕이 훤히 드러났도다. 백성들을 순응하게 하고 신하들도 순응하게 하니, 많은 복과 녹이 하늘로부터 스스로 모이도다. 하..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4편 부예5장(鳧鷖五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4편 부예5장(鳧鷖五章) ​ ​ 鳧鷖在涇, 公尸來燕來寧. 爾酒既清, 爾殽既馨, 公尸燕飲, 福祿來成. ​ 鳧鷖在沙, 公尸來燕來宜. 爾酒既多, 爾殽既嘉, 公尸燕飲, 福祿來為. ​ 鳧鷖在渚, 公尸來燕來處. 爾酒既湑, 爾殽伊脯, 公尸燕飲, 福祿來下. ​ 鳧鷖在潀, 公尸來燕來宗. 既燕于宗, 福祿攸降. 公尸燕飲, 福祿來崇. ​ 鳧鷖在亹, 公尸來止熏熏. 旨酒欣欣, 燔炙芬芬, 公尸燕飲, 無有後艱. ​ ​ 1장. 鳧鷖在涇이어늘 公尸來燕來寧이로다. 爾酒既清하고 爾殽既馨하며 公尸燕飲하니 福祿來成이로다. ​ 부예재경이어늘 공시래연래녕이로다. 이주기청하고 이효기형하며 공시연음하니 복록래성이로다. 興也라. ​ 물오리와 갈매기는 맑은 경수 가운데 있으며, 공시가 연회에 참석하여 편안하게 있도다. 그대의..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3편 기취8장(旣醉八章) 既醉以酒, 既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 既醉以酒, 爾殽既將. 君子萬年, 介爾昭明. 昭明有融, 高朗令終. 令終有俶, 公尸嘉告. 其告維何, 籩豆靜嘉. 朋友攸攝, 攝以威儀. 威儀孔時, 君子有孝子. 孝子不匱, 永錫爾類. 其類維何, 室家之壼. 君子萬年, 永錫祚胤. 其胤維何, 天被爾祿. 君子萬年, 景命有僕. 其僕維何, 釐爾女士. 釐爾女士, 從以孫子. 1장. 既醉以酒하고 既飽以德하도다. 君子萬年하니 介爾景福이로다. 기취이주하고 기포이덕하도다. 군자만년하니 개이경복이로다. 賦也라 이미 군왕께서 주신 좋은 술에 크게 취하고, 이미 좋은 음식으로 배부른 은혜를 받았도다. 우리 군자의 만수무강을 축원하오니, 그대의 큰 복을 후손들이 받기를 원함이로다. 賦也라. 德은 ..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2편 행위4장(行葦四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2편 행위4장(行葦四章) 敦彼行葦. 牛羊勿踐履. 方苞方體. 維葉泥泥. 戚戚兄弟. 莫遠具爾. 或肆之筵. 或授之几. 肆筵設席. 授几有緝御. 或獻或酢. 洗爵奠斝. 醓醢以薦. 或燔或灸. 嘉殽脾臄. 或歌或咢. 敦弓既堅. 四鍭既鈞. 舍矢既均. 序賓以賢. 敦弓既句. 既挾四鍭. 四鍭如樹. 序賓以不侮. 曾孫維主. 酒醴維醹. 酌以大斗. 以祈黃耇. 黃耇台背. 以引以翼. 壽考維祺. 以介景福. 1장. 敦彼行葦로다. 牛羊勿踐履이어다. 方苞方體로다. 維葉泥泥로다. 戚戚兄弟하도다. 莫遠具爾하도다. 或肆之筵이어다. 或授之几하리라. 단피행위로다. 우양물천리이어다. 방포방체로다. 유엽이이로다. 척척형제하도다. 막원구이하도다. 혹사지연이어다. 혹수지궤하리라. 興也라 갈대가 군데군데 우북하게 자라나도다. 소와 양..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大雅. 生民之什(생민지십) 제1편 생민8장(生民八章) 厥初生民, 時維姜嫄. 生民如何, 克禋克祀, 以弗無子. 履帝武敏歆, 攸介攸止, 載震載夙, 載生載育, 時維后稷. 誕彌厥月, 先生如達, 不坼不副, 無菑無害. 以赫厥靈, 上帝不寧, 不康禋祀, 居然生子. 誕寘之隘巷, 牛羊腓字之. 誕寘之平林, 會伐平林. 誕寘之寒冰, 鳥覆翼之. 鳥乃去矣, 后稷呱矣, 實覃實訏, 厥聲載路. 誕實匍匐, 克歧克嶷, 以就口食. 蓺之荏菽, 荏菽旆旆, 禾役穟穟, 麻麥幪幪, 瓜瓞唪唪. 誕后稷之穡, 有相之道. 茀厥豐草, 種之黃茂. 實方實苞, 實種實褎, 實發實秀, 實堅實好, 實穎實栗. 即有邰家室. 誕降嘉種, 維秬維秠, 維穈維芑. 恆之秬秠, 是穫是畝. 恆之穈芑, 是任是負. 以歸肇祀. 誕我祀如何. 或舂或揄, 或簸或蹂. 釋之叟叟, 烝之浮浮. 載謀載惟, ..